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4 771

Cited 0 times in

외래 통원 알코올 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판 강박음주 갈망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s of obsessive compulsive drinking scale for outp 
Authors
 최문종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알코올 의존 환자에 있어서 갈망이 존재하고 이것이 알코올 의존 환자의 재발에 상당부분 기여한다는 것이 모든 연구자들과 치료자들에게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갈망의 개념과 측정 그리고 갈망이 알코올 사용장애의 재발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이해함에 있어서

의 유용성은 아직까지도 논의가 끝나지 않았다. 갈망은 행동적이고 생리적인 용어로 정의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약물 남용 연구의 평가도구로서의 갈망은 매우 주관적이었고 그 측정도구도 비특이적이고 비과학적이었으며 이렇게 중요한 갈망에 대한 측정을

이제까지 단순하고 불확실할 수 있는 아날로그 척도에만 의존해온 것 또한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대학병원 정신과와 대형정신병원의 외래에 찾아오는 알코올 의존 환자 142명을 대상으로 갈망의 강박사고와 행동에 관한 측면을 측정하는 자가설문지인 강박 음주 갈망 척도(Obsessive Compulsive Drinking Scale)를 한국어로 번역한 한국어판 강박 음주 갈망 척도를 실시한 뒤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여 앞으로 우리 나라에서의 알코올 의존 및 남용의 치료와 연구에 사용하기 위한 유용성과 제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알코올 의존 환자 142명을 대상으로 한 신뢰도 검증결과 OCDS 14개 항목의 내적 일치도(Internal Consistency)는 0.8947(Crohnbach's α계수)로서 문항간의 연관성과 일치성이 높았으며 제독(Detoxification)이 끝난 입원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1일 간격으로 시행한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는 총점의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ency)가 0.76(P<0.01)이고 그룹내 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는 0.86(P<0.01)으로 높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였다. 알코올 의존 환자 142명의 자가보고에 의한 척도중 부정확하게 기술된 환자 11명을 제외한 131명을 대상으로 VAS(Visual analogue scale)과 AUQ(Alcohol urge questionnaire)와의 상관성을 알아보는 상관 분석시 강박음주 갈망척도의 총점과 VAS 및 AUQ와의 상관계수는 각각 0.52(P<0.05)와 0.55(P<0.05)로서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특히 강박사고 소척도의 상관계수가 각각 0.61과 0.67로서 강박행동 소척도와의 상관계수(각각 0.34와 0.34)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8주 후 각각 음주재발군과 금주군으로 나눈 뒤 8주 동안 두 군간의 강박음주 갈망 척도의 변화를 반복변량 측정으로 분석하였는데 두 군간의 강박음주 갈망 척도 총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해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1. 한국어판 강박음주 갈망 척도는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이는 바 원척도와 매우 높은 정신척도적 유사성(psychometric resemblance)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2. 본 연구에서는 8주 동안 관찰 결과 음주 재발군은 금주군에 비하여 높은 강박음주 갈망척도 점수를 보였는데 이를 보아, 강박음주 갈망 척도는 향후 음주행동을 반영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영문]

The craving which is existed in alcohol dependence patients is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relapse substantially. However, it was debated that definition, assessment of craving and its relation to relapse. Nevertheless the craving was defined to be behavioral and physiologic terms, measurement tool of craving has

been subjective and non-scientific. And so measurement of craving was dependent to analogue scale which is simple and vague. This study was carried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that measures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 of craving for 142

outpatient alcoholics. And we also examine the efficacy and limitation of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for using treatment and research on alcoholis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For 142 alcoholics, internal consistency between 14 items of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was 0.8947(Crohnbach's α). So Korean version of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has high association and consistency between items.

2. For 40 detoxified alcoholics, test-retest reliability of total score of Korean version of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was 0.76(correlation coefficienct, P<0.01).

3. For 131 alcoholics, validity of total score of Korean version of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examine by correlation analysis with visual analogue scale(VAS) and alcohol urge questionnaire(AUQ).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52 with VAS and 0.55 with AUQ. Especially, correlation coefficient of

compulsive subscale of Korean version of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was 0.61 with VAS and 0.67 with AUQ. This result shows that compulsive subscale is more correlated to VAS and AUQ than obsessive subscale is.

4. During 8 weeks, 135 alcoholics was devided to relapse group and abstinence group. The total score of Korean version of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which was analyzed by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during 8week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between relapse group and abstinence group.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

1. The Korean version of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shows that it has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So it shows high psychometric resemblance in compare with original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developed by Anton

2. Between the 2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core of Korean version of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during 8 weeks. So Korean version of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can reflect drinking behavior.
Files in This Item:
T00676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59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