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3 604

Cited 0 times in

급성 염증을 동반한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 혈청 렙틴(Leptin)과 급성기 반응 물질의 변화

Other Titles
 Serum leptin and acute phase reactants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CAPD) patients with a 
Authors
 김주성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의과학사업단/석사
Abstract
[한글]



말기 신부전 환자에 있어서 혈청 렙틴 농도가 증가되어 있음이 여러 연구 보고에 의해 증명되어 있으며, 이러한 렙틴 농도 증가가 이들 환자들에서 흔히 관찰되는 식욕 감소 및 영양 실조를 유발하는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주장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복막투석 환자에서는 혈청 렙틴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되며 이는 정확한 기전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신장 제거율의 감소와 함께 고인슐린혈증, 염증 반응등에 의한 이차적인 생성 증가 등이 관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염증 반응과 혈청 렙틴과의 연관성에 관한 여러 보고가 되고 있지만 실제 투석 환자들에서 염증 반응이 혈청 렙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막투석 환자에 있어서 혈청 렙틴과 급성기 반응 물질의 상관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시행하여 급성 염증 반응 동반시 혈청 렙틴 농도의 변화와 환자의 영양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말기 신부전으로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받는 환자중 급성 염증(복막염, 폐렴)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혈청 렙틴과 급성기 반응 물질, 다른 혈액학 인자 및 체중, 체질량지수를 각각 급성 염증시(초기), 염증 회복시(2주), 평상시 상태(6주)에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1. 혈청 렙틴 농도는 초기에 가장 높았으며, 2주후와 6주후에는 감소하는 소견을 보였으며, 특히 남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급성기 반응 물질인 CRP를 비롯한 혈액 백혈구수, 중성구수등은 초기에 가장 높았으며 2주후 및 6주후에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정상 범위로 회복되었다.

3. 혈청 렙틴의 변화는 급성기 반응 물질의 변화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염증의 지표인 혈액 백혈구수와 중성구수의 변화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염증을 유발하는 싸이토카인 TNF-α의 변화와도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받는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급성 염증시 혈청 렙틴이 증가하지만 체중과 체질량지수의 변화는 없었으며, 렙틴의 증가가 식욕 및 영양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본 연구 결과로 확실하게 언급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말기 신부전으로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시행받는 환자에서 급성 염증이 동반시 다른 급성기 반응 물질과 같이 혈청 렙틴 농도는 상승하나, 급성기 반응 물질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관찰할 수 없었다. 하지만, 염증의 지표인 혈액 백혈구수 및 싸이토카인인 TNF-α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급성 염증 동반시 증가되는 혈청 렙틴 농도가 식욕 감퇴와 영양 상태의 불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핵심되는 말 : 렙틴, 급성기 반응 물질,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영문]

Leptin is 16kDa peptide hormone synthesized and secreted by adipocyte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energy metabolism and weight. Elevated leptin levels have been documented in uremic patients, especially in those who are treated by peritoneal dialysis. Although the decrease of glomerular filtration rate, hyperinsulinemia and inflammation are suspected to play a role in increasing the leptin level in uremic patients, the exact cause of hyperleptinemia is still not clear. Recently, many literatures repor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ammatory reaction and serum leptin level, but revealed conflicting results. The aim of the present prospective study was therefore to study longitudinal changes in leptin during acute inflammation in patients under peritoneal dialysis and correlate with the changes in acute phase reactants and also to ascertain the role leptin plays on nutritional aspect of these patients.

28 patients under going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due to chronic renal failure with acute inflammation(peritonitis or pneumonia) was enrolled. Serum leptin and other hematologic parameters were measured on the first day(initial) of acute inflammation, followed by repeated measurements at the 2^(nd) week and 6^(th) week following initial inflammatory episodes. Body weight and height were also measured at the same time period.

Serum leptin level were highest on the 0 week and decreased as the acute inflammation resolved. The change in serum leptin level were especially significant in the male patients. The changes in the acute phase reactants(C-reactive protein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the

changes of the serum leptin level. However, the changing pattern between leukocytes and serum leptin level correlated significantly. The changing pattern between cytokine(TNF-α) and serum leptin level also correlated significantly. During the

period, the body weight and the body mass index did not change and we could not specify the role of increased serum leptin plays on nutritional status.

In conclusion, this data indicate that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serum leptin level i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period of acute inflammation. Moreover, changing pattern of serum leptin and leukocytes and cytokine(TNF-α) correlated significantly, further supporting the notion that

acute inflammation causes the serum leptin to increase.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exact role of hyperleptinemia in the pathogenesis of anorexia and malnutrition in patients with acute inflammation.
Files in This Item:
T00691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74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