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951

Cited 0 times in

아로마테라피의 월경주기불편감에 대한 효과와 프로스타글란딘과의 관련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훈정-
dc.date.accessioned2015-11-22T07:42:34Z-
dc.date.available2015-11-22T07:42:3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478-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월경주기불편감에 대한 아로마테라피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월경주기불편감에 있어서의 프로스타글란딘설을 기반으로 월경주기불편감, 월경통, 프로스타글란딘F2α, 프로스타글란딘E2를 연구변수로 도출하였다. 또 다른 본 연구의 목적은 월경통과 프로스타글란딘F2α, 프로스타글란딘E2 의 관련성을 검정함으로써 프로스타글란딘설을 재평가하는 것이다. 연구설계로는 연구현상이 개별적으로 편차가 심한 것을 고려하여 역처치 전·후설계(Counter-balanced design)를 이용하였다. 연구기간은 2002년 7월 25일부터 2003년 3월 14일까지 였으며 경기도 소재 1개 대학교를 선정하여 여대생 500명에게 월경주기불편감에 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 결과 시각적 상사척도(VAS)로 월경통의 점수가 50mm 이상이며 최근 3개월의 월경주기불편감 점수가 70점 이상인 자 52명을 근접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근접모집단에 대해 개별적으로 접근해 연구참여의사를 타진하여 연구참여에 동의한 자 중에서 대상자 선정기준을 만족시키는 4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실험군 및 대조군에 무작위 배정한 후 다음 월경주기에는 역처치를 실시하였다. 간호중재방안으로 아로마테라피 블렌딩 처방과 수정된 M-technique을 개발하고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조사, 연구보조원 훈련, 실험절차 연습 및 예비조사를 거쳐 수정보완하여 확정하였다. 실험처치는 개인별 월경예정일을 정리하여 개별화된 시간 및 증상 유무를 가지고서 처치 개시여부를 결정하였으며 월경전 2일부터 시작하여 월경제1일까지 3일간 처치하였다. 매 월경주기일에 사전, 사후 조사가 이루어졌는데 혈중 프로스타글란딘류는 일 1회만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월경주기불편감의 경우 Moos의 도구를 김정은(1995)이 수정보완시킨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 α=0.938이었다. 월경통의 경우 시각적 상사척도(VAS)를, 프로스타글란딘 F2α 및 프로스타글란딘E2는 ELISA방법으로 검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2-test, paired t-test, ANOVA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월경주기에 따른 월경주기불편감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각 월경주기별로 검정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 월경전 2일, 월경전 1일, 월경 제 1일에 이르기까지 각각 t=0.13 p=0.895, t=-1.63 p=0.111, t=-1.40 p=0.169로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 그러나 통증범주와 수분축적범주에서 일관되게 변화를 가져왔는데 두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2.15, p=0.038)를 보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아로마테라피 처방은 모든 종류의 월경주기불편감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통증범주 및 수분축적범주에 대해 선택적으로 작용을 나타냄이 발견되었다. 가설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월경주기에 따른 월경통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월경전 2일의 경우 t=-2.73 p=0.001, 월경전 1일은 t=-3.44 p=0.001, 월경 제1일은 t=-11.21 p<0.0001로 모든 시점에서 지지되었다. 가설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월경주기별로 프로스타글란딘F2α 농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월경전 1일 및 월경 제1일의 경우 각각 t=-10.91, p< 0.0001이하, t=-9.86, p< 0.0001로 가설은 지지되었다. 가설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월경주기별로 프로스타글란딘E2 농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월경전 1일 및 월경제1일의 경우 각각 t=-8.54 p<0.001, t=-10.87 p<0.0001로 가설은 지지되었다. 가설 5. "월경통과 프로스타글란딘F2α 농도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r=0.63, p=0.002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은 지지되었다. 가설 6. "월경통과 프로스타글란딘E2 농도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r=0.61, p=0.006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은 지지되었다. 아로마테라피의 부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신기능 및 간기능 검사 ; BUN, Creatinin, AST, ALT, γ-GTP의 경우 모두 정상범위였으며, 특히 피부에 대한 자극이 우려되었는데 40명중 1명에서 미약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 사용된 아로마테라피가 월경주기불편감중 통증범주와 수분축적범주의 특정 영역의 점수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며, 프로스타글란딘F2α, 프로스타글란딘E2 및 월경통을 유효하게 감소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월경주기불편감 간호중재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perimenstrual syndrome, dysmenorrhea, prostaglandinF2α(PGF2α) and prostaglandinE2(PGE2) on the basis of prostaglandin theory of perimenstrual syndrome.