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3 740

Cited 0 times in

간질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포괄적 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순옥-
dc.date.accessioned2015-11-22T07:21:56Z-
dc.date.available2015-11-22T07:21:5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691-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간질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포괄적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단일군 전. 후 유사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우리나라의 문화적 배경과 환자특성을 고려하여 간질 환자와 심층면담을 통해 규명된 질적 자료와 관련문헌을 토대로 구성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는 2000년 10월 1일부터 2000년 12월 30일 까지 간질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에 의한 질적연구를 수행하여 참여자의 질병경험과 교육요구를 파악하였고, 이 기초자료와 문헌고찰 및 관련자료를 바탕으로 포괄적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구성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의 적용은 2001년 7월 5일부터 2001년 10월 22일 까지 서울과 경기지역 장미회 진료지정 병원에 내원하는 간질 환자 중 총 26명을 대상으로 매주 1회씩 총 6회 15시간을 교육실시하였으며, 교육 전, 교육6주 후, 추후조사, 3회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삶의 질 측정을 위한 도구는 발작빈도와 약물복용 이행은 각각일지를 기록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였고 또 혈중 약물농도 검사 결과를 참조하였다. 치욕감과 자존감 척도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였고, 약물부작용 척도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에 의해 수정, 보완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일상생활 적응과 불안 및 기억력 척도는 간질 환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자료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연구자에 의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포괄적 건강교육 프로그램은 「간질과 행복한 삶」이라는 소책자를 개발하여 질병의 이해, 질병을 극복하는 길, 스트레스 관리, 약물증상 관리, 일상생활 적응 관리, 자기주장 훈련, 기억 관리 등의 주제로 구성하였고 대상자의 학습이해를 돕기 위해 만화로 구성 제작하였으며, 건강교육, 집단토의를 통한 경험나누기, 개별상담 등을 중재전략으로 하는 일련의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와 프로그램 수행 전과 후 및 추후조사에 따른 삶의 질 차이변화는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인구학적 및 질병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는 t-test 와 ANOVA를 실시하였고, 교육만족도 평가는 평균 평점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토의를 통해 드러난 대상자의 경험과 교육효과는 내용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강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질 환자는 교육 전 보다 교육 후 발작빈도가 감소되었고, 약물복용 이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약물 부작용과 치욕감, 불안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일상생활 적응, 자존감, 기억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전과 후 및 추후조사의 시간경과에 따른 차이변화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본 건강교육 프로그램이 간질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이 실증적으로 지지되었다. 2. 인구학적, 질병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약물복용 이행과 관련된 유의한 변수는 직업으로 나타났고,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유의한 변수는 일상생활에서 간질로 인한 걱정과 간질교육 경험 이였으며, 치욕감과 관련된 유의한 변수는 현재 건강상 태와 간질약물 개수로 나타났고, 자존감과 관련된 유의한 변수는 간질약물 개수였으며, 불안과 관련된 유의한 변수는 종교와 직업이 없는 이유, 간질발작의 심각성이었으며, 기억력과 관련된 유의한 변수는 종교와 간질교육 경험으로 나타났다. 3. 교육만족도 평가는 3회 교육주제인 스트레스 관리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5회 교육주제인 일상생활 적응이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4. 집단토의에서 드러난 대상자의 삶의 경험과 교육효과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주제 「질병에 관한 이해, 질병을 극복하는 길」에서 드러난 경험은 참여자는 교육을 통한 인식의 변화로 질병의 왜곡과 편견의 속박에서 벗어나 간질은 유전이 아니라 뇌의 장애라는 사실을 이해하게 되고 질병극복을 위해서는 자신의 노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나서 치유의 희망과 자신감에 찬 삶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주제 「스트레스 관리」에서 참여자는 교육을 통해 스트레스와 발작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스트레스 조절이 곧 발작조절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면서 스트레스 해소 방법에 대한 실천을 모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주제 「약물증상 관리」에서 참여자는 교육을 통해 약물을 규칙적으로 제 시간에 복용해야 하는 이유를 인식하고 약물치료로 질병을 고칠 수 있다는 확신감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교육주제 「일상생활 관리」에서 참여자는 발작유발 요인을 인식하고 이를 다스리기 위한 방법으로 발작에 해로운 술, 담배, 커피 등을 자제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자기주장 훈련」주제에서 참여자는 교육을 통해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권리를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게 되고 또 담당의사에게 치료계획이나 건강상태 등을 물어보아야 겠다는 인식의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드러났다. 다섯째, 교육주제 「기억 관리」에서 참여자는 기억력 향상을 위해 기억보조도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래 삶을 설계하기」주제에서 참여자가 바라는 미래 삶은 정상인의 삶과 대인관계 유지의 삶, 독립적인 삶, 봉사의 삶을 갈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소감 나누기」주제에서 참여자는 교육을 통해 질병을 수용하고 긍정적인 사고로 전환되어 회복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안도감을 갖는 변화된 삶의 모습을 드러냈다. 「교육프로그램의 개선점」에서는 참여자가 쓰고 적는 것이 많고, 교육시간이 늦고, 교육장소가 먼 거리인 것이 문제점으로 드러났으며, 「교육에 관한 제언」은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교육의 홍보를 원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간질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고 삶의 질의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전 영역을 포괄하여 개발한 다차원적 건강교육 프로그램으로 간질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실무적용이 가능한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사료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ttempted to develop the comprehensive health education program on epilepsy and identify the effect. The research worked on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get effective verification. The conceptual framework was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through the depth interview with epileptics concerning of our cultural background and relational literature. The pre-research to develope this program was conducted on 14 adults with epilepsy from October 1th, 2000 to December 30th, 2000. It found out epileptic experience and desire for education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epileptics and developed the