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7 1075

Cited 0 times in

표면항원이 소실된 만성 B형 간질환 환자의 간조직학적 소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준용-
dc.date.accessioned2015-11-22T07:28:45Z-
dc.date.available2015-11-22T07:28:45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946-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는 우리나라에서 만성 간질환의 가장 중요하고 흔한 원인으로 HBV 만성 감염의 자연 경과는 바이러스의 증식에 따라 그리고, 환자의 면역 상태에 따라 면역관용기, 면역제거기, 비증식기로 구분할 수 있다.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 HBsAg)의 자연소실은 비증식기에 일어나며 HBV 감염이 주로 주산기나 초기 학동기에 발생하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북아시아에서는 HBsAg의 소실률이 서구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에는 이러한 HBsAg의 자연소실이 HBV 감염으로부터의 완전관해라 생각되었으나 최근에 분자생물학적 진단 방법의 발달로 인하여 적은 양이지만 HBV DNA가 간을 비롯한 체내에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HBsAg이 자연소실될 수 있는 시기, 즉 비증식기에 있다고 판단되는 만성 B형 간질환 환자에서의 HBsAg의 소실률과 HBsAg의 자연소실 후 간조직학적 소견 그리고, HBsAg이 소실된 후 환자의 혈청과 간조직에서 중합효소연쇄반응법(polymerase chain reac tion ; PCR)을 이용하여 HBV DNA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001년 10월부터 2002년 3월말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 내원한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 중 HBeAg이 최소 1년이상 음성이고 간효소치가 거의 정상으로 유지되어 비증식기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대상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HBsAg의 자연소실이 확인된 환자에서 혈액 채취 및 간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PCR법을 시행할 때 사용한 primer는 S gene을 포함하는 5’–GTCCTCTAATTCCAGGATC-3’(sense, 473-492), 5’-GATGCTGTACAGACTTGG-3’(anti-sense, 761-778)였다. 대상 환자는 총 430예(남자 ; 268예, 여자 ; 162예)로 평균 연령은 48.5 ± 10.2세(22세 ~ 74세)였다. 추적 관찰 기간 중 49예(11.4%)에서 HBsAg이 자연소실 되었으며, 이중 29예(59.2%)에서 anti-HBs가 양성화되었다. HBsAg이 자연소실된 환자 중 1예에서 HBsAg의 자연소실이 확인된 후 원발성 간암이 발견되었다. 또한, HBsAg이 양성인 시기에 시행한 간조직검사상 만성간염이었으나 HBsAg이 자연소실된 후에는 임상적으로 간경변증으로 진행된 경우가 2예 있었다. HBsAg의 자연소실과 연령, 성별, 가족력, 환자의 임상양상, 원발성 간암의 병력, 그리고 생화학적 간염활성도에 따른 관련성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HBsAg의 자연소실 확인 후 평균 2.1개월(1-5개월)에 15예에서 간조직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소엽내 간염활성은 정도는 미미하지만 여전히 남아있으며, 문맥/문맥주변부 간염활성은 거의 없었고, 섬유화 진행 정도는 다양한 정도로 관찰되었다. HBsAg이 자연소실된 후 13예의 혈청과 간조직검사를 시행한 15예의 간조직에서 PCR법으로 HBV DNA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였는데 혈청에서는 일반적인 PCR법으로는 HBV DNA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template와 PCR cycle 수를 증가시켰을 경우 HBV DNA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혈청에서는 PCR법으로 검출할 수 있는 검출한계 정도의 HBV DNA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간조직에서도 PCR법을 시행한 15예 모두에서 HBV DNA를 검출할 수 있었다. HBV 만성 감염의 자연 경과 중 비증식기에 HBsAg의 자연소실이 일부에서 생길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도 간을 비롯한 체내에는 적은 양이지만 HBV DNA가 여전히 존재하며, 간조직검사상 간세포의 손상 정도는 HBsAg이 양성인 시기에 비해 호전되지만 미미한 정도의 간염활성은 계속 남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Hepatitis B virus(HBV) is the most common cause of chronic liver disease in Korea and can lead to a variety of outcome. Chronic hepatitis B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immune-tolerance phase, immune-elimination phase, and non-replicative phase based on the relative level of HBV replication and the host immune response. The loss of serum Hepatitis B surface antigen(HBsAg) occurs in non-replicative phase. The loss of serum HBsAg in the natural history of patients with chronic HBV infection is considered an unusual event, especially in Northeast Asia, a hyperendemic area of HBV infection that usually occurs perinatally or during early childhood. Although loss of HBsAg was considered to the biological remission of HBV infection, recent studies of the presence of HBV DNA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in the serum and the liver of patients with chronic B-viral infection after loss of HBsAg have been reported. The significance of detectable HBV DNA after loss of HBsAg is unclear.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in Korea which is one of the endemic areas for HBV infection. The aim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HBsAg loss in chronic B-viral carriers in non-replicative phase, (2) to investigate liver histology after HBsAg loss, and (3) to analyze for the presence of HBV DNA in the serum and in the liver with PCR method after HBsAg loss. From Octerber 2001 to March 2002, a total 430 chronic HBsAg carriers(268 male and 172 female; mean age 48.5 ± 10.2 years), who were known to be seronegative HBeAg for at least 1 year and had near normal liver function tests, were prospectively observed in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PCR was used to evaluate both serum and liver of chronic HBsAg carriers after spontaneous loss of HBsAg. Surface gene primers (5’–GTCCTCTAATTCCAGGATC-3’ and 5’-GATGCTGTACAGACTTGG-3’) amplified a 320-base pair segment. Forty-nine patients(11.4%) lost serum HBsAg and seroconversion to anti-HBs was observed in 29 of the 49 patients(59.2%). One patient developed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HBsAg loss. Although liver histologic findings at the time of HBsAg-positive were chronic hepatitis, 2 patients progressed into liver cirrhosis clinically at the time of HBsAg loss. The loss of HBsAg was not associated with age, sex, family history, clinical status, history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biochemical hepatitis activity. Liver biopsies were obtained a mean of 2.1 months after loss of HBsAg in 15 patients. As for liver histologic findings after HBsAg loss, lobular activity remained minimal, porto-periportal activity was little, and fibrosis was found in various stag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HBsAg and HBcAg was negative in all 15. Serum collections were available for study in 13 of the 15 patients who were done liver biopsies. At the time of biopsy, HBV DNA was detectable in serum by PCR (template HBV DNA 3 ㎕, PCR cycle 40) in 13 patients all. Liver HBV DNA was demonstrated by PCR in all 15 patients. In conclusion, the loss of HBsAg does not necessarily indicate termination of chronic HBV infection and HBV DNA may be detectable by PCR in serum and liver tissue after loss of HBsAg. Although histologic findings improved in the face of HBsAg loss, minimal residual hepatitis activity can persist.-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표면항원이 소실된 만성 B형 간질환 환자의 간조직학적 소견-
dc.title.alternativeHistologic finding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with HBsAg loss.-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1675-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Jun Yong-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준용-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