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8 475

Cited 0 times in

노인전문병원 이용자들의 생활만족도 관련요인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elderly(Between specialized geriatrics hospital, paid elderly nursing home and home-living elders in Pusan and Ulsan 
Authors
 김성민 
Issue Date
2002
Description
병원행정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어 보고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과 가정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2개 광역시에 위치한 노인전문병원 1곳에서 31명,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 2곳에서 60명과 가정 거주노인 24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2001년 10월 23일부터 11월 17일 사이에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내용은 거주형태별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주관적, 신체적, 심리적 건강상태, 배우자·자녀·손자녀와의 접촉빈도, 시설서비스·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및 생활만족도 등이다.

응답노인은 각각 남자노인 32명(27.8%), 여성노인 83명(72.2%)이었으며, 74세 이하 전기 고령노인이 39.1%, 75세 이상 후기 고령노인이 60.9%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형태별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서 연령, 자녀수, 경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은 65 - 74세에서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이 많았고, 75 - 84세에서는 가정이, 85세 이상에서는 노인전문병원과 가정이 많았다. 자녀수에서는 '4명 이상'에서 가정이 가장 많았고,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에서는 가장 적었다. 경제수준에서는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에서 '충분하다'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시설이용 관련요인 중 입소의사결정에서는 자녀의 결정이 병원에서 높았고, 기타가 시설에서 높았다. 입소기간에서 '6개월 미만'이 병원에서 높았고, 시설이 '12개월 이상'에서 높았다. 질병관련요인에서 질병유무는 병원, 시설, 가정의 순으로, 병원이 질병을 지닌 노인이 많았다. 질병의 종류는 심혈관계와 내분비계가 주된 질병이었다.

둘째, 배우자·자녀·손자녀와의 접촉빈도에서는 자녀, 손자녀의 방문빈도 및 연락빈도에서 병원이 시설보다 빈도가 높았다. 건강상태 관련변수 중 주관적 건강상태는 가정이 가장 좋았고, 병원, 시설 순 이었다. 신체적 건강상태에서 자가목욕능력, 배설조정능력, 대외활동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가정이 병원과 시설보다 높았다. 심리적 건강상태에서 날짜기억능력, 행복지수, 외로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가정이 시설과의 비교에서 유의하게 높은 심리적 건강상태였다.

셋째, 시설서비스 만족도(전항목), 의료서비스 만족도(전항목), 거주생활만족도(긍정, 부정 전항목), 과거와 비교만족도(전항목)에서 거주형태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병원의 만족도가 높았고 시설, 가정의 순으로 높았다.

넷째, 노인전문병원의 거주노인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시설서비스 만족도가 생활만족도와 가장 관련이 깊은 요인이었고, 다음으로는 노인의 심리적인 건강상태가 유의한 요인이었다. 거주시설별 만족도 비교에서는 노인전문병원이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이나 가정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노인전문병원이 생활만족도가 높은 이유가 시설서비스 만족도와 심리적 건강상태임을 볼 때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설 서비스 중 특히 시설 전체의 분위기와 여가시설, 편의시설, 안전시설, 교양 및 여가프로그램 시설과 같은 시설설비의 확충과

