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3 738

Cited 0 times in

표재성 방광암에서 cyclooxygenase-2의 발현과 임상적 예후와의 연관성

Other Titles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and prognosis of superficial bladder cancer. 
Authors
 김선일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의과학사업단/석사
Abstract
[한글]

최근 방광암에서 cyclooxygenase-2(COX-2)는 종양의 분화도가 나쁘고 병기가 높을수록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아직까지 표재성방광암에서 종양의 진행 및 재발에 가장 임상적으로 중요한 국소병기 T1, 세포분화도 3(T1G3)의 경우 COX-2의 발현이 예후적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서는 선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1991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방광암으로 진단 받은 모든 환자들 중 최초 병리학적 진단이 T1G3인 이행상피세포암이고 경요도적 종양절제 후 방광내 Bacillus Calmette-Guerin(BCG) 주입요법을 시행 받았으며 진단 후 최소 1년 간 추적관찰이 이루어진 환자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방광암조직에서 COX-2의 발현 정도를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관찰하여 이를 종양의 형태, 수, 재발여부, 국소적 근침윤 또는 원격 전이로의 진행여부 등과 비교 분석하였다. 양성의 판정은 전체 세포에 대한 양성세포의 백분율에 따라 5% 이상을 양성으로 간주하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의 중앙값은 66세(34-80), 남녀 비는 36:1, 중앙추적관찰기간은 27(12-67)개월이었다. 16명(43.2%)에서 1회 이상 재발을 보였고, 7명(18.9%)에서 국소근침윤성 암이나 원격전이로 진행하였다. 37명 중 16명(43.2%)이 COX-2 양성이었다. 양성인 경우를

다시 세분하면 양성세포의 백분율이 5에서 10%미만이 5명(13.5%), 10에서 20%미만이 8명(21.6%), 20% 이상이 3명(8.1%)이었다. 종양의 2년 무재발율은 COX-2 양성군 및 음성군에서 각각 50.0%와 68.6%이었으며 전체 무재발율은 37.5% 대 71.4%로 양성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39). 그러나, COX-2의 발현정도에 따른 재발율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년 무진행률은 COX-2 양성군 및 음성군에서 각각 81.3% 와 90.5%이었으며 전체 무진행률은 68.7% 대 90.5%로 양성군에서 낮은 경향이 있었다. 그밖에 두 군간에 종양의 형태와 종양의 수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병리학적으로 동일한 조건인 T1G3 표재성 이행상피세포암의 43%에서 COX-2가 발현이 되었으며 양성 발현은 표재성 방광암의 여러 임상적 지표 중 특히 재발과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COX-2 양성인 경우 보다 철저한 추적관찰이 요구되며, 향후 COX-2 발현과 관련된 재발 기전에 대한 연구 및 COX-2억제제를 이용한 방광암의 예방 가능성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Recent reports suggest that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COX-2) is increased in bladder cancer. However, no study has yet specifically addressed whether the expression of COX-2 has prognostic significance in stage T1, grade 3(T1G3) superficial bladder cancer, the most unfavorable subgroup in terms of recurrence and progression of disease.

Thirty-seven consecutive patients with initial T1G3 transitional cell carcinoma(TCCa), who had complete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ir tumor followed by 6 weeks of intravesical instillation of Bacillus Calmette-Guerin(BCG), and with at least 1 year follow-up, were enrolled in the study. Paraffin-embedded cancer tissues were immunohistochemically stained for COX-2 and possible correlation with clinicopathologic features such as shape and multiplicity of tumor, recurrence and progression was sought.

The median age was 66(34-80) years, the male-to-female ratio was 36:1, and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27(12-67)months. Sixteen(43.2%) patients experienced recurrence and 7(18.9%) patients had progression defined as muscle invasion or distant metastasis. Of 37, 16(43.2%) stained positive for COX-2 defined as ≥5% of positively stained cells. Cumulative 2-years recurrence-free rates for COX-2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were 50.0% and 68.6%, respectively. Overall recurrence-free rates were 37.5% and 71.4%, respectively an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ositive group(p=0.039). Cumulative 2-years progression-free rates for COX-2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were 81.3% and 90.5%, respectively, and overall progression-free rates were 68.7% and 90.5%, respectively(p>0.05). The shape and multiplicity of tumo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a pathologically homogeneous group of T1G3 TCCa of the bladder, 43% of cases expressed COX-2, and its expression correlated with recurrence. Thus, COX-2 positive superficial bladder cancer patients may need to be followed more vigorously. Further studies on implication of COX-2 in the mechanism of recurrence and possible application of COX-2 inhibitor in the prevention of recurrence of superficial bladder cancer are needed.
Files in This Item:
T00671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54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