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5 935

Cited 0 times in

가쪽날개근에 분포하는 아래턱신경 가지의 국소해부

Other Titles
 Topographic anatomy of the mandibular nerve branches distributed on the lateral pterygoid muscle. 
Authors
 강효창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가쪽날개근은 턱관절 운동과 관련된 씹기근육 중 하나로써, 근전도검사에 의하면 이 근육의 두 갈래는 상호적인 운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가쪽날개근의 위갈래는 입을 다무는 운동에, 아래갈래는 입을 여는 운동에 관여하며 이러한 위 아래갈래의 작용에 의해 입을 다물 때 턱관절원반은 제 위치에 자리잡게 된다. 지금까지 가쪽날개근의 위 아래갈래는 독립된 근육으로 생각되어져 왔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아래턱신경 가지의 이는곳 및 분포에 관한 맨눈해부학적 결과는 미비하다. 이에 저자는 시신 24쪽의 가쪽날개근과 아래턱신경을 대상으로 가쪽날개근의 위 아래갈래에 분포하는 신경

가지들을 미세 해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아래턱신경의 가지인 볼신경의 대부분은 가쪽날개근의 위 아래갈래 사이를 지나 볼쪽으로 달렸으나 (21쪽, 87.5%), 3예에서 아래갈래 사이를 지나 볼쪽으로 주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12.5%). 또한 볼신경이 관자근의 앞모서리에서 관자근의 앞근육다발에 의해 갇혀 달리는 경우를 8예 (33.3%)에서 관찰하였다. 아래턱신경의 줄기는 가쪽날개근 안쪽에 바로 인접하여 있었으며 가쪽날개근의 위 아래갈래에는 모든 예에서 아래턱신경의 가지들만이 분포하였다. 가쪽날개근의 위갈래에는 볼신경의 가지에서 나온 신경가지만이 분포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

며 (11예, 45.8%), 볼신경의 가지인 앞깊은관자신경만이 분포하는 경우 (4예, 16.7%), 볼신경의 가지와 앞깊은관자신경의 가지가 같이 분포하는 경우 (3예, 12.5%) 등이 관찰되었다. 그 외에도 가쪽날개근의 위갈래에 중간깊은관자신경 (2예, 8.3%), 볼신경의 가지와 중간깊은관자신경 (1예, 4.2%), 볼신경의 가지, 중간깊은관자신경 및 아래턱신경 줄기에서 직접 나온 신경가지 (2예, 8.3%) 그리고 아래턱신경 줄기에서 직접 나온 신경가지 만이 분포하는 경우 (1예, 4.2%)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가쪽날개근 아래갈래에는 볼신경의 가지와 아래턱신경 줄기에서 직접 나온 신경가지가 함께 분포하는 경우가 14예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58.3%). 그 외에도 볼신경에서 유래한 신경가지 (5예, 20.8%), 아래턱신경 줄기에서 직접 나온 가지 (3예, 12.5%)들이 아래갈래에 분포하였으며, 볼신경과 앞깊은관자신경의 가지가 분포하는 경우와 볼신경, 앞깊은관자신경 및 아래턱신경 줄기에서 나온 신경가지가 모두 분포하는 경우가 각각 1예 (4.2%)에서 관찰되었다. 한 표본에서 가쪽날개근의 신경분포 양상을 관찰하여 7가지 형태학적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이 중 위갈래에는 볼신경의 가지가 분포하고, 아래갈래에는 볼신경과 아래턱신경 줄기에서 일어난 신경가지가 함께 분포하는 경우가 11예로 가장 많았다 (45.9%). 또한 위․아래갈래 모두에 볼신경의 가지가 분포하는 경우도 5예 있었다 (20.8%). 가쪽날개근에 분포하는 신경의 가지가 아래턱신경의 가지와 연결되는 양상을 4예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가쪽날개근 아래갈래 근육다발 속에서 근육속신경고리를 이루는 경우도 5예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가쪽날개근에는 교과서에 기술된 볼신경의 가지가 분포하는 경우 외에도 아래턱신경 줄기에서 직접 일어난 가지뿐만 아니라 앞깊은관자신경, 중간깊은관자신경 등에서 일어난 신경가지가 위, 아래턱갈래에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이와 같은 아래턱신경 가지의 분포양상을 통해 가쪽날개근 두 갈래는 독립적인 신경지배를 가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임상적인 증상을 나타낼 수 있는 신경갇힘 양상 및 신경교통 양상은 신경질환의 진단 및 신경손상과 관련된 형태학적 변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According to the electromyographic study, the superior and inferior heads of lateral pterygoid, one of the masticatory muscles, are known to perform the reciprocal actions in mandibular movements; the superior head is active in closing movement, whereas the inferior head is active in opening of the jaw. Through these two reciprocal actions of these two heads, the articular disk of TMJ is seated in its resting position. Many reports regarded the superior and inferior heads of the lateral pterygoid as functionally independent muscles, but from a morphological point of view, the origin of the independent nerve innervation and intramuscular branching patterns of the mandibular nerve are unclear. Twenty-four adult hemi-sectioned heads were dissected to clarify the topography of the nerve

distribution on two heads of lateral pterygoid and also to determine the anatomico-clinical relevance related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Most buccal nerves were found to run between the superior and inferior heads of the lateral pterygoid (21 cases, 87.5%). In 3 cases, buccal nerves passed through the inferior head of the lateral pterygoid (12.5%). In front of the ascending ramus region, most buccal nerves ran in front of the temporalis without being entrapped within the temporalis (16 cases, 66.7%). However, in 8 cases buccal nerve passed in front of the temporalis being entrapped within the anterior fiber of the temporalis (33.3%).

In this study, the mandibular nerve trunk was located intimately to the lateral pterygoid. Both heads of the lateral pterygoid muscles were innervated from the mandibular nerve branches, but the patterns of nerve distribution were various.

Nerves innervated to the superior head of the lateral pterygoid had different origin. Only in 45.8% (11 cases), they originated from the buccal nerve. In 16.7% (4 cases) the nerve branches originated from the anterior deep temporal nerve only,

and in 12.5% (3 cases) from the buccal and anterior deep temporal nerve. In contrast, nerves innervated to inferior head of the lateral pterygoid showed different pattern of distribution. In 58.3%, nerves distributed on the inferior head originated from both the buccal and mandibular nerve trunk. In 20.8%, they originated from the buccal nerve only, in 12.5% from the mandibular nerve trunk only. In seven categories of the distribution of mandibular nerve branches, in only 20.8% (5 cases), both the superior and inferior heads of the lateral pterygoid had the common source of nerve innervation, the buccal nerve. In contrast, in 45.9% (11 cases) additional nerve twigs from the mandibular nerve trunk were distributed on the inferior head of the lateral pterygoid muscle. Author observed the pterygoid loop (ansa pterygoidea) located between the mandibular nerve trunk and the nerve innervating to the lateral pterygoid in 4 cases. In addition, the intramuscular nerve loop within the inferior head of lateral pterygoid was observed in 5 cases.

Summarizing these results, besides the buccal nerve mentioned in an anatomical textbook, nerve twigs originating directly from the mandibular nerve trunk innervated to the lateral pterygoid and the ones originating from the anterior and middle deep temporal nerves distributed on the lateral pterygoid muscle in various

manners. Considering the various patterns of nerve distribution on the lateral pterygoid, author concluded that the two heads of the lateral pterygoid are controlled by independent innervation. Furthermore, we found out that nerve entrapments and nerve communications are related with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with possible collateral route of motor innervation to the facial expression muscles, respectively.
Files in This Item:
T00705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87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