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0 470

Cited 0 times in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양악수술시 수술전 예측치와 수술후 실측치 차이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eoperative prediction values versus the postoperative actual values in class III two jaw sur 
Authors
 박준호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보이는 환자의 양악수술시 수술전 예측치와 수술후 실측치 그리고 수술 1년 후에 계측된 실측치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에 대해 알아보았다. Y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술전 교정치료를 받고 양악 수술을 받은 환자 가운데 조건에 부합되는 26명( 남 12명, 여 14명 ) 을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수술 직전 예측치를 T1, 수술 직후를 T2, 수술 1년 경과 후를 T3로 정하고 각각의 계측치를 수평과 수직 좌표로 나눠 측정하였다. 악교정 수술에 의한 계측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상악골 악교정 수술시 회전중심점에 따라 A point 와 Incisal edge의 두 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에 따른 통계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차이의 유의성을 검정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경조직 계측점들은 ANS와 A 의 수평좌표와 하악전방부에 해당하는 Me,Gn, Pg, B, Ii 들의 수직좌표에서 T1 과 T2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연조직 계측점들에서는 Pn, Sn, STA, Ls, Li 의 수평과 수직좌표에서 T1 과 T2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A point를 기준으로 할 경우 경조직 계측점 Me, Gn, Pg, B, Ii들의 수직좌표 와 연조직 계측점 Pn, Sn, STA의 수평과 수직좌표 및 Ls, Li의 수평좌표와 Gn''의 수직좌표에서 T1 과T2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Incisal edge를 기준으로 할 경우 경조직 계측점 Me, Gn, Pg, B, Ii, Is 들의 수직좌표 및 ANS와 A 의 수평좌표 와 연조직 계측점 Pn, Sn의 수평좌표, STA 의 수평과 수직좌표 및 Ls, Li, Gn''의 수직좌표에서 T1 과T2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상악골의 회전 중심점에 따른 양 군을 비교한 결과 T2 - T3에서 Is, PNS, Pn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상악평면각 은 T2 - T3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상하악의 교합면각은 술후교정에 의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수술계획시 계측점의 변화를 악골의 수술에 따라 일률적으로 예측하기 보다는 수술량과 수술방법에 따라 각 계측점 별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상하악골 전방부의 경조직 계측점들과 비부와 순부의 연조직 계측점들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수술계획시 회귀량도 고려해야 보다 양호한 수술결과를 얻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d evaluate discrepancies between exact and prediction values in Class III surgical patients. 26 patients ( male 12, female 14) who were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II and experienced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gnathic surgery at Y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at prediction (T1), immediately after surgery (T2), 1 years after surgery (T3), and specified the

landmark as coordinates of X and Y axes.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2 groups depending on the rotation point of maxilla (A point vs Incisal Edge). The statistical tools was SAS program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Changes of hard tissue points (T1-T2) in x coordinates of ANS, A and /in y coordinates of Me, Gn, Pg, B, Ii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2. Change of soft tissue points (T1-T2) in x and y coordinates of Pn, / Sn, STA,Ls, Li were statistically signinficant

3.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maxillary surgery rotated at A / point were in x coordinates of Ls, Li and in y coordinates of Me, / Gn, Pg, B, Ii, Gn'' and in x,y coordinates of Pn, Sn, STA

4.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maxillary surgery rotated at / Incisal edge were in x coordinates of ANS, A, Pn, Sn and in y / coordinates of Me, Gn, Pg, B, Ii, Is, Ls, Li, Gn'' and in x,y / coordinates of STA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s, PNS, Pn compared between A / point group and incisal edge rotation group

6. The maxillary plane ang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T2 - T3 / and occlusal planes of maxilla and mandible did not show significant / change after surgery.

As followed above results, the changes between prediction and exact measurements were considered separately at all landmarks and relapse amount according to surgery were also considered to achieve more reasonable surgical results
Files in This Item:
T00713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94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