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4 490

Cited 0 times in

주산기 가사가 백서의 폐에서 내피성 nitric oxide 생산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erinatal asphyxia on the endothelial NO production in rats. 
Authors
 조희숙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Nitric oxide (NO)는 분자량이 30 정도 되는 기체로서 체내의 모든 기관에 존재하여 폐혈관에서 혈관 평활근을 이완하여 폐혈관 저항을 감소시켜 폐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특히 출생 시 일어나는 폐 저항 감소에 중요한 작용을 하며 저산소증에 노출되었을 때 초래되는 폐혈관 수축과 관련하여 NO의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많은 논란이 있다.

출생 직후 저산소증이 있을 때 폐혈관에서 NO의 생성이 증가한다는 주장과 NO가 감소한다는 상반되는 의견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반된 대부분의 연구가 실험 대상 동물을 인위적인 뇌졸중(stroke) 상태를 유발하거나, 또는 대기 산소 농도보다 낮은 산소 분압으로 인공호흡을 시키며 관찰한 것으로 자궁 내 생활에서 자궁 외 환경으로 이행되는 주산기 시기에 가사를 유발하여 NO의 생산을 조사한 보고는 없다.

이에 저자는 신생 백서에서 주산기 가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NO 생산을 확인하기 위하여 Nitric oxide synthase(NOS)의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각 실험군을 대조군과 가사 10분, 20분, 생존군으로 나누어 분류한 후 신생 백서의 폐를 적출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

행한 수 영상 분석기를 이용하여 염색정도를 정량하였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주산기 가사에 따른 NOS 생산량을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만삭의 어미 쥐에서 제왕 절개로 출산된 신생 쥐를 자궁 채로 적출한 후 온수에 담가 주산기 가사를 유도하였다. 10분, 20분 가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pH와 pO₂가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 (pH=대조군 7.24±0.04, 10분 가사군 7.08±0.02, 20분 가사군 6.87

±0.05, 대조군 37.6±1.4mmHg, 10분 가사군 20.0±1.1 mmHg, 20분 가사군 9.6±1.2 mmHg, p<0.05)

2. 신생 백서의 폐 조직을 eNOS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면역 조직 화학 염색 후 염색정도를 측정하여 10분, 20분 가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대조군 149.85 ±1.12, 10분 가사군 142.46±0.77, 20분 가사군145.85±0.98, p<0.05)

3. 대조군에 비하여 생존군에서 염색정도로 나타낸 eNOS의 양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대조군 149.46±1.12, 생존군 152.11±0.92, p=0.127)

4. 10분 가사군과 20분 가사군의 폐 조직에서 염색정도로 나타낸 eNOS의 양은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10분 가사군 142.46±0.77, 20분 가사군 145.85±0.98, 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백서에서 주산기 가사에 따른 eNOS발현은 초기에는 감소하였으며 주산기 가사가 점차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영문]

Nitric oxide(NO) is a gas with a molecular weight of approximately 30, and is present in virtually every organ within the body. It's main function is to dilate pulmonary vessels and reduce pulmonary resistance. I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duction of pulmonary resistance after birth.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hypoxia during delivery and NO remains unclear and unclarified as seen in many studies which show contradictory . But most information comes from animal

models reflecting stroke rather than hypoxia and only limited literature on NO in the perinatal period is available. So the information on NO pathophysiology and biochemistry in adult models of ischemia cannot be extrapolated to perinatal asphyxia.

We therefore decided to study NOS activity to evaluate NO biosynthesis of rat models while graded asphyxia was induced intra-partum. Rat pup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10 min asphyxia, 20 min asphyxia, survived and control. Lungs were

obtained from all groups, and stained immunohistochemically, then scored by eNOS staining intensity using an image analyz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fter inducing perinatal asphyxia in rat pups, a decreased of pH and pO₂in the asphyxia groups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control)

2.eNOS activ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sphyxic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3. After birth, eNOS activity was increased, but i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4. eNOS activity was greater in the group of 20 minutes asphyxia compared with the group of 10 minutes asphyxia.

From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in rat pups, NO production decreases at initial asphyxia, but increases as asphyxia progresses.
Files in This Item:
T00684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66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