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1 1079

Cited 0 times in

임상적으로 의심된 결핵성 뇌수막염에서 각 검사의 유용성

Other Titles
 Usefulness of laboratory tests in patients with clinically suspected tuberculous meningitis. 
Authors
 민양기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결핵성 뇌수막염은 치료하지 않을 시 약 4주에서 8주 후 사망하는 예후가 불량한 병으로 조기 진단과 조기 치료가 예후에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다. 결핵성 뇌수막염의 확진은 뇌척수액 안에서 현미경상 결핵균을 발견하거나 배양검사에서 결핵균을 동정하는 것이나 이는 민감도가 낮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방법이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의심이 되는 결핵성 뇌수막염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는 여러 비 특이적 검사소견만으로 항 결핵 치료를 시작하게된다. 그러나 항 결핵제 치료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항결핵제 투여 중지의 결정이다.

뇌수막염 환자들 중 내원 초기에 어떠한 이유이든 항 결핵제를 투여하기 시작한 사람들을 후에 결핵성 뇌수막염으로 확진된 사람과 결핵성 뇌수막염이 아닌 사람들로 나누고 각 검사 소견을 비교 분석하여 이러한 초기검사소견들이 항 결핵제를 투여받기 시작한 환자

들에서 향후 치료계획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991년에서 2001년까지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 치료받은 뇌수막염 환자 중 내원 당시 임상증상과 비특이적 검사결과만으로 항 결핵제가 투여되기 시작하고 세균성이나 진균성 뇌수막염의 가능성이 배제된 총 49명의 환자들로 그중 21명의 뇌척수액에서 결핵균이 배양되었거나 중합효소연쇄반응법 검사상 양성이 나왔다(결핵 확진군). 11명의 뇌척수액에서는 결핵균을 검출하지 못하였고 중합효소연쇄반응법 음성 결과가 나왔으며(비결핵군) 17명에서는 배양검사에서 결핵균을 검출하지 못하였으나 중합효소연쇄반응법 검사를 시행하지 않아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뇌척수액내 염증세포수, 단백질 농도 및

adenosine deaminase(ADA)활성도를 비교하였고, 흉부방사선소견 및 뇌영상소견도 함께 알아보았다.

뇌척수액내 염증세포수, 단백질 농도 및 ADA 활성도는 결핵확진군과 비결핵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흉부방사선 촬영상 활동성 결핵은 1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결핵확진군 환자들에게서 보였으며 속립성 결핵소견은 모두 결핵확진군 환자들에게서만 관찰되었다. 뇌영상진단에서 기저조 조영증강, 육아종, 수두증 등은 결핵확진군 환자들에게서만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항 결핵제 투여가 시작된 뇌수막염에서 진균성이나 세균성 뇌수막염의 가능성이 배제 되었을 때, 일반 뇌척수액 소견과 ADA 활성도 소견이 결핵성 뇌수막염에 합당하더라도 이 소견만으로 결핵성 뇌수막염이라고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흉

부방사선촬영소견에서 페결핵의 소견이 있거나 뇌 영상진단소견에서 결핵성 뇌수막염에 합당한 소견이 나오면 결핵성 뇌수막염을 의심하여 18-24개월 간의 항 결핵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핵심되는 말: 결핵, 뇌수막염, 뇌척수액, 중합효소연쇄반응법, adenosine deaminase

[영문]

Early detection and early treatment are very important in tuberculous meningitis(TBM) because it has a grave prognosis if it is left untreated. Definite diagnosis of TBM can be mady by detecting Mycobacterium tuberculsis in cerebrospinal fluid(CSF) by a microscopic examination or a culture study. However, initiation of antibiotics cannot be delayed until the microbiological proof because these studies have a low sensitivity and about 6-8 weeks are necessary to be proved

by a culture study. Therefore, antibiotics are given to most patients who are clinically suspected to have TBM without microbiological evidence.

In this study, patients with meningitis, who admitted to Severance Hospital from 1991 to 2001 and who had taken antituberculous medication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by the review of medical records. Various laboratory findings were

compared between the patients with microbiological evidence of M. tuberculosis in CSF and those who without it.

Forty-nine patients with meningitis were enrolled for this study. Among them, 21 patients had evidence of TBM by positive culture o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studies in CSF (definite TBM group). Eleven patients showed negative results from culture and PCR studies (non-TBM group). The remainders were excluded from further investigation because PCR studies were not performed.

Cell counts, protein concentration, and adenosine deaminase(ADA) activities in CSF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However, all but one patient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were found in a definite TBM group. Basal cistern enhancement, graunomas, and a hydrocephalus on imaging studies of the brain were demonstrated only in a definite TBM group.

In conclusion, routine findings or ADA activities in CSF could not be a determinant towards a diagnosis of TBM in patients with meningitis who had taken antituberculous medications under clinical improving of TBM. Findings of pulmonary tuberculosis on a chest roentgenography and those which are suggestive of septic

TBM on brain imaging studies were a reliable indicator of TBM.
Files in This Item:
T00688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71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