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1 462

Cited 0 times in

소아 연령에 발병한 당뇨병환자에서 만성합병증의 빈도 및 특성

Other Titles
 Chronic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childhood-onset diabetes mellitus. 
Authors
 유은경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최근 당뇨병 치료의 발달로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은 급성 합병증보다는 만성 합병증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당뇨병의 만성 합병증들은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키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연령에서 발병한 당뇨병 환자에서 만성 합병증의 동반 빈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세브란스 병원에서 치료중인 8-28 (16.8±4.4)세의 당뇨병 환자 163명 (남자 59명, 여자 104명)을 대상으로 망막검사를 시행하였고, 소변내 알부민을 정량 측정하였으며, 말초신경전달속도 및 심혈관계 자율신경기능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혈액에서 Lipoprotein(a) (Lp(a))와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low density lipoprotein, LDL) 콜레스테롤, 당화혈색소를 측정하였다.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intima-media thickness, IMT)는 45명의 1형 및 9명의 2형 당뇨병 환아에서 측정하여 24명의 정상 청소년에서 측정한 값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63명중 141명 (87%)은 1형 당뇨병이었고 나머지 22명 (13%)은 2형 당뇨병이었다. 1형의 경우 8.7±4.1세에 발병하였고 평균 유병기간은 8.1±3.4년이었으며, 2형은 12.8±1.5세에 발병하였고 유병기간은 5.5±3.9년이었으며, 6개월 간격으로 3회 측정한 평균 당

화혈색소는 1형과 2형에서 각각 9.4±2.4, 10.3±2.3%였다.

2. 임상적 알부민뇨를 포함한 미세알부민뇨는 1형의 14.2%에서, 2형의 22.7%에서 동반되었으며, 미세알부민뇨가 동반된 환자들의 평균 유병기간은 1형, 2형에서 각각 9.8±4.9 (3.3-18.9)년, 7.4±3.9 (2.3-11.2)년이었고, 유병기간이 5년 이상이더라도 검사시 11세 미만에서는 미세알부민뇨가 동반되지 않았다. 1형 당뇨병에서 미세알부민뇨 및 알부민뇨는 유병기간이 길수록 (p<0.01), 발병연령이 높을수록 (p<0.01), 당화혈색소가 높을수록 (p<0.05) 많이 동반되였다.

3. 당뇨병성 망막증은 1형의 7.8% (8/102)에서 있었고, 2형의 33.3% (5/15)에서 동반되어 있었으며 1형에서 유병기간 7년 미만, 2형에서 9년 미만에서는 동반되지 않았고, 검사당시 연령 14세 미만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1형 당뇨병에서 망막증은 유병기간이 길수록 (p<0.01), 발병연령이 높을수록 (p<0.01) 자주 관찰되었다.

4. 1형 당뇨병에서 당화혈색소는 신경전달속도 지연의 의미있는 예측인자였고 (n=126, p<0.05), 1형과 2형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 자율신경기능 이상은 유병기간이 길수록 많이 나타났으나 (n=93, p<0.05), 당화혈색소와는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5. 좌측 및 우측 경동맥의 IMT는 2형 당뇨병 환아에서 정상 및 1형 당뇨군 (우측 평균값 제외)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으나, 1형 환아에서는 우측 최대값만 정상 대조군과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당뇨군 및 대조군에서 IMT는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6. 1형 과 2형 당뇨병에서 혈당 조절상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지질 검사상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은 2형에서 더 높았으며, HDL 콜레스테롤은 2형에서 1형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다. Lp(a)는 두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이 소아연령에서 발병한 당뇨병환자에서 청소년 및 성인초기에 당뇨병의 만성합병증 및 그 위험인자들이 관찰되었으며, 당뇨병의 이환기간이 길수록, 혈당조절상태가 불량한 경우에 발생 가능성이 증가되었다. 1형 당뇨병에서 미세혈관 합병증의 위험은 발병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유병기간에 관계없이 사춘기 이전 연령에서는 관찰되지 않아, 사춘기가 합병증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향후 추가연구가 필요하며, 2형 당뇨병에서는 보다 조기에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기전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영문]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chronic complication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risk factors and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childhood-onset diabetes mellitus (DM). One hundred sixty three patients (59 males and 104 females), ranging from 8 to 28 years of age, were evaluated for urinary albumin excretion, retinal pathology, nerve conduction velocities (NCV), and cardiovascular autonomic function test. Their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or measurement of HbA1c,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lipoprotein(a) levels.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were measured in 54 diabetics, and were compared with values from 24 healthy adolescents.

1. Among the 163 patients, 141 had type 1 DM and 22 had type 2 DM. The mean age of onset was 8.7±4.1 in type 1 and 12.8±1.5 years in type 2, and mean duration of DM was 8.1±3.4 years and 5.5±3.9 years, respectively. Mean HbA1c levels of recent 3 measurements at 6 month-intervals were 9.4±2.4, and 10.3±2.3%, respectively.

2. Microalbuminuria including clinical albuminuria were observed in 14.2% of type 1, and 22.7% of type 2 diabetics, and none were microalbuminuric before the age of 11. In type 1 DM,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uration of diabetes, age of onset, and HbA1c level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microalbuminuria.

3. Diabetic retinopathy were observed in 7.8%(8/102) of type 1 and 33.3%(5/15) of type 2 diabetic patients, and it was not observed before 7 years of diabetes. In type 1 DM, duration of diabetes and age of onse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diabetic retinopathy.

4. HbA1c was significant predictor of prolonged NCV in type 1 DM(n=126, p<0.05). Autonomic dysfunction increased with longer duration of diabetes(n=93, p<0.05), but it did not correlate with levels of HbA1c.

5. In type 2 DM, the mean and maximal IMT of both carotid arter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ype 1 (except for right mean IMT) or healthy subjects, but in type 1, only the maximal IMT of right carotid artery was higher than those of healthy subjects. IMT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body mass index.

6. In type 2 D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levels were higher and HDL-cholesterol levels were lower than in type 1 DM, whereas HbA1c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se two groups.

In conclusion, our observation suggests that chronic complications of DM can be developed even during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and duration of diabetes and glycemic control are their predictors. In type 1 DM, the risk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increased with older age of onset and they were not observed during prepubertal period, suggesting that puberty precipitates the development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Chronic complications tend to develop with shorter duration of diabetes in type 2 DM, an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reveal their metabolic interactions.
Files in This Item:
T00717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99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