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8 679

Cited 0 times in

자궁경부암 환자의 병기관련 요인분석

Other Titles
 (A) study for related factors of stage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Authors
 이은하 
Issue Date
2003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자궁경부암은 우리나라의 여성 암 중 높은 발생율과 사망률을 가지는 질병으로서 조기 발견되면 진행된 병기로서의 진전을 막고 치료가 가능한 암이다. 이러한 자궁경부암은 전암 단계인 상피내암을 거쳐 침윤암으로 이환되는 기간이 길지만, 자궁경부암 진행된 병기를 진단 받을 경우 사망률과 암 재발률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궁경부암 환자들의 병기 관련 요인을 분석하고 초기병기에 환자들이 발견될 수 있도록 대상자 선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본 연구는 2002년 10월 1일부터 11월 31일까지 경기도에 소재한 N 암센터에서 자궁경부암 진단을 받은 환자 21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일대일 면접과 자가 기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질문지의 내용은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산부인과적 특성과 건강행위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여 SPSS ver11.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서술 통계, 2-test, Pearson Correlation,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1. 대상자의 병기 분포를 보면 상피내암으로 진단받은 대상자가 33%, 초기 병기 35.4%, 진행된 병기 31.6%이었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 교육수준, 결혼연령에서 자궁경부암 병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행된 병기로 진단받은 대상자는 다른 대상자에 비해 연령이 높았고(X2=47.601, P=.000), 교육수준이 낮았으며( X2=16.388,P=.000), 결혼 연령이 낮았다( X2=22.965, P=.000). 3. 산부인과적 특성 중 폐경여부, 첫 임신 연령에서 자궁경부암 병기간의 유의한차이가 나타났다. 진행된 병기로 진단받은 대상자는 다른 대상자보다 폐경후기가 더 많았으며( X2=49.161, P=.000), 임신연령이 더 빨랐다( X2= 16.220, P=.003). 4. 건강행위에서는 건강습관 중 수면시간에서 자궁경부암 병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X2=14.201, P=.001). 질병관련 건강행위에서는 과거 세포진 검사력, 첫 성교연령, 경구 피임약 사용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진행된 병기를 진단받은 대상자는 다른 병기에 있는 대상자에 비해 과거에 세포진 검사를 받은 경험이 없었으며,( X2=26.124, P=.000) 첫 성교연령이 빨랐고( X2=20.461, P=.000), 경구 피임약을 사용한 경우가 더 많았다( X2=16.029 P=.000). 5. 연령, 교육수준, 결혼연령, 과거 세포진 검사력, 초 임신연령, 첫 성교연령, 폐경여부, 경구피임약 사용력을 주요변수로 하여 자궁경부암 영향요인을 파악한 결과 연령이 23.8%, 과거 세포진 검사력 7.7%, 피임약 사용력이 3.7%, 첫 성교연령이 1.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상자의 연령, 과거 세포진 검사력, 경구 피임약 사용력과 첫 성교연령이 자궁경부암 병기의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제시 되었다.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자궁경부암의 진행된 병기로서의 진단을 예방할 수 있도록 자궁경부암 고위험 대상자를 선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며 더 나아가 지역사회에서는 자궁경부암 조기발견을 위한 교육과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요구되어진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ed factors of stage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nurse educators and practitioners in obstetrical and gynecological nursing. In order to modify the content or items of questionnaire, the pilot study was done with a total of 15 women.This study was prospective study in terms of design. 212 women were recruited from large cancer center in kyong-gi do, Korea over 2 months. Data were analysed by chi-square test,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ver 11.0.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of cervical cancer ; 33% in carcinoma in situ, 35.4% in early stage, 31.6% in late stage.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ge by subjects'' age,education, background, age at 1st marriage in general characteristics.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ge by subjects'' menopause status, age at 1st pregnancy, past experience in Pap smear testing in obstetric - gynecologic characteristics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ge by subjects'' sleep pattern, age at first sexual intercourse, history of oral contraceptives in health behaviors 5. Age(23.8%), past experience in Pap smear testing (7.7%,) history of oral contraceptives(3.7%), and early age at first sexual intercourse(1.6%), explained the variation in stage.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urses have to be aware of the variables in the high risk group in order to help in the prevention of late stage in cervical cancer. the women should be targeted for cervical cancer education and screening programs.
Files in This Item:
T00747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29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