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65 1405

Cited 0 times in

건강증진행위수준과 삶의 질 간의 관련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dices and quality of life indices. 
Authors
 김미경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역학 및 건강증진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수준과 최적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WHOQOL-BREF를 이용하여 삶의 질을 측정하여 건강증진행위수준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연구대상은 경기도 의정부시 공무원 92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하였고 663부를 최종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자료수집기간은 2001년 4월11일 에서 21일까지였으며,자료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백분율과 산술평균.t-test,분산분석,상관분석,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수준은 총점 4점 평균 2.24로서,연령이 증가할 수록,소득이 증가할 수록,공무원 경력이 증가할 수록,인지한 건강상태가 더 좋을 수록 건강증진행위수준이 높았다.

2.대상자의 최적의 건강상태는 연령이 증가할 수록,여자에 비해 남자가,소득수준이 올라갈 수록,인지한 건강상태가 좋을 수록 건강상태가 좋은것으로 나타났다.

3.대상자의 삶의 질 수준에 있어 영역별로 보면 전반적인 삶의 질은 3.15점이었으며,신체적 영역이 3.44점으로 가장 높았다.그 다음으로 사회적 영역 3.32점,정서적 영역 3.31점,생활환경 영역이 3.06점 순 이었으며,전체 평균은 3.26점이었다.

4.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수준과 최적의 건강상태 및 삶의 질간에 유의한 "정(正)"관련성이 있었으며,최적의 건강상태와 삶의 질간에도 유의한 "정(正)" 관련성이 있었다.

5.대상자의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한 결과 최적의 건강상태,건강증진행위수준,소득수준,연령대비 인지한 건강상태,결혼상태가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되었으며,이들 요인에 대한 삶의 질의 설명력은 37.1%이었다.

6.각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정기검진,적절한 수면,비만관리,스트레스 관리,섬유질 식이,건강관심의 행위에서 삶의 질과 관련성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최적의 건강상태,건강증진행위수준이 삶의 질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특히 각 건강증진행위들이 삶의 질과 관련된 것을 고려한다면,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건강증진행위에 초점을 둔 건강증진정책개발이 시급할 것이다. 나아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모델개발이 필요할 것이며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을 지역사회 및 전 국민 단위로 확대하여 확률표본추출에 의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ng intervention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life in the industrial worker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663 government officers in Uijonbu city,Kyonggi Province,Korea.Data were collected by using constructed questionnaires from 11 Apr.01 to 21 Apr.01 and analyzed by t-test,ANOVA,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The mean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generally low.Health promot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income,and perceived health status.

2.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ptim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age,sex,income,and perceived health status.

3.The factors affecting their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as follows:The physical domain got the highest point of 3.44 while social domain got 3.32 the psychological domain got 3.31 and the environment domain got the lowest point of 3.06.The overall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as follows:The physical domain got the highest point of 3.44 while social domain got 3.32,the psychological domain got 3.31 and the environment domain got the lowest point of 3.06.The overall quality of life was rated to be at 3.15.

4.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optimal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5.The quality of lif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optimal health status,health status,health promoting behavior,income and perceived health status.The combination of that variable explained 37.1% of quality of life.

6.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health promoting behavior,especially regular health check,sleep pattern,stress management,fiber food diet and reading the health information.
Files in This Item:
T00680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63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