692 634

Cited 0 times in

간경변 환자에서 급성 신부전의 위험인자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제현-
dc.date.accessioned2015-11-22T07:45:02Z-
dc.date.available2015-11-22T07:45:0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568-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간경변 환자의 신부전은 75% 정도 발생하며 중요한 이환 및 사망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환자에서 급성 신부전의 위험인자들로 고빌리루빈 혈증, 간성 혼수,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기존의 신부전 등이 보고된 바 있으나 추가적인 규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간경변으로 입원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급성 신부전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인자들을 규명하여 보고자 하였다. 대상 환자는 1996년 1월 1일부터 2001년 12월 31일까지 세브란스 병원에 간경변으로 입원한 환자 중 입원당시 정상 신기능을 가진 환자 91명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환자군은 입원 15일 이내에 급성으로 신기능 저하(혈청 creatinine 증가량≥1㎎/㎗)를 보인 환자(신부전군)로 하였고, 정상 신기능을 유지한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91명의 환자 중 신부전군이 44명, 대조군이 47명이었다. 양 군간의 연령, 간경변의 원인, 당뇨 및 간암의 유무, 알부민치, 프로트롬빈 시간, aminoglycoside 항생제 투약여부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신부전군에서는 복수(95% vs. 47%), 간성 혼수(66% vs. 17%), 균혈증(38% vs. 4%), 요로감염(16% vs. 2%),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30% vs. 7%), 위장관출혈(25% vs. 9%) 및 총빌리루빈치(9.1±8.3㎎/㎗ vs. 3.5±6.2㎎/㎗)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급성 신부전의 위험인자 규명을 위한 다변량 로지스틱 분석에서 복수와 간성 혼수 그리고 균혈증이 유의한 독립적 위험인자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간경변으로 입원한 환자에서 복수 및 간성 혼수와 같은 합병증이 동반된 환자와 균혈증을 동반한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에선 요량과 신기능에 대한 세심한 관찰과 함께 신부전 예방에 유의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Renal dysfunction occurs in up to 75% of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nd is a major cause for mortality and morbidity. Hyperbilirubinemia, hepatic encephalopathy,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and underlying renal insufficiency have been reported as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renal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but further evaluations are still being required. We studied clinical and biochemical findings to investigate risk factors for renal dysfunction among patients hospitalized due to liver cirrhosis. We retrospectively analized 91 liver cirrhosis patients hospitalized at Severance Hospital between Jan 1, 1996 and Dec 31, 2001 who had normal renal function at admission. Renal dysfuction group is defined as patients whose renal function was deteriorated after 15 days from admission (serum creatinine increase ≥1㎎/㎗), and control group is defined as patients whose renal function remained normal. 44 patients were enrolled in renal dysfunction group and 47 patients in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age, cause for liver cirrhosis, presence of diabetes mellitus orhepatocellular carcinoma, history of aminoglycoside usage, albumin level, and prothrombin time. The incidence of ascites(95% vs. 47%), hepatic encephalopathy(66% vs. 17%), septicemia(38% vs. 4%), urinary tract infection(16% vs. 2%),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30% vs. 6%), and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25% vs. 9%) were significantly high in renal dysfunction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p<0.05). In renal dysfunction group, the level of total bilirubin(9.1±8.3㎎/㎗ vs. 3.5±6.2㎎/㎗) was also much higher than control group.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ascites, hepatic encephalopathy, and septicemia a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renal dysfunction. In conclusion, ascites, hepatic encephalopathy, and septicemia are postulated to b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renal dysfunction in liver cirrhosis patients. Renal function and urine output should be cautiously monitored in liver cirrhosis patients with these risk factor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간경변 환자에서 급성 신부전의 위험인자-
dc.title.alternative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renal dysfunction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ang, Jae Hy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