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7 333

Cited 0 times in

인접지역 보건지소의 통합성과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consolidating health subcenters. 
Authors
 김두수 
Issue Date
2001
Description
보건정책 및 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보건지소는 1969년 보건소법 제정으로 설치되기 시작한 이래, 2001년 6월 현재 전국에 1,269개소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1994년 3월부터 농어촌의료서비스개선사업 시행과 함께 통합보건지소 시범사업이 시작되었는데, 이는 인구수가 매우 적은 지역의 보건지소를 폐지하고 교통요지에 2∼3개 보건지소와 1∼2개 보건진료소를 통합한 형태의 통합보건지소를 설치하는 것이다. 현재 통합보건지소를 설치하기 위해 전국 총 23개소에 대하여 재정지원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본 연구는 통합보건지소 운영성과를 평가함으로써 통합보건지소의 설립과 운영상의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한편, 향후 농어촌의료서비스개선사업 수행방향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기관은 통합보건지소 16개소 중 완전통합보건지소 7개소와 부분통합보건지소 4개소, 그리고 이와 비슷한 시기에 이전신축한 일반보건지소 10개소이다. 그리고 통합보건지소와 일반보건지소의 보건지소 직원 93명과 보건지소를 방문한 주민 277명에 대하여 조

사하였다.

조사된 내용을 일반현황, 접근성, 서비스 제공범위, 업무의 효율성, 보건지소 이용실태 및 만족도 측면으로 분류하여, 일반보건지소와 통합보건지소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통합보건지소와 부분통합보건지소를 대상으로 주민참여 정도, 신축 후 다른 보건지소 이용실태, 접근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방법은 내용에 따라 χ²-test,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대상 보건지소의 일반현황을 살펴보면, '농어촌특별세관리특별회계자금'(이하 농특 자금) 지원액은 통합보건지소가 6억 5천만원으로 일반보건지소의 3억 2천만원에 비하여 매우 많았다. 건물이전 신축의 배경으로는 시설의 노후화, 양질의 보건의료제공, 기존시 설의 위치 부적절이 각각 전체의 82.4%, 64.7%, 23.5%순이었다. 특히 일반보건지소만이 기존시설의 위치가 부적절하여 신축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여 통합보건지소와 차이를 보였

다. 분석대상 보건지소 이용자는 58.0%가 여성이었으며, 연령별로는 30∼39세 28.4%, 40 ∼49세 22.5%, 60∼69세 18.1% 순이었다. 보건지소 직원은 보건직공무원 32.3%, 진료 31. 2%, 지소장 12.9% 순으로 분포하였다. 현재의 건물연면적과 인력 수, 신축 후 연면적과

인력수의 증가량은 통합보건지소가 더 높았다. 접근성 측면에 있어서는 통합보건지소 이 용자들이 신축 후 보건지소까지 걸리는 시간이 더 길다고 응답하였다.

인구 1,000명당 진료실적은 통합보건지소의 경우 일반진료 투약일수, 치과진료의 조제건 수와 투약일수 및 차트개수, 치과방사선 촬영건수, 일반임상검사건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인구 1,000명당 보건사업실적은 당뇨병 신규등록건수만이 일반보건지소가 더 높았으며 다른 항목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항목별 신축 후 실적증가현황에 있어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며, 일반보건지소의 경우 구강검진건수의 증가가 추가되었다. 신축 전·후 업무량 및 서비스 내용 변화에 대하여, 통합보건지소의 직원들이 업무량이 더 많아졌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진료의 비중이 더 커졌다고 응답하였다.

인력 1인당 진료실적을 분석한 결과, 의사 1인당 조제건수 및 치과의사 1인당 조제건수는 통합보건지소가 더 높았다. 전체 인력 1인당 보건사업실적을 분석한 결과 일반보건지소가 통합보건지소에 비해 더 높았으며 자궁암 검진건수와 당뇨병 신규등록건수에서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 보건사업이 증가한 경우는 일반보건지소가 유아예방접종건수, 주민대상 보건교육횟수, 보건교육 상담대상인원, 모성보건 신규등록자수에서 더 많았다.

