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6 1214

Cited 0 times in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손영희-
dc.date.accessioned2015-11-22T07:20:31Z-
dc.date.available2015-11-22T07:20:31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638-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 주는 요인들을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건강증진 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이를 검증한 공변량구조 분석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를 예측할 수 있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가설적 모형과 실제 수집된 자료간의 적합성을 검증한 후 예측 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7개의 이론 변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7개 이론 변수에 대한 측정 변수는 모두 12개이다. 외생변수로는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이며, 내생변수로는 내적건강통제위, 자기효능,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과 건강증진 행위로 구성하였다. 연구 도구는 자기 보고형 설문지로 되어 있으며 2001년 2월 8일부터 3월 10일까지 서울 지역에 소재한 인공신장실 7곳을 선택하여 그곳에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236명을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이용된 대상자 수는 230명이었다. 연구도구의 Cronbach's α값은 .66에서 .91의 범위를 나타냈다. 자료 수집은 본 연구자와 연구 보조자 6명이 면담을 통해서 수집하거나 또는 본인이 직접 기재하도록 한 후, 설문지에 누락되는 항목이 없도록 점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9.02WIN program과 LISREL 8.12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적 모형의 전반적 부합도는 x²=128.56, p=.000, df=40, x²/df=3.21, GFI=.91, AGFI=.83, RMR=.043, NNFI=.97, NFI=.97, CN=114.45로 모형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수정은 간명성과 부합지수 및 이론적인 근거를 고려하면서 수정지수가 높은 4개경로의 오차 상관 관계를 추가하였다. 수정모형의 부합도는 x²=52.75, p=.035, df=36, x²/df=1.47, GFI=.96, AGFI=.92, RMR=.03, NNFI=.99, NFI=.99, CN=255.47로 나타나 가설적 모형보다 간명하면서도 부합도가 크게 개선되었다. 2. 가설적 모형에서 선정된 18개 경로 중 10개의 경로가 직접효과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계수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나온 2개 경로는 기각되고 결과적으로 직접효과에서는 8개 경로가 지지되었다. 지지되지 않은 8개 경로 중 6개 경로는 간접효과 및 총효과에서 유의하게 지지되어 총 18개 경로 중 14개 경로가 유의하게 지지되었다.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유의하게 영향을 준 변수는 사회적 지지, 건강상태, 자기 효능,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이었으며 내적건강통제위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예측 변수들에 의한 건강증진 행위의 설명력은 90%이었다. 자기 효능과 건강상태는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강력한예측 변수였다. 특히 건강상태는 계수 방향이 -방향으로 나타나 건강상태가 낮을수록 건강증진 행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은 건강증진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으나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예측 변수였고 지각된 장애성은 총효과에서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건강상태는 직접적인 영향에서는 계수 방향이 -방향이었고 간접적인 영향에서는 계수 방향이 +방향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총효과에서는 서로 상쇄되어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과 자아존중감을 통해서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자아존중감은 자기효능을 통해서 건강증진 행위에 간접적으로 영향 주는 변수라고 할 수 있다.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지지, 건강상태, 내적건강통제위, 지각된 장애성으로부터 직접적인영향을 받고 지각된 장애성은 건강상태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결과적으로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는 자기효능과 사회적 지지및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건강상태와 지각된 장애성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자기 효능은 건강증진 행위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주는 예측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 모형은 간명하면서도 설명력이 높은 포괄적인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건강증진 행위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to develop a predictive model that explains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Korean patient on hemodialysis. A hypothesis model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an ext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exogenous variables of the hypothetical model were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The endogenous variables were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perceived barriers and self-esteem.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February 8 and March 10, 2001. The sample was 230 patients receiving hemodialysis at one of seven hemodialysis centers located in Seoul. The research tool wa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Cronbach's alpha scores ranged from .66 to .9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9.02 WIN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LISREL 8.12 WIN program for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overall measure of fitness of the hypothetical model to the data was not good(x²=128.56, p=.000, df=40, x²/df=3.21, GFI=.91, AGFI=.83, RMR=.043, NNFI=.97, NFI=.97, CN=114.45) Modification indexes of the model were modified by considering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parameter estimates. A modified model was constructed by adding four path parameter estimates with high modification indexes. The revised model showed a much higher degree of fitness to the empirical data(x²=52.75, p=.035, df=36, x²/df=1.47, GFI=.96, AGFI=.92, RMR=.03, NNFI=.99, NFI=.99, CN=255.47) In the final model 90% of the variance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explained. 2. For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β12=1.50, T=3.11)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a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γ=.47, T=2.89) and a total effect(γ=.28, T=4.65). For the self-efficacy, social support(γ_21=.22, T=5.25) and self-esteem (β_24=.33, T=3.80) each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health status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γ=.06, T=3.71) and a total effect,(γ=.11, T=3.94) and perceived barriers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γ=.08, T=-3.08) and a total effect(γ=-.14, T=-2.64). Health statu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γ_32=-.18, T=-4.89) on perceived barriers. Social support(γ_41=-.29, T=7.15), health status(γ_42=.14, T=3.96),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β_41=-.13, T=-1.98) and perceived barriers(β_42=-.26, T=-4.62) each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elf-esteem.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health status(γ_52=-.10, T=-2.70) and self efficacy(β_52=1.20, T=3.12) each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γ=.30, T=3.38) and a total effect(γ=.43, T=11.29), health status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γ=.09, T=2.68) but not significant total effect, perceived barriers had a significant total effect (γ=-.10, T=-2.01) but not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γ=.37, T=2.83) and a total effect(γ=.16, T=2.44). The findings showed that social support, self-efficacy, perceived barriers and self-esteem each had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these variables, self-efficacy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Self-esteem had the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lf-efficacy had the most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Social support, perceived barriers and self-esteem each had a significant indirect and total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From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i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patients on hemodialys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that increase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and that reduce perceived barrier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혈액투석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dc.title.alternative(A) predictive model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Korean patients on hemodialysi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on, Young Hee-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