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 312

Cited 0 times in

의약분업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에 대한 조사

Other Titles
 (A) survey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medicine : with visitors of family medicine clinic in one 
Authors
 권혁중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의약분업은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을 전문의료인인 의사가 환자의 증상을 진단하여 처방하고, 그 처방전에 따라 전문적으로 의약품을 조제?판매하는 약사가 복약지도 후 환자가 사용토록 하는 제도이다. 유럽에서 1231년 독일의 황제 프리드리히 2세의 의약법을 효시로 하여 선진 각 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도로 우리나라에서는 1963년 약사법에 의약품 오남용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의약분업 원칙을 명시하면서 논의하기 시작하였으나, 의료여건의 미비로 실시하지 못하고 미루어오다가, 최근에서야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2000년 7월부터 시행하였다. 의약분업은 의사와 약사가 각 직능간의 역할을 분담하여 처방 및 조제 내용을 서로 점검하고 협력함으로써 약의 오남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의료비의 감소, 질 좋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의료 소비자들에게 상당한 이익을 준다고 하였으나, 의약분업의 비용-편익 분석 연구에서는 한국의 의약분업은 소비자의 관점에서는 별로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하였다. 의약분업이 실시된 지 1년이 지났지만,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가 의약분업에 대한 내용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새로운 제도의 시행의 효과에 대한 논란이 많아서, 의약분업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 및 의약분업 실시 후 만족도, 파생되는 효과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환자 교육 및 제도의 보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기 위해 2001년 8월 20일부터 9월1일까지 일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 559명중 중복환자 39명을 제외한 520명 모두를 대상으로 설문목적을 설명하고, 이에 동의한 429명을 대상으로 질문 조사하여 성실히 답변한 383건의 질문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의약분업제도에 대한 지식은 73.1%에서 정확히 알고 있었으나, 의약분업의 목적을 묻는 것에 대한 4가지에 모두 답한 경우는 1.6%밖에 되지 않았고, 노인층, 저학력자, 월수입이 적은 경우, 농촌 거주자 등에서 낮은 지식 수준을 보였다.(P<0.05) 의약분업에 대한 태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응답을 한 경우가 74.9%이었고, 의약분업 실천에 대한 사항 중 치료시간과 비용은 각각 75.7%, 75.2%에서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의약분업 지속 여부에 대한 의견에 대해서는 61.1%가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의약분업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73.1%는 불편하지만 참을 만 하다라고 응답하였으며, 20.1%는 참기 어려울 정도로 불편하다고 하여, 응답자의 93.2%에서는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의약분업에 대한 지식의 수준은 비교적 높았으나, 태도, 실천, 의약분업 지속 여부, 만족도 및 효과는 부정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완전한 의약분업의 조기 정착을 위해서 의약분업에 대한 지속적 홍보, 새로운 교육방법 및 여러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겠다.



--------------------

핵심되는 말; 의약분업, 지식, 태도, 실천, 만족도, 효과

[영문]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medicine is the policy under which medical doctors diagnose patient's health condition and prescribe according to their diagnosis, and pharmacists dispense medicine based on the prescription including informations of the proper usage of medicine. In Europe,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medicine was initiated in Germany in 1231 based on the drug law of the Emperor Fredlich II and the practice and carried out throughout the developed countries. In Korea,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medicine was finally accepted as a medical policy in July, 2000 after a long period of discussion and study which was started in 1963.

Th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medicine, when carried out properly and effectively, might provide some advantages such as reduction of drug abuse and medical costs, and better medical services for patients through cooperative efforts

between doctor and pharmacist. However, the investigation of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medicine in Korea revealed some unsatisfactory result in view of cost effectiveness and convenience. Although it has been a year since the beginning of the practice, patients don't understand properly what the policy is for and there still exist controversies over the policy. Informations concerning whether the policy is effectively carried out and well understood were gathered from 383 patients who visited an university hospital from August 20, to September

1, 2001. The results reveal that 73.1% of them knew the policy precisely. However, only 1.6% of them could answer all four questions which ask about the purpose of the policy. The old-aged, the low educated, the low socioeconomic groups and residents in agricultural area revealed poor understanding of the policy(P<0.05).

74.9% showed negative response toward the policy. Time and cost increment were revealed 75..7% and 75.2%, respectively. 61.1% revealed negativeness to the continuous practice of the policy.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policy is as follows: tolerably uncomfortable 73.1%, untolerably uncomfortable 20.1%.

In conclusion, the level of the knowledge over the policy was relatively high.

However, they were negative in view of their attitude toward the policy, continuous practice of the policy,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Therefore, more solutions and better strategies for early settlement of complete separat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medicine will be needed.
Files in This Item:
T00696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79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