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8 650

Cited 0 times in

성악인과 일반인 발성의 음향학적 및 공기역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evaluation of electroglottography and aerodynamic study in trained singers and untrained controls under different two pitch 
Authors
 안성윤 
Issue Date
2003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연구 배경 : 최근 들어 음성언어 진단 기기가 발달 함에 따라 가수, 성악인과 같이 음성 전문인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성악인과 정상인에게 동시에 음성역학적검사를 시행하여 그 차이를 비교해 보려는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이다. 객관적인 음성역학적 검사 중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음성효율도와 전기성문파형검사를 이용하여 노래를 전공으로 하는 성악인과 일반인들의 결과를 분석하여 각 집단의 특성을 알아보고 발성 특징을 비교해 보았다. 연구 방법 : 성악인과 일반인 남녀 각 10명에게 Nagashima phonatory function analyzer를 이용하여 기본주파수, 음강도, 평균호기류율, 성문하압을 구하였고 , Lx speech studio로 성대접촉율, jitter, shimmer를 분석하였다. 가곡 "그네"(김말봉시, 금수현곡)의 첫 부분인 "세모시 옥색치마 금박물린 저댕-기가"에 해당부분을 모음/아/로 바꾸어 부르면서, 첫 음인 /세/(D)와 이보다 한 옥타브 위의 음인 /저/(D)에서 상기 두 검사를 진행하여 음성효율도와 성대접촉율을 산출하였다. 각 피검자에게서 한 조건에서 3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통계학적 검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중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각 결과의 평균, 표준편차를 비교하였고 유의 수준은 95%로 하였다. 결과: 남자 성악인의 경우 일반인 군에 비해 고음에서 음의 강도(p < .001), 성대접촉율(p = .025)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으며, 이의 영향으로 음성효율도도 크게 증가하였다(p < .001). 반면 여자의 경우 두 군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 남자의 경우 성악인은 일반인에 비해 효율적인 발성을 하며 이는 공기역학적으로 호기류율과 성문하압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적절한 수준으로 성문의 접촉을 증가시키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여자의 경우 다양한 결과는 아마도 성구 변환 및 여성의 특이한 발성 때문으로 생각된다.

[영문]

Background and Objectives: Aerodynamic study is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vocal efficiency in translating air flow to acoustic sig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rained singers and untrained controls under different two pitch by simultaneous using the airway interruption method and electroglottography(EGG).

Materials and Methods: Under singing a Korean lied ‘Gene’, 20(male 10, female 10) trained singers were studied on two one-octave different tone. Mean flow rate(MFR), subglottic pressure(Psub) and intensity were measured with aerodynamic test using the Phonatory function analyzer. Closed quotients(Qx), jitter and shimmer were also investigated by EGG using Lx speech studio. These data were compared with that of normal controls.

Results: MFR and Psub were increased on high pitch tone in all subject group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ing of Qx and intensity were observed in male trained singers on high pitch tone(p < .05). Beacasue of increasing of Qx and intensity, vocal efficiency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male singers(p < .001).
Files in This Item:
T00768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50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