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2 625

Cited 0 times in

저소득 노인의 우울에 관한 내러티브 접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한주-
dc.date.accessioned2015-11-22T07:17:33Z-
dc.date.available2015-11-22T07:17:33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531-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우울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경험적 사실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수행된 많은 연구는 노인의 우울을 실태나 영향요인의 조사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어 전인적 관점에서 우울을 탐색하지 못하였고, 우울에 대한 중재도 노인의 삶의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공되어 왔다는데 제한점이 있었다. 이에 연구자는 대상자를 개별로 접근하면서, 그의 삶의 맥락 속에서의 우울의 실재를 이해하고, 간호실천을 하기 위한 방안으로 내러티브 접근을 사용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방문하여 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가 노인의 삶의 맥락에서의 우울을 이해하고 그들이 과거를 재평가하고, 현재를 수용하는 과정을 통해새로운 삶의 방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협력하기 위한 것으로 5명의 노인을 가정으로 방문하여 심층면담을 하였다. 면담내용은 녹음을 한 후 필사하였고, 자료는 Kvale(1996)이 제시한 면담의 해석적 접근법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내러티브를 통해 드러난 노인의 우울은 자신의 과거 삶 속에서 의미 있었던 것들이 사라지는 경험으로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노인들은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며 점차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가는 현상으로 나타났으나 연구자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자신의 삶의 경험을 말하고, 재차 말하는 과정을 통해 감정을 정화하고 삶에 대한 의미를 재 부여하면서 다시 사회 속으로 나아가려는 단계로 이행하였다. 즉, 노인의 우울은 상실의 경험에서부터 발생하며 우울 현상은 상실과 더불어 살기로 나타나고, 자신의 삶의 이야기를 말하는 과정을 통해 상실에서 헤어나려고 하기, 삶에 대한 의미를 재 부여하기로 진행되었다. 노인의 우울에 대해 내러티브 접근법을 사용한 본 연구는 간호사에게는 우울을 하나의 독립적인 건강문제가 아닌 인간의 삶 속에서 빚어진 맥락적인 정서로 바라볼 수 있게 하였고, 연구의 참여자인 노인에게는 간호사인 연구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자신을 드러냄으로서 스스로 우울을 극복하려고 하는 임파워먼트로 귀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내러티브 접근법을 사용하여 노인의 우울에 대한 우리의 이해의 지평을 확대하였고, 간호실무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Despite evidence that depression influences quality of life for older people, much of the research literature has focused on surveys for epidemiological data and contributing factors, but not on exploring depression as a whole. Additionally, interventions for depression are provided without considering the contextual nature of life. So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depression in context and the use of a narrative approach in the practice of nur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depression in the context of the lives of elderly people and to help them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ir past, accepting the present, and recreating meaning in their lives. The data were gathