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 820

Cited 0 times in

급성출혈의 조기 예측인자로서 중심정맥산소포화도의 유용성

Other Titles
 Usefulness of central venous oxygen saturation as an early indicator of acute blood loss. 
Authors
 윤천재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급성출혈이 있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출혈의 존재여부와 출혈의 정도를 예측하는 것은 환자를 대하는 임상의들의 일차적 관심사이다. 생체징후나 이학적 검사만으로 출혈의 정도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이를 위한 방법들이 연구되어 랐핀 혼합정맥산소포화도가 출혈의 양에 따라 감소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혼합정맥산소포화도는 폐동맥도관삽입술이라는 침습적방갭에 의해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응급센터에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이를 대체하는 방법으로 중심정맥산소포화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수치는 혼합절맥산소포차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엄밀히 이야기란다면 출혈 후에포 뇌혈류는 정상에 가깜게 유지되므로 중심정맥보다는 하대정맥이 출혈에 더 빨리 반응할 것이고 이 혈류가 유입되는 우심방의 산 소고화도가 상대정맥산소포화도보다 더 민감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급성출쳔이 예상되는 환자에서 상대정맥산소포화도와 우심방산소포화도를 측정하여 출힐의 조기예측인자로 사용가능한지를 검증하고자하였고 이를 다른 생체징후나 현중 젖산농도, 염기과잉 등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출혈케 따른 꾸액툰여 필요량 및 수혈량과 관련 있는 초기인자가 무엇인지 알아또고자 하였다.

출혈이 예상되는 관자 중 내원시 저혈압이 아닌 환자들을 대상으로 초기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중심정맥관을 삽입하여 상대정맥과 우심방에서 각각 혈액을 채취하여 산 소포화도를 측정하였다. 더불어 요골동맥을 통해 동맥혈을 채취하여 동맥혈가스분석과 젖산농도를 측정하였다. 환자들은 임상경과에 따라 치료를 하였으며 6시간 동안 응급센터에서 관찰하였다. 환자들 중 6시간 내에 저혈압이 발생하거나 수혈이 필요했던 환자(ll군)를 6시간동안 안정적인 환자논(I군)과 비필하였다.

총 환자는 20명이었고 이들의 평균연령은 46.4±16.2세였고, 1군과 ll군은 각각 10명이었다 통계적으로 I군과 II군에서 평균값의 차이를 보이는 초기인자는 맥박수와 상대정맥산소포화도, 우심방산소포화도였다. (p<0.05, Mann-Whitney검정) 또한 6시간 동안 투여한 수액량 및 수혈량과 관련된 인자는 상대정맥산소포화도와 우심방산소포화도였다. (p<0.05, Spearman의 상관관계) 상대정맥산소포화도와 우심방산소포화도는 거의 일치했으며 (r=0

.961, p<0.05, Spearman의 상관계수) 상대정맥산소포화도가 우심방산소 포화토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상대적으로 출현의 정도가 심한 환자는 출혈량이 많지 않았던 환자에 비해 중심정맥산소포화도(상대정맥산소포화도와 우심방산소포화도)가 낮게 나오며 이들은 내원 후 6시간동안 필요한 수액량과 수혈랑이 많았다. 또한 임상적으로 상대정맥산소포화도와

우심방산소포화도는 거의 같은 수치를 보이며 모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출혈의 조기예측인자고 사용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핵심 되는 말: 중근짙맥산소포화도, 급성출혈,

[영문]

Monitoring acute blood loss and estimating the quantity of blood loss are essential for clinicians in managing patients suggesting blood loss. It is impossible for clinicians to estimate the quantity of blood loss with vital sills and physical examination. It is well known that the value of mixed venous oxygen

saturation(SvO2) is decreased proportional to blood loss. But Swan-Ganz catheterization is invasive procedure and not avai ladle in ED. Central venous oxygen saturation(Scv02) has been shown to mirror SvO2. Strictly speaking, Rt. atrial oxygen saturation(S7O2) rather than Ssv02(Superior Vena Cava Oxygen

Saturation) reflects the quantity of blood loss more accurately because cerebral blood flow is maintained during acute blood loss more accurately because cerebral blood flow is maintained during blood loss until late stage of shock.

We evaluated the usefulness of Scv02 as an early indicator of acute blood loss in patients suggesting blood loss and compared with other parameters such as blood pressure, pulse rate, lactate, and base excess. We evaluated which parameters correlate with fluids and transfusion that were infused too. Central venous

catheter is inserted in patients suggesting blood loss. Initially, vital signs, Ssv02, SRA02, lactate, and base exess were measured. Patients were divided by two group. In 6 hrs of ED stay, Group I were stable patients who did not need

transfusion and not become hypotensive. Group ll were unstable patients who did need transfusion or become hypotensive.

Twenty patients with mean age 46.4±16.2 were enrolled. Group 1 and 11 were 10 patients each Dther Different parameters of two groups were Ssv02, SnA02, PR. (p<0.05, Mann-7hitney test) The parameters correlated with the quantity of fluids and transfusion were Ssv02 and SRAO2. PR. (p<0.05,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Ssv02 was closely correlated with Sr,702(r=0.961,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ost values of Ssv02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SRA02.

We concluded that Ssv02 and S7O2 are more decreased in patients with relatively large quantity of blood loss than small amount of blood loss. Ssv72 and SRA02 are reliable initial markers of acute blood loss.
Files in This Item:
T00692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75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