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8 1425

Cited 0 times in

노인 운동행위 변화단계별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윤정-
dc.date.accessioned2015-11-22T07:25:36Z-
dc.date.available2015-11-22T07:25:3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825-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하여 노인 운동행위 변화단계별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로,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조사,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 평가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조사는 2001년 5월부터 6월까지 한 달간 서울시 일개 구에 위치한 노인정에서 만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8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개별면담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운동관련경험, 운동행위 변화단계 및 변화과정 질문지를 포함하였다. 결과는 기술통계와 χ²-test 및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은 기초자료조사의 결과와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작성된 프로그램의 기본틀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주로 사용되는 주요전략을 내용으로 하는 프로그램과 3권의 교육자료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과 교육자료의 내용은 전문가 8인에게 의뢰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교육자료의 내용은 65세 이상의 노인 1인에게 의뢰하여 추가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개발된 노인 운동행위 변화단계별 중재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는 단일집단 사례연구방법에 따라 2001년 10월에서 12월 사이에 서울시 일개 구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자에 의하여 8주간 시행되었다. 면담은 개별면담과 집단토론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면담의 내용과 면담시 관찰사항은 녹음하고 기록하여 면담일지로 작성하였다. 1주일 간격으로 시행된 면담은 대상자의 운동행위 변화단계를 확인한 후 그에 적합한 전략과 교육자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변화단계가 이동한 경우에는 변화과정의 점수를 재측정하였다. 사례연구의 결과는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조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75세 이상의 노년후기의 노인들이 대부분(71.9%)으로, 연령이 많기 때문에 여성이고 무배우자인 대상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노인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들의 대상집단에 비해 교육수준이 높고, 대상자가 보유한 질환의 수는 적었다. 대상자들의 운동행위 변화단계는 계획전단계가 33.7%, 계획단계가 4.5%, 준비단계가 6.7%, 행동단계가 9.0%, 유지단계가 46.1%로 나타나 계획전단계와 유지단계로 양분되는 현상을 보였다. 각 변화단계별로 다른 변화과정들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는 변화과정들이 있었는데, 준비단계에서 행동단계로 이동하는 시점에서는 행동적 과정에 속하는 변화과정들의 점수가 경험적 과정들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사회적해방은 전 단계에 걸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었고, 조력관계는 변화단계의 이동에 따른 증가의 폭이 가장 작았다. 성별에 따라 각 변화단계에서 나타나는 변화과정의 점수 양상에는 차이가 없었다. 2. 개발된 노인운동행위 변화단계별 중재프로그램은 구체적인 중재 전략을 포함하는 상담지침 형식의 프로그램과 3권의 교육자료로 구성되었다. 3.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사례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례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8명으로, 연령은 75세에서 87세였다. 성별은 모두 여성 이었으며, 첫 면담시 대상자들의 운동행위변화단계는 모두 계획전단계에 속하였다. 이들에게 운동행위의 변화단계에 따라 주로 사용되는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개발된 중재프로그램을 변화단계별로 제공했을 때 대상자별로 차이가 있었지만 전 대상자들이 7주 이전에 행동단계에 도달할 수 있었고, 변화단계별로 중심이 되는 변화과정의 점수가 그 외의 변화과정들의 점수들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계획전단계에서 준비단계에 이르는 기간 동안에는 경험적 변화과정이 행동적 변화과정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나, 준비단계에 서 행동단계가 되는 기간에는 행동적 변화과정의 점수들이 경험적 변화과정들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2) 운동행위 변화단계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은 범이론적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과 일치하였다. 계획전단계에 속하는 대상자들에게는 운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운동에 대한 이해를 높여 주고(의식고양), 자신이 운동을 해야하는 필요성을 깨닫게 하며(극적이완), 대상자가 운동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신체적, 사회적 이익을 스스로 숙고하도록 하는(환경재평가) 기회를 줌으로써 운동을 하고자 하는 의도를 키워주는 것이 도움이 되었다. 계획단계의 대상자들에게는 운동이 필요한 것인지를 알면서도 행하지 않는 자신의 행동과 가치의 불일치를 깨닫게 하고(자기재평가), 운동에 대한 개인의 인지와 자신이 운동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켜 줌으로써(사회적해방) 각자가 가지고 있는 장애요인을 돌아보도록 하는 방법이 효과적이었다. 준비단계의 대상자들에게는 구체적으로 운동의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운동의 구체적인 방법을 가르쳐 주고 운동행위를 실제적으로 경험하게 함으로써 운동을 시작할 수 있는 실마리와 단서를 제공하고(자극관리), 자신 및 타인과의 약속을 통해 자신감과 의지를 강화시켜주는 것(자기해방)이 효과적이었다. 행동단계의 대상자들에게는 운동을 생각나게 하는 단서들을 제공하고(자극관리),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격려해 주며(강화관리), 가족, 친구 혹은 연구자가 도와주는 것(조력관계)이 운동을 지속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3) 대상자들이 운동행위를 실천하는데 장애가 된다고 하는 요인으로는 단지 운동을 하기 싫거나, 운동하면 숨이 차거나 힘이 들고, 통증이 있기 때문에 운동을 하지 못한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다. 대상자들이 운동을 실천하는데 장애를 극복한 방법으로는 '걷기 운동을 대신 실내에서 혼자 할 수 있는 운동방법을 배움', '자신과의 약속/ 운동약속', '운동의 단서(운동순서 유인물)'가 사용되었다. 4) 노인들에게 개발된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는 요인으로는 대상자의 연령과 선호도를 고려한 운동유형, 개별교육 및 상담을 중심으로 한 면담 및 교육의 형태, 대상자의 신체적, 인지적 기능을 고려한 교육자료를 들 수 있다. 사례연구의 대상자가 모두 75세 이상의 고령이기 때문에 선호하는 운동의 종류가 걷기 운동이나 근력강화 및 유연성운동 등에 국한되었고, 특히 80세 이후의 노인들이나 건강상태가 좋지 못한 노인들은 실내에서 혼자 쉽게 실시할 수 있는 근력강화 및 유연성운동을 선호하였다. 