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 of PGF2α, PGE2 to dysmenorrhea, for which counter-balanced design was to be used considering personal diversity of research phenomenon. Data was collected from 25 July 2002 to 14 March 2003. A total of 40 students from one college in K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of them were assigned randomly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in their first menstrual cycle. In second menstrual cycle, they were assigned vice versa. The survey was performed on perimenstrual syndrome of 500 students. Out of collected data, 52 students who had more than 50mm in dysmenorrhea score and more than 70points in perimenstrual syndrome score were worked up from accessible population. Out of 52 students who were contacted privately with informed consent about research activity, 40 students were accepted by client work-up criteria. Aromatherapy presciption was developed as a nursing intervention in Blending and modified M-technique massage method. The prescription then was accredited by professional personnels, and research assistants were collected and trained. A drill in aromatherapy and pilot intervention were performed and determined. To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treatment was done for 3days from their premenstrual day #2 to their menstrual day #1. In daily treatment, pre and post tests were performed, but prostaglandins were tested daily.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included simplified MDQ(Moos''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by Kim(1995), Visual Analogue Scale for dysmenorrhea, and PGF2α PGE2 by ELISA. In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simplified MDQ Cronbach α=0.938.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AS program. Chi-square test, paired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determin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Hypothesis 1. "There will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sity of perimenstrual syndrome according to menstrual cycle after the interven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hypothesis was not completely accepted but partially in two categories: pain and hydration. In premenstrual day #2, premenstrual day #1 and menstrual day #1 each showed t=0.13, p=0.90; t=-1.63, p=0.11; t=-1.40, p=0.169. Hypothesis 2. "There will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sity of dysmenorrhea according to menstrual cycle after the interven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hypothesis was accepted in each menstrual cycle. In premenstrual day #2, premenstrual day #1 and menstrual day #1 each showed t=-2.73, p=0.001; t=-3.44, p=0.001; t=-11.21, p<0.0001. Hypothesis 3. "There will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lood PGF2α level according to menstrual cycle after the interven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hypothesis was accepted in each menstrual cycle. In premenstrual day #1 and menstrual day #1 each showed t=-10.91, p<0.001; t=-9.86, p<0.0001. Hypothesis 4. "There will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lood PGE2 level according to menstrual cycle after the interven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hypothesis was accepted in each menstrual cycle. In premenstrual day #1, menstrual day #1 each showed t=-8.54, p<0.001; t=-10.87, p<0.0001. Hypothesis 5. "There will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ysmenorrhea score and PGF2α level" The hyothesis was accepted in r=0.63, p=0.002. Hypothesis 6. "There will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ysmenorrhea score and PGE2 level" The hyothesis was accepted in r=0.61, p=0.006. Renal and liver function test were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the side effect against aromatherapy in this study by BUN, Creatinine, AST, ALT, γ-GTP : All of this laboratory data was within normal limits. Mild skin irritation was reported in one case. In conclusion, the aromatherapy in this study proved to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pain and hydration categories of perimenstrual syndrome, dysmenorrhea, PGF2α and PGE2.-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아로마테라피의 월경주기불편감에 대한 효과와 프로스타글란딘과의 관련성-
dc.title.alternativeEffects of aromatherapy on perimenstrual syndrome and its relation to the prostaglandin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57213-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ik, Hoon Jung-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