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8 745

Cited 0 times in

병 의원기공실과 개인기공소 치과기공사의 직무만족도

Other Titles
 Job satisfaction of dental technologists at hospital, clinic and private dental laboratories. 
Authors
 정기호 
Issue Date
2001
Description
병원행정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병·의원기공실과 개인기공소에 근무하는 치과기공사의 직무만족도 차이와 이에 영향을 주는 관련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1년 4월 16일부터 4월 28일까지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치과기공사 248명을 대상으로 구조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기입식 조사를 하였고,빈도분석, ANOVA 및 t-test, χ²검정,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인 직무만족도와 업무특성에 대한 인식도는 대체적으로 높지 않았다. 직무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병·의원기공실이 개인기공소보다 약간 높았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없었다. 근무환경 요인과 의사소통의 관계는 개인기공소가 높았고, 경영정책, 소속감 및 자부심, 직무관련 요인과 신체 이상 경험에 있어서는 병·의원기공실의 만족도가 높았다. 업무특성의 인식도 중 사회적 인식, 적성, 여가선용, 장래성은 병·의원기공실이 개인기공소 보다 인식도가 높았고, 보수의 적절성은 병·의원기공실의 인식도가 낮았다. 전체적으로 병·의원기공실이 개인기공소 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인식도가 높았다. 개선사항에 대한 우선순위는 개인기공소, 병·의원기공실 모두에서 임금의 인상을 1순위로 뽑았고, 개인기공소는 사회적 지위 및 인식의 향상, 보철물 의뢰기간 순이었다.

치과기공사의 직무만족도와 관련된 것으로 예상된 요인들인 인구사회학적 특성, 근무여건 특성, 업무특성 인식들을 독립변수로 한 직무만족도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전체모형은 48%, 개인기공소 모형은 52%, 병·의원기공실 모형은 56%였다. 치과기공사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기관, 직무유형(crown, porcelain, removable, ortho dentic), 적성, 장래성, 여가선용 등이었는데, 개인기공소와 병·의원기공실을 구분하여 보면, 개인기공소에서는 일일 근무시간, 장래성, 여가선용 등이 영향 요인이었고, 병·의원기공실에서는 성, 8∼10시간 미만, porcelain, removable, 장래성 등이 영향 요인이었다.

대체적으로 병·의원기공실 근무자가 개인기공소 보다 만족도, 인식도 면에서 다소 높았는데, 이는 직무와 관련하여 근무시간, 여가선용, 보철물 의뢰기간과 부가급여제도(퇴직금, 보너스, 의료보험혜택) 등에 있어서 개인기공소 보다 양호한 환경을 갖고 있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 점은 다른 관련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근무기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에서는 오히려병·의원기공실 치과기공사들의 만족도가 낮았다는 점에서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개인 기공소와 병·의원기공실 두 기관으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고, 서로의 장·단점을 개선, 보완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한 점에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개인기공소에서 만족도가 높았던 근무환경과 충분한 기자재의 활용도를 병·의원기공실의 장점과 접목시켜 전반적인 치과기공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dental technologists' job satisfaction between those who work at the hospital, clinic dental laboratories and those who work at the private dental laboratories. A self-adminstered questio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248 dental technologists who work in the areas of Seoul and Kyunggi Province, from April 16 to April 28, 2001.

Overall dental technologists' perceptions on work and job satisfaction was not high. Although the job satisfaction at the hospital, clinic dental laboratories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at the private dental laboratories on the whole,i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 private dental laboratories showed the high relation between job environment factors and communications, and the hospital, clinic dental laboratories showed the high satisfaction in management policy, sense of belonging & pride, job-related

factors and experience of physical malfunction. Regarding the priority for improvements, both of the private dental laboratories and the hospital, clinic dental laboratories selected pay raise as the first rank.

The explanatory power of regression analysis equation on the job sat- isfaction related to the satisfaction according to working organizations was 48% with the whole, 52% with the private dental laboratories and 56% with the hospital, clinic dental laborator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find the fact that the technologists working at the hospital, clinic dental laboratories show the higher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than that of the workers working at the private dental laboratories.

It is considered that being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ies, this study has its value for utilization in that it examined the features by sorting them into two groups of organizations, that is, the private dental laboratories and the hospital, clinic dental laboratories, and presented the data that can improve and

supplement each one's merits and demerits.
Files in This Item:
T00683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66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