이들은 처음에 걷기 운동만을 권했을 때는 규칙적인 운동을 시행하지 못하다가 실내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운동의 방법을 교육한 후에 행동단계가 되었다. 면담 및 교육의 형태에 있어서 노인들은 단체교육보다는 개별적인 면담을 선호하였고, 그림이나 큰 글씨를 이용한 이해하기 쉬운 교육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시력이 저하되고 인지력이 저하된 노인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교육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뿐만 아니라 교육내용으로 운동으로 얻을 수 있는 신체적 이익보다는 타인에게 짐을 주지 않을 수 있음을 강조하고, 노인들의 생활방식에 적합한 장애극복방법 및 운동의 방법과 같은 교육내용들을 노인들의 특성에 맞추어 재구성한 것이 도움이 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노인 운동행위 변화단계별 중재프로그램은 노인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범이론적 모형을 토대로 개발되었으며, 지역사회의 노인들에게 적용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노인의 운동행위를 성공적으로 촉진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지역사회 간호사가 현장에 적용하여 활용하며, 특히 집단적으로 주어지는 운동교육만으로 쉽게 운동을 실천하지 못하는 대상자들에게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영문] A program to effectively increase exercise behavior in urban elders was developed and evaluated in this study. Three phases, basic data collection,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were used. Basic data collection was done in May and June 2001. Participants were 89 urban elders. The questionnaire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exercise related experience, stage of change of exercise behavior, and process of chang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and content analysis. Program development from the basic data and literature review was guided by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consisted of strategies to increase the process of change used in each stage of change.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done in October and December 2001 using a case study method. Eight urban female elders participated. Interviews were done each week, personally or in a group. Each elder receiv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ogram strategies and education materials. If a subject's stage of change moved, the process of change questionnaire was answer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lders who participated in the basic data collection were over 75 and the majority were women. Their educational level was higher than those in other studies, while the number of disease they had was less. Their stage of change was divided into precontemplation and maintenance. At all stages of change social liberation scores were high. Processes of change scores for each stage did not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2. The stage-matched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which was developed consisted of one program and three different educational materials. 3. The cas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articipants were 8 women between 75 and 87. At the beginning all of them were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All of them reached the action stage before 7 weeks. The processes of change that were the focus in each stage increased more than other processes of change. During early stages of change, experimental processes increased more than behavioral processes. The reverse was found during later stages of change. 2)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were same as the transtheoretical model. The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effective in the move out of any stage. 3) Barriers to exercise were 'don't want to exercise', fatigue, shortness of breath and pain. Methods for overcoming barriers were 'alternative exercise methods that can be done at home', 'promise to oneself/exercise promise', and 'cues to exercise'. 4)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were an exercise pattern reflecting age and preference, individualized intervention, and education materials appropriate to elders. Women over 80 preferred muscle strengthening and stretching exercise, because they can be done at home. They also preferred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easy to read materials and appropriate education content. In conclusion, the stage-matched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for elders which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s was effective. -------------------- Key words : elder, stage of change, process of change, stage-matched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노인 운동행위 변화단계별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tage-matched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for elders : application of transtheoretical model. : 범이론적 모형의-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wan, Yeun Jung-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