환경의 질적인 향상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노인전문병원에 비해 낮았음을 고려해 볼 때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의 시설의 확충과 서비스 수준의 향상,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가정에서도 노인을 위한 시설보완과 심리적 안정을 위한 부양자들의 관심과 배려가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2개 광역시를 위주로 한 한정된 지역과 적은 수의 표본에 의존한 연구였다는 제한점을 가지며,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의 노인 수와 가정노인의 수가 매우 적어 조사대상 노인 비율에 현격한 차이를 보여 시설 유형별 비교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차후에 좀더 대규모의 표본을 대상으로 거주형태별노인 표본을 보완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 연구는 거주형태별 노인 중 응답이 가능한 노인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조사에서 제외된 정신장애나 중증질환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도 간과되어서는 안될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이들 노인의 보호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를 포함하여 그 범위를 확장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주거환경과 인성(personality trait)의 생활만족도와의 상호작용을 연구한 Heineken 와 Spaeth G(1988)의 연구에서는 주거의 조건보다는 인성이 더욱 생활만족도와 관련이 깊은 변인으로 밝혀졌는데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인성을 포함한 연구도 있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노인전문병원이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이나 가정보다 생활만족도가 높다는 결론이었지만, 그 요인이 시설서비스나 심리적 건강상태에 있음으로 3곳의 거주유형 모두 시설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질의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노인들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노력을 강구해야 한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핵심어 : 생활만족도, 노인, 노인전문병원,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able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in specialized geriatrics hospital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s living at home and in paid elderly nursing home.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31 elders from 1 specialized geriatrics hospital and 60 elders from 2 paid elderly nursing homes, and also to 24 home-living elders in 2 major cities, during the term from Oct 23.2001 to Nov 17.2001.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person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frequency of meeting or getting in touch with spouse, children and grandchildren, facilities and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The respondents were 32 male elders(27.8%) and 83 female elders(72.2%). 39.1% of the respondents was under 75 years and 60.9%, over 75 year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by residential form, age, number of children, and financial statu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Elders between 65 and 74 stays mostly in paid elderly nursing homes, between 75 and 84, at home, and over 85, in specialized geriatrics hospital. In number of children, 'More than 4' is highest at home and fewest in paid elderly nursing homes. In financial status, 'Enough' was relatively high in paid elderly nursing homes. Also, among factors for using facilities, 'decision of children' was high in hospital and 'others' was high in paid elderly nursing homes. In term of stay, 'Less than 6 months' is high in geriatrics hospital and 'More than 12 months' is high in nursing homes. In factors concerning sickness, itshows hospital, nursing home and home in

order, and the number of sick elders is high in hospital. The kind of sickness is concerning cardiovascular system and endocrine system.



Second, in frequency of contact with spouse, children and grandchildren, hospital shows higher frequency in meeting or getting in touch with spouse, children and grandchildren than nursing home. Among related variables regarding health status,

home marks the highest in personal health status and hospital and nursing home follow in order. In physical health status, significant difference has been shown in bathing, controlling of evacuation and going out. Home marks higher physical health status than hospital and nursing home. In psychological health status, significant difference has been shown in ability to remember date, pleasant feeling and loneliness. Compared to nursing home, home shows higher psychological health status.



Third, hospital marks highest satisfaction in facility service(all items), medical service, residential life(all positive and negative items), and comparative satisfaction to past(all items). Nursing home and home follow in order.



Fort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in specialized geriatrics hospital, facility service is a highly relevant variable in life satisfaction and the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lso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 satisfaction by residential form, specialized geriatrics hospital marks higher difference than paid elderly nursing home and home.



Considering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in specialized geriatrics hospital due to the satisfaction in facility service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improvement in quality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 such as overall circumstances of the

facilities, recreational facilities, convenient facilities, safety facilities, should be highly focused on in order to promot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Especially, considering the satisfaction in paid elderly nursing home is low compared to specialized geriatrics hospital, improvement in quality of facilities and service of paid elderly nursing home should be done. Also the supporters of the

aged should care for and pay attention to the aged at home for making up facilities and psychological composure.

This research is limited in fact that it has been conducted to limited area and small number of samples, based on 2 metropolitan cities. Since the number of the aged in paid elderly nursing home and home is small and shows great difference in percentage of the questioned aged, generalization of the research by facility

types. Supplementary research in larger samples by residential forms is needed in future. Furthermore, this research is only applied to the aged who could respond to t도 questionnaire. The research in life satisfaction for the excluded aged with mental disorder and serious illness shouldn't be overlooked. Therefore, plans are needed to extend the limit including the research in awareness of the custodians of the aged. Also, from the research of Heineken and Spaeth G(1988) investigating the interaction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personality

trait, personality trait has been discovered as a highly relevant variable in life satisfaction rather than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tudy including personality trait highly affective variable to the life satisfaction to the aged should also be done.



The result of this thesis is that specialized geriatrics hospital marks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paid elderly nursing home and home. However, considering the factors are all in facilities service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the importance of the facilities service for the 3 above mentioned residential forms should be recognized and the efforts should be done for psychological composure of the aged.
Files in This Item:
T00702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85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