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2 1122

Cited 0 times in

일부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their related factors in nurses. 
Authors
 어강희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산업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 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과 인천에 소재 한 4개 종합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2001년 4월 24일부터 5월 4일까지 NIOSH의 표준화된 설문지와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 기입식 방법으로 24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었다.

각 부위별 증상 호소율은 등/허리가 가장 높은 44.4%였고, 다리/무릎/발은 42.8%, 어깨 33.3%, 목 25.1%, 팔/손/손목 16.5%의 순이었다.

부위별 증상 호소율의 차이와 관련된 요인에 대한 이변량 분석 결과 연령과 근무부서, 총 근무경력에 따라서 등/허리와 다리/무릎/발 부위가 유의하였고 기혼 간호사들의 가사 관련 요인 중 결혼기간, 가사 소요시간, 가사 보조자 유무는 근골격계 장애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부양가족이 없는 기혼 간호사의 경우 다리/무릎/발에 영향을 주었다. 업무 스트레스 요인 중 업무량 과중 및 신체적 부담 시 어깨에 증상을 호소하였고, 전문직으로서의 역할갈등 시 팔/손/손목에 증상을 느꼈다.

다변량 회귀 분석결과 등/허리 부위의 증상 호소에서 일반병동과 신생아실 근무자에 대한 수술실과 중환자실 근무자의 비차비는 3.23(95% CI=1.72∼6.20), 평균 휴식시간의 비차비도 0.97(95% CI=0.95∼0.99)이었다.

다리/무릎/발 부위는 수술실과 중환자실 근무자의 비차비가 1.91(95% CI=1.02∼3.62), 부양자가 없을 때의 비차비가 4.08(95% CI=1.08∼20.40)로 중환자실과 수술실 근무자가 등/허리 통증이 많았으며, 평균 휴식시간이 짧을수록 등/허리의 통증이 심했다. 다리/무릎/발의 통증은 증환자실과 수술실 근무자, 연령이 낮고 부양자가 없는 근무자에게서 높았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간호사들의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깊이 있는 추후 연구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측정에 있어 인체공학적 작업 계측을 통하여 주관적 호소증상 외에 시간적 선후관계를 고려한 분석역학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영문]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general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life-event stress, and work-related stress on self-administere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nurses who working in present department more than 1 year.

Standardized questionnaire of NIOSH and organized questionnaire for work-related stress was administered to 243 nurses, employed in 4 general hospital in Seoul and Incheon, in April. 24, 2001 to May. 4, 2001.

The symptom preval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back (44.4%), leg/knee/foot (42.8%), shoulder (33.3%), neck (25.1%), arm/wrist/hand (16.5%). In χ²-test, age, working department, total career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prevalence rate of mu sculoskeletal symptoms(especially in back and leg/knee/foot area of body part). Work-related stress factors, including overwhelming workload and physical discomfort,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shoulder symptom and professional role conflict was associated with symptom of arm/wrist/h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ymptom of back area and intensive care unit and operating unit (OR, 3.23; 95% CI, 1.72-6.20), and average break time (OR, 0.97; 95% CI, 0.95-0.99).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factors with symptom of leg/knee/foot were found to be intensive care unit and operating unit (OR, 1.91; 95% CI, 1.02-3.62), age (OR, 0.89; 95% CI, 0.81-0.98) and a family independent (OR, 4.08; 95% CI, 1.08-20.40). , family independent
Files in This Item:
T00679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61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