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7 810

Cited 0 times in

모자동실군과 모자별실군 질식분만 산모의 피로도 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level of postpartum women's fatigue between rooming-in and non rooming-in groups. 
Authors
 송주은 
Issue Date
2001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모자동실은 초기 바람직한 모아관계의 형성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며, 이미 국내외의 다양한 연구를 통해서 모아애착, 모유수유, 모성정체성, 어머니 역할수행, 불안 및 우울 등과 관련된 긍정적 효과가 입증되어 권장되는 모아관리 체제이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막상실제적 경험자인 산모들에게 산후 휴식과 수면의 방해와 피로에 대한 우려 등으로 적극적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모자동실군과 모자별실군 질식분만 산모의 산후 피로도의 차이를 신체적, 정신적, 신경감각적 피로차원에서 규명함으로서, 우리나라 모자동실 제도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나아가 모자동실 여부에 따른 피로완화를 위한 차별성있는 간호중재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서술적 비교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1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모자동실과 모자별실을 동시에 운영중인 서울에 소재한 S병원에서 출산한 산모 중, 모자동실을 선택한 산모(모자동실군) 68명과, 모자별실을 선택한 산모(모자별실군) 98명을 표본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구조화된 질문지로서, 일반적 특성에 관한 36문항, 임부태아 애착에 관한 24문항(Cranley, 1981), 산모의 피로도에 관한 30문항(Pugh, 1993)의 총 9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가보고법을 통해 자료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하였으며,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χ²-test와 t-test로 두 그룹간 피로관련 요인의 동질성 검증과 피로도 차이검증을 시행하였고, 두 군간에 차이 있게 나타난 피로관련 요

인은 ANCOVA로 통제한 후 모자동실 여부에 따른 피로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자동실군과 모자별실군 산모의 피로관련 요인의 동질성 검증 결과, 임신관련 특성 중 임부교실 참여율(χ²=3.935, p=0.047)과 임부태아 애착정도(t=2.130, p=0.035), 분만관련 특성 중 분만 과정 중 남편의 참여율(χ²=9.147, p=0.002), 산욕관련 특성 중 모유

수유율(χ²=12.503, p=0.000)과 직접수유 시도횟수(t=4.588, p=0.000)가 모자동실군에서 모자별실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 5개 특성을 제외한 다른 특성은 두 군간에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모자동실군과 모자별실군 산모간의 전체 피로도 총점을 비교해 본 결과, 모자동실군의 전체피로 평균점수는 57.21±11.98점이었고, 모자별실군의 경우는 56.62±14.02점으로나타나, 모자동실 여부에 따른 전체 피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280, p=0.780).

3. 모자동실군과 모자별실군 산모간의 영역별 피로도를 비교해 본 결과, 신체적, 신경감각적 피로도의 경우는 모자동실군이 각각 21.63±4.92점, 18.53±4.60점으로 모자별실군의 20.71±5.78점, 18.23±5.39점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t=1.068, p=0.287 ; t=0.368, p=0.714), 정신적 피로도의 경우는 모자별실군이 17.67±4.95점으로 모자동실군의 17.04±4.63점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역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t=-0.827, p=0.410).

4. 두 군간의 피로관련 요인에 대한 동질성 검증 결과, 모자동실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임부교실 참여율, 임부태아애착, 분만 과정 중 남편 참여율, 모유수유율, 직접수유 시도횟수의 5개 변수를 ANCOVA로 통제한 후, 두 군간의 피로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 0.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135, p=0.714).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그 동안 산모들이 모자동실을 선택함에 있어서 가장 큰 장애요인이라고 인식되어 오던 산모의 피로가, 실제로는 모자동실 여부에 따라 차이가 없음이 통계적으로 규명되었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올바른 모자동실 제도 정착을 위한 근거자료가 제시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의 차이를 보이진 않았으나, 모자동실군에서는 모자별실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체적, 신경감각적 피로도가 높고, 모자별실군에서는 모자동실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신적 피로도가 높은 것과 관련하여, 차별성있는 간호중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This i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hich compares the level of postpartum women's physical, phychological, neurosensory fatigue between rooming-in and non rooming-in groups.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April 1 to May 31, 2001.

Subjects were 68 mothers who opted the rooming-in choice and 98 mothers who did not choose the rooming-in at one hospital in Seoul, Korea. They all had NSVD. The research questionnaire consisted of 36 items on general chracteristics, 24 items on maternal fetal attachment developed by Cranley (1981), and 30 items on postpartum fatigue developed by Pugh (1993).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0.0 window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rooming-in and non rooming-in groups in prenatal class attendance (χ²=3.935, p=0.047), maternal fetal attachment score (t=2.130, p=0.035), husband attendance

during the labor and delivery (χ²=9.147, p=0.002), breast feeding (χ²=12.503, p=0.000), and self feeding time including bottle feeding (t=4.588, p=0.000).

2.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level of total fatigue score between two groups (t=0.282, p=0.780).

3. The physical and neurosensory fatigue scores were slightly higher in rooming-in group (21.63±4.92, 18.53±4.60) than those (20.71±5.78, 18.23±5.39) of non rooming-in group. And the phychological fatigue score was slightly higher in non

rooming-in group (17.67±4.95) than that (17.04±4.63) of rooming-in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ree sub-dimension fatigue between two groups (t=1.068, p=0.287 ; t=-0.827, p=0.410 ; t=0.368, p=0.714).

4. Even after controlling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level of fatigue between two groups (F=0.135, p=0.714).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level of postpartum fatigue whether they were rooming-in or not. Based on this result, the common notion of rooming-in mothers will be more fatigue than non rooming-in mothers is proved to be false.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s to meet the need of mothers who decide to rooming-in.
Files in This Item:
T00681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Yonsei Authors
Song, Ju Eun(송주은)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63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