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2 652

Cited 0 times in

일부 사업장 보건관리 담당자 및 생산직 근로자의 작업 환경 측정에 대한 인식

Other Titles
 Comparison of recognition on the wor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between industrial workers and health administrators. 
Authors
 유상엽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산업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보건관리 담당자와 생산직 근로자의 작업환경의 수준 그리고 작업 환경 측정의 필요성과 작업 환경 측정제도의 개선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고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구로구, 금천구 강서구등)에 소재한 기업체를 대상으로 2002년 4월8일부터 5월8일까지 46개 사업장의 보건관리 담당자 50명, 생산직 근로자 183명 총 233명을 설문조사 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성 보건관리 담당자와 높은 연령층, 근무경력이 많은 보건관리 담당자가 작업 환경 측정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고 있었다.

2. 남성 보건관리 담당자가 여성 보건관리 담당자보다 작업 환경 측정제도가 바뀌어야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고 또한 연령이 많을수록 바뀔 필요성이 있다고 하였으며 직위는 사원보다 계장이상의 직급에서 바뀌어야 한다고 하였다.

3. 생산직 근로자의 연령과 근속연수가 많을수록 작업 환경 측정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였다.

4. 생산직 근로자의 사업장 규모에 따른 작업 환경 측정횟수 감소에 대하여 50인이상 사업장에서 반대가 많았고 측정결과 인지여부에 대해서도 50인이상 사업장에서 본인에게 결과가 알려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측정결과 신뢰성 부분에 대해서는 50인이하 사업장에서

신뢰하고 있다고 하였고 작업 환경 측정결과에 따른 작업 환경개선에 대한 부분도 50인이하 소규모사업장에서 작업 환경개선이 있었다고 하였다.

5. 생산직 근로자의 조사에서 작업 환경 측정제도가 바뀌어야할 필요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근속연수가 많을수록 바뀌어야 한다고 하였고 작업 환경 평가방법의 다양화와 작업 환경 평가개선을 위해 법적인 요건강화에 대해서는 각 사업장규모별로 강화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6. 경영자의 회사 내 작업 환경에 관심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생산직 근로자가 41.8%, 보건관리 담당자는 66.0%가 관심을 갖고 있다고 하였다.

7. 현행 작업 환경 측정제도가 작업 환경 평가방법으로 적정한지에 대한 질문에서 생산직 근로자가 37.3%, 보건관리 담당자는 63.2%가 적정하다고 하여 차이가 있었다. 작업 환경 평가방법이 다양화되어야 한다는 질문에는 생산직 근로자가 66.3%, 보건관리 담당자는 58.0%가 필요성이 있다고 하였다. 작업 환경 측정제도가 바뀌어야 할 필요성에 대해선 생산직 근로자가 65.1%, 보건관리 담당자는 52.1%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보건관리 담당자와 생산직 근로자는 공통적으로 작업 환경 측정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고 있었고 다양한 작업 환경 평가방법을 요구하고 있었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e the difference of the recognition on the working environment grade, necessity of the wor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and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regulations between the industrial workers and the health administrato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a questionnaire survey from April 8 to May 8, 2002. 50 health administrators and 183 industrial worker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out of 46 companies where have conducted the wor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case of health administrators, men showed higher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wor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than women. Likewise, longer-served,more experienced, and older ones positively participated in the measurement.

2. In case of health administrators, men, managing staffs, and older ones showed more response to the necessity of the change of the wor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regulations.

3. The answers were deduced from the industrial workers. Older and longer served workers had mor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wor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4. Workplace with over 50 industrial workers showed the objection to the reduction of wor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and the low recognition of the measurement result. On the contrary, the workplace with less 50 industrial workers showed the reliability for the measurement result and response to whether there was the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5. Longer served industrial workers gave responses to the necessity of the change of the wor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regulations. with regard to the necessity of the enhancement of the legal requirements fo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al assessment, the bigger workplace answered.

6. With regard to whether the chief executive officer had an interest in the working environment, 41.8% of industrial workers and 66.0% of health administrators made answers.

7. For the question of whether the present measurement regulations were desirable for the method of working environmental assessment in the section of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37.3% of industrial workers

and 63.2% of health administrators answered yes. 66.3% of industrial workers and 58.0% of health administrators gave answers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assessment method of working environment. 65.1% of industrial workers and 52.1% of health/administrators answered positively to the necessity of the change of wor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regulations.

In conclusion, most workers recognized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wor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and that it is required more diverse assessment methods of working environment.
Files in This Item:
T00717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98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