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2 1189

Cited 0 times in

만성폐질환자의 호흡곤란 유발요인 및 증상관리 전략

Other Titles
 Aggravating factors & management strategies of dyspnea in chronic lung disease patients. 
Authors
 방소연 
Issue Date
2002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호흡곤란은 힘들거나 어렵고 불편한 호흡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으로, 만성폐질환자에게 질병과 동반되는 가장 고통스럽고 삶을 위협하는 증상이다. 만성폐질환자는 흡연인구의 증가, 평균 수명의 연장, 인구의 노령화 등으로 그 대상자 수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의 호흡곤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폐질환자의 호흡곤란 유발요인 및 증상관리 전략을 파악해 봄으로써 만성폐질환자의 호흡곤란을 관리하기 위한 간호교육이나 중재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차별화 된 증상관리를 유도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은 2002년 4월 15일부터 5월 30일까지 서울시내 S병원 호흡기 내과 외래로 통원치료를 받고 있는 모든 만성폐쇄성폐질환자와 기관지천식 환자를 근접 모집단으로 하여 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총 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호흡곤란 유발요인 및 증상관리 전략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문헌고찰 및 만성폐질환자와의 면담을 기초로 연구자가 개발하고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거친 후 사전조사를 통하여 수정보완한 『호흡곤란 유발요인 측정도구』, 『증상관리 전략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호흡곤란 유발요인 및 증상관리 전략은 실수와 백분율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호흡곤란 유발요인 및 증상관리 전략은 chi-square tes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만성폐질환자의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신체적 요인은 ‘버스를 타기 위해 달려갈 때’, ‘경사진 곳을 오를 때’, ‘계단을 오를 때’, ‘운동을 할 때’, ‘물건을 옮길 때’ 등으로, 심리적 요인은 ‘화를 내거나 흥분했을 때’, ‘불안하거나 긴장했 을 때’ 등으로, 상황적 요인은 ‘공기가 나쁜 곳에 있을 때’, ‘주위에 담배를 피는 사람이 있을 때’ 등으로 나타났다. 만성폐질환자의 호흡곤란 유발요인은 나이, 성별, 직업유무, 가족의 월수입, 질병 의 중증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2. 만성폐질환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장기 증상관리 전략의 우선순위는 ‘긍정적인 사고를 갖는다’, ‘처방된 약을 복용하거나 흡입한다’, ‘가능한 천천히 움직인다’, ‘가능한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상황이나 환경은 피한다’, ‘신선한 공기를 마신다’, ‘마음을 진정시키려고 의도적으로 노력한다’ 등이며, 이러한 장기 증상관리 전략 은 나이, 직업유무, 산소 사용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3. 만성폐질환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단기 증상관리 전략의 우선순위는 ‘가능한 천천히 움직인다’, ‘긍정적인 사고를 갖는다’, ‘처방된 약을 복용하거나 흡입한다’, ‘마음을 진정시키려고 의도적으로 노력한다’, ‘가능한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상황 이나 환경은 피한다’ 등이며, 이러한 단기 증상관리 전략은 직업유무에 따라 차 이가 있었다.

4. 만성폐질환자들은 평상시 호흡곤란과 갑작스런 호흡곤란을 관리하기 위한 호흡곤란 관리 전략 사용에 있어 우선순위가 비슷한 것으로 파악됨으로써 장․단기 증상관리 전략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만성폐질환자에게 호흡곤란은 다양한 신체적, 심리적, 상황적 요인들에 의해 유발되고, 증상관리 전략은 장기와 단기의 경우 비슷하며, 여러 가지 요인들이 호흡곤란 유발요인 및 증상관리 전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만성폐질환자의 호흡곤란 유발을 감소시키고 증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는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간호교육이나 중재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Dyspnea is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difficult and discomfort breathing and it is the most distressing and life-threatening symptoms that is accompanied with a disease in chronic lung disease patients. The number of chronic lung disease

patients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ment of smoker, life span, and elderly people, but the studies about dyspnea of them are insuffici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ggravating factor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dyspnea in chronic lung disease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3 people(33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20 bronchial asthma) who visited the pulmonary outpatient department of S. hospital in Seoul, Korea for dyspnea. Data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 for aggravation factor of dyspnea』 and 『Questionnaire for management strategies of dyspnea』 from April, 15, 2002 to May, 30, 2002.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were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hysical factors of aggravating factors of dyspnea in chronic lung disease patients were ‘running to take a bus’, ‘going up slopes’, ‘going upstairs’, ‘taking exercise’, ‘moving a thing’ et al.,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hat

were ‘getting angry or excited’, ‘becoming anxious or nervous’ et al., and the situational factors of that were ‘being in the polluted air’, ‘existing near smokers’ et al. The related factors of that were age, sex, no job, family income,

and the severity of disease.

2. The priorities of long term management strategies of dyspnea in chronic lung disease patients were ‘emphasizing the positive’, ‘take or inhale prescribed medications’, ‘move slower as possible’, ‘physical distancing from aggravating situation or environment of dyspnea as possible’, ‘fresh air’, ‘conscious attempt to calm down’ et al. and the related factors of that were age, no job, and no use of oxygen breathing apparatus.

3. The priorities of immediate management strategies of dyspnea were ‘move slower as possible’, ‘emphasizing the positive’, ‘take or inhale prescribed medications’, ‘conscious attempt to calm down’, ‘physical distancing from aggravating situation or environment of dyspnea as possible’ et al. and the related factor of that is no job.

4. No difference was found long term and immediate management strategies of dyspn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develop specific nursing education program and nursing intervention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 order to decrease aggravation of dyspnea and manage efficiently the dyspnea.
Files in This Item:
T00714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95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