comprehensive health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is qualitative data. The developed program was practiced on 26 adults with epilepsy visiting to the appointed hospitals of Rose Club in the district of Seoul and Kung-gi from July 5th, 2001 to September 22th, 2001 educating them one time per a week, all 6times for 15 hours. The effects were checked out 3times, before the education program, immediately after and 4 weeks later. The frequence of seizure was checked to find out the quality of life. The medication compliance was based on the record of it and the result of the blood drug concentration test. The stigma and the self-esteem were referred to prestudy. Side effect was referred to the developed and revised prestudy. The daily living adaption, anxiety and memory were measured by the qualitative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revised documents.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a lecture with a brochure titled The Epilepsy and Happy Life. The subjects are The Understanding on Epilepsy, The Way of Overcoming Epilepsy, The Stress Management, The Drug Symptom Management, The Dealing with Daily Living Adaption, The Self-assertive Training, and The Dealing with Memory. The contents are health education, a group discussion sharing of the sickness and an individual consultation. The brochure was made with cartoon to make them easy understanding.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PC.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quality of before living different from after performance of health education program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 ANOVA. The difference between demographic-sociologic and disease related variables and quality of living was analyzed by t-test and ANOVA. Feeling of education satisfaction was tested by average marks. The quality of education effect was analyzed through group discussio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After attending of comprehensive health education program the frequence of seizure decreased, but the medication compliance remarkably increased statistically. Side effect, stigma and anxiety decreased remarkably, but daily living adaption, self-esteem and memory increased remarkably. This study suggests that comprehensive health education program improve the quality of living in epileptic patients. 2. The results of checking of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living under demographic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ease shows that medication compliance and job have significant variable. Side effect, anxiety on epilepsy in daily living and education experience of epilepsy have significant variable. Stigma, the condition of his current health and taking the amount of medicine on epilepsy have significant variable. Self-esteem, religion and joblessness and severity of seizure have significant variable. Memory, religion and education experience of epilepsy have significant variable. 3. Education satisfaction evaluation shows that stress management (the 3rd subject) gets the highest point, but daily living adaption(the 5th) gets the lowest point. 4.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on living experience and education effect through group discussion as follows : First, Recognition changing through education under The Understanding on Epilepsy and The Way of Overcoming, the attendants were released from distortion, epilepsy is hereditary. They recognized that it is a disorder of brain and the important thing is to do best. They hoped on recovering and self-confidence. Second, Under The Stress Management, they understood the relation of stress and seizure, could control the seizure through stress and did best to find out the way of getting rid of stress. Third, Under The Drug Symptom Management, they recognized the reason of taking medicine regularly and convinced of recovering through medicinal therapy. Forth, Under Dealing with Daily Living, they found out the reason of seizure, and exercised restraint taking alcohol, tobacco and coffee. Under Self-assertive Training, they recognized expressing their feelings is to get the rights, tried to ask the questions of the remedy plans and their health condition to the doctor. Fifth, Under Dealing with Memory, they used the tool of supporting memory to improve it. Under Planning for the Future, they wanted normal life,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their own living and volunteering. Under Sharing Opinion of This Program, they acknowledged their disease and got self confidence and a feeling of relief. As an improvement of education program, there are too many questions for patients to fill in, their meeting time is too late and it's too far between house and educational place. As a suggestion of the program, need of more opportunity to have more numbers of meeting and need of more advertizing of education program. When we put the result of research together,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comprehensive health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specialty of our country epileptic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living. So it is effective way to be applicable in practic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간질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포괄적 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and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health education program o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epileptic patient-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Soon Ok-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