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3 319

Cited 0 times in

한국인 8세에서 16세 아동의 상기도 성장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Other Titles
 (A) semilongitudinal study on the upper airway growth of Korean children from age 8 through age 16. 
Authors
 김형순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두부계측방사선사진은 교정영역에서 두개안면 영역의 형태학적 연구에서 진단 및 비교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상기도 부위의 경조직과 연조직에 대한 중요한 정보도 얻을 수 있어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진단과 치료계획에 있어서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도 구조물의 해부학적 특성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이 질환과 관련된 두개안면부 구조물의 정상적 성장양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 한국인 아동의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상기도 연조직과 경조직 그리고 설골의 성장양태를 파악해보고 주변 구조물의 성장양상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정치료를 받은 적이 없고 성장과 발육에 장애가 없는 8세에서 16세까지의 남자 245개, 여자 276개의 준종단적 자료를 채택하여 비인두, 구인두,연구개 및 설골의 성장양상 및 변화량, 성장방향을 연구한 바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한국인 성장기 아동에 있어서의 상기도 성장은 남자아동에 비해 여자 아동이 빠른시기에 일어났으나 성장변화량은 SSP-ISP(연구개 두께)를 제외한 모든 계측치에서 남자 아동이 더 많았다.

2. Ba-PNS는 16세까지 8.9%의 매우 제한된 성장이 일어났으며 환추골의 앞궁(AA)에서 후 비극(PNS)까지의 거리는 증령에 따라 유의성있게 변화하지 않아 비인두의 골성 성장은 주로 수직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인두 연조직에서는 수평과 수직방향에

서 유사한 양의 성장이 일어났다.

3. 구인두의 수직적 성장을 나타내는 UPW-ppwb(구인두 고경)는 명확한 2번의 성장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소년의 경우 9세와 13세경에 성장률의 증가가 관찰되었고 41.4%의 크기 변화가 있었으며 소녀의 경우는 그 증가율이 작았다.

4. 설골은 성장기간동안 전방과 하방으로 이동되었다.

5. 연구개는 연령 증가에 따라 길이는 증가되었으나 두께는 유의성있게 변화하지 않았다.

[영문]

Cephalometric radiography has been extensively used in the field of orthodontics as a diagnostic and follow-up technique in the study of craniofacial morphology. Lateral cephalometric analysis also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soft and hard tissue of the upper airway. So, cephalometry has been recommended for obstructive sleep apnea(OSA) as an important tool in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Since these craniofacial anatomic characteristics have been shown to be associated with OSA,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normal pattern of growth for these struc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attern of bony and soft tissue growth of upper airway and hyoid bone in a sample of healthy, orthodontically untreated Korean children from age 8 through age 16. 245 male lateral cephalograms and 276 female things were chosen as subjects. 16 landmarks and 12 linear variables were used to access the growth change of nasopharynx, oropharynx, soft tissue and hyoid bone.

The results were like following :

1. The timing of growth change in soft pharynx occured earlier in female sample than in male but the magnitude of change in male sample was larger than that in female.

2. The growth change of distance from the posterior nasal spine to basion(PNS-Ba) from age 8 through age 16, was increased to limited extent(8.9%) and the distance from the atlas to PNS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 with age. The bony nasopharynx increased its capacity predominantly by means of vertical development but soft tissue nasopharynx showed similar growth change in vertical and sagittal dimension.

3. UPW-ppwb, Vertical dimension of oropharynx, showed two acceleration of growth rate at age 9 and age 13 in male. and the percentile growth change between age 8 and age 16 in male was 41.4%, which was larger than that in female.

4. Hyoid bone showed downward and forward descent throughout the growth period.

5. The length of soft palate increased with age but the thickness of soft palate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Files in This Item:
T00673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55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