지소유형별 이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보건지소 이용횟수와 이용목적은 지소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일반보건지소 이용자들이 지소 신축에 더 많이 찬성하였다. 내과 등의 진료이용자의 비율은 통합보건지소가 더 높았으며, 물리치료나 재활치료와 한방진료

서비스 이용자의 비율은 일반보건지소가 더 높았다.

보건지소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보건지소의 진료기록 보관과 활용정도'에 대한 만족도가 일반보건지소에서 더 높았으며, 편의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통합보건지소가 더 높았다. 서비스이용 후 지소유형별 만족도의 차이는 없었다.

통합보건지소와 부분통합보건지소를 비교한 결과, 의회의결 및 주민동의를 얻은 지소는 통합보건지소가 더 높았다. 신축후 거리와 소요시간이 더 짧아졌다고 응답한 보건지소의 비율은 통합보건지소가 더 높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통합보건지소는 그 규모, 서비스 제공범위가 증가하고 업무의 효율성과 이용시 편리성은 증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보건지소에 비해 보건사업실적이 저조하고, 신축 후 접근성이 떨어졌으며, 의료서비스와 직원의 업무태도에 대한 지역주민의 만족도가 낮아 향후 통합보건지소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Since being first established following the legislation of The Act of Health Centers in 1969, there are now 1,269 health subcenters nation-wide. As part of policies of counter-balancing the impact of Uruguay Round, the government initiated the special investment plan to improve the health services in rural areas in 1994, and has started a demonstration project to unify 2 or 3 health subcenters and 1 or 2 primary health posts in less populated areas into one consolidated health subcenter which aims to be more easily accessible by the population in a service

area and to provide broader scope of health care services. At present, 23 plans to consolidate health subcenters have been initiated, and 16 subcenters have already been operating more than one year while 7 subcenters are just completed or under construction.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consolidating health subcenters and suggest policy alternatives to improve its performance in future. Data were collected from 7 health subcenters which have been consolidated as planned, 4 health subcenters partially consolidated due to opposition raised by the residents of the areas where health subcenters have been planned to close, and 10 health subcenters which have been just rebuilt the facilities during the same period without any change i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survey has been done for 93 staff working in health subcenters and 277 visitors who have utilized the subcenters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data were analyzed comparatively according to categories of general situation, accessibility, scope of health care services, operational efficiency, utilization, and utilizers' satisfaction between

consolidated health subcenters and non-consolid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amounted to 650 million won for consolidated health subcenters, being much higher than 320 million won for health subcenters. Reasons for moving and building new facilities were in the order

of deterioration of existing facilities, provision of better quality of health care services and inappropriate location, each amounting to 82.4%, 64.7%, 23.5% respectively, regardless of types of health subcenters. As to accessibility, visitors of the consolidated health subcenters responded that the travel to new

facilities took more time. In terms of the amount of health care services per thousand population, cases of general prescription, of dental prescription and clinical laboratory test were significantly high in consolidated health subcenters. Staff members in consolidated health subcenters responded that the workload were increased and clinical function were more strengthened in a new facility. As to the amount of health care services per staff member, cases of prescription per physician or dentist were high in consolidated health subcenters. The amount of public health programs per staff member showed us that non-consolidated health subcenters provided more public health program activities than consolidated health subcenters, especially with regard to child immunization, health education,

counseling and maternal and child ca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and purpose of visits between types of health subcenters. And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services between the two types of health subcenters. The resolution of local council and consensus building among residents in the service areas were higher at the consolidated subcenters than those at partially consolidated health subcenters.

In conclusion, at consolidated health subcenters, the building areas have been enlarged, the scope of health care services has been broadened, and operational efficiency and facility convenience have been improved. However the public health program activities and accessibility to facilities have been less improved than those of non-consolidated health subcenters. In this regard, it is recommendable that policy alternatives should be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efore proceeding the policy of consolidating health subcenters in future.
Files in This Item:
T00675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58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