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3 645

Cited 0 times in

태아와 성인의 원반망치인대 및 앞망치인대의 국소해부학

Other Titles
 Topographic anatomy of the discomalleolar and anterior malleolar ligament in human adults and fetuses 
Authors
 심경섭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원반망치인대는 사람의 턱관절 발생 중에 나타나며 어른에서는 턱뼈머리절제술이나 턱관절의 관절경수술 도중에 가운데귀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는 구조로 중요한 임상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가쪽날개근이 관절원반을 앞, 안쪽으로 과도하게 잡아당기는 턱관절 장애시, 관절원반이 앞, 안쪽으로 변위되어 망치뼈에 연결된 원반망치인대와 앞망치인대에 의해 가운데귀 손상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고 되어있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원반망치인대 및 앞망치인대에 대한 발생학 및 조직학적 연구들을 보고한 바 있으나, 저자들에 따라 원반망치인대의 존재와 앞망치인대의 형태학적 특징 및 임상적 고찰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한국인의 태아 4쪽과 성인의 머리 16쪽을 대상으로 미세해부를 시행하여 원반망치인대의 존재를 확인하고 원반망치인대와 앞망치인대

의 국소해부학적 관계 및 턱관절 장애와 관련된 해부-임상적 연관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태아표본에서 관절원반에 부착된 원반망치인대는 뚜렷하게 망치뼈와 연결되어 있었고, 앞망치인대는 망치뼈부터 앞쪽으로 위, 아래층판으로 나뉘어 달리고 장래의 바위고실틈새를 지나 나비아래턱인대로 계속되어 연결되는 양상이었다.

2. 원반망치인대는 모든 어른 표본에서 관찰되었으며, 망치뼈 앞쪽에서 관절원반의 뒤안쪽으로 넓게 퍼지어 뚜렷한 세모꼴의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인대로 관찰되었다.

3. 망치뼈의 앞쪽에서 고실 앞벽까지의 거리는 평균 1.13mm (최소 0.75∼최대 1.59), 망치뼈 앞쪽부터 바위고실틈새에서 원반망치인대가 관절주머니로 부착되는 부위까지의 거리는 평균 5.37mm (최소 4.53∼최대 6.07)였다. 한편 바위고실틈새 부위에서 원반망치인대의 평균 폭은 6.06mm (최소 4.72∼최대 7.46)였다.

4. 원반망치인대의 뒤쪽 부착부위는 망치뼈에 직접 부착되는 경우 (11쪽), 앞망치인대를 통해 간접적으로 망치뼈에 부착되는 경우 (2쪽), 그리고 두 가지 모두 망치뼈에 직접 또는 앞망치인대를 통해 간접으로 부착되는 경우 (3쪽)로 분류할 수 있었다. 원반망치인대

의 앞쪽 부착부위는 모든 경우에서 관절원반과 관절주머니에 닿고 있었으며 안쪽 모서리는 바위고실틈새의 앞안쪽 부위에 부착되었다.

5. Huguier 관의 중간 뼈융기로 인해 앞망치인대는 원반망치인대가 달리는 부분과 구분되어 주행하는 경우 (9쪽, 56.3%)와 원반망치인대와 앞망치인대가 분리되어 주행하는 경우 (7쪽, 43.7%)로 나뉘어 관찰되었다.

6. 앞망치인대는 대부분 위, 아래층판으로 구분되지 않았으나 앞망치인대의 위쪽 섬유의 일부는 바위고실틈새의 앞안쪽 부위에 부착되고 아래쪽 인대 대부분은 바위고실틈새를 지나 나비아래턱인대로 연결되고 있었다.

7. 망치뼈 앞모서리에서 앞망치인대가 바위고실틈새를 통해 나가는 지점까지의 거리는 평균 8.40mm (최소 6.62∼최대 11.42)였으며, 이 부위에서 고실끈신경 사이의 거리는 2.01mm (최소 1.25∼최대 3.02)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모든 어른 표본에서 관찰된 원반망치인대는 표본에 따라 그 형태와 두께가 다양하였으며 뒤쪽으로 원반망치인대가 망치뼈에 부착되는 부위의 형태도 다양하였다. 또한 아래턱을 내림에 따라 원반망치인대를 통한 망치뼈의 움직임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앞망치인대는 바위고실틈새를 통해 나비아래턱인대로 연결되어 있어서, 아래턱을 과도하게 움직였을 때 나비아래턱인대와 앞망치인대를 통한 가운데귀의 임상적 장애가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었다.



--------------------

핵심되는 말 : 원반망치인대, 앞망치인대, 나비아래턱인대, 고실끈신경, 망치뼈, 턱관절원반, 바위고실틈새

[영문]

During temporomandibular joint (TMJ) formation, discomalleolar ligament (DML) and anterior malleolar ligament (AML) are formed within the dorsal end of the 1st branchial arch. But, DML is known as a remnant or the degenerated tissue through the TMJ development. There is few reports said that damage of AML and DML cause the damage of middle ear during surgical procedures. Especially, in case of anterior disk displacement of TMJ, aural symptom can be made via DML due to hyperextension anteriorly. A few studies have been reported about DML and AML in embryological and histological points of view, morphology and clinical aspects of DML and AML are still unclear. Four fetus and sixteen adult hemi-sectioned heads were dissected to clarify the topographical relationship of AML and DML and to find out the anatomico-clinical relevance related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In fetal specimens, DML was firmly attached from the disk of the TMJ to the malleus. Also, AML in which distinguished into the superior and inferior lamellae was running anteriorly and continuous with the sphenomandibular ligament (SML) through the future petrotympanic fissure (PTF). DML attached to the malleus was observed in all adult specimens and was expanded broadly to the disk and capsule of the TMJ as shown the V shaped-ligament structures.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anterior aspects of the malleolar head to the anterior wall of the tympanic cavity

was 1.13mm (0.75∼1.59), and the length of the DML from the anterior aspect of the malleolar head to the attached site to the TMJ capsule at the PTF was 5.37mm (4.53∼6.07). The average width of the DML at the PTF was 6.06mm (4.72∼7.46). Most of the posterior attachments of the DML were the cases in which DML was directly attached to the malleus (68.7%). In all specimens, DML was attached to the disk and capsule of TMJ and attached to the anteromedial border of the PTF concurrently.

In this study, two morphological patterns of AML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he bony ridge on the Huguiers canal in the PTF. The bony ridge of the Huguiers canal showed DML and AML separately in 56.3%, and the fused pattern of DML and AML was observed in 43.7%. AML was not distinguished with two lamellae in most specimens, superior ligament fibers were attached to the anteromedial border of the PTF and most of the inferior lamella was entering the gap in PTF and continuous with the SML. Average length from the anterior aspect of the malleolar head to the exit point of the AML on the PTF was 8.40mm (6.62∼11.42), and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AML and chorda tympani was 2.01mm (1.25∼3.02).

Taken all together, DML and AML were not the rudimentary, but the distinguishable structures in adults. Through the various morphological findings, DML and AML were separated ligamentous structures in which might be given rise from the divergent

origin. And the anterior hyperextension of the disk of TMJ did not lead the movement of the malleus in the tympanic cavity, whereas, the movement of the malleus followed by the traction of the AML and SML was observed in a few cases.

So, this results can be explained the possibility of the clinical symptom on the middle ear in case of the over-traction of the AML and SML.
Files in This Item:
T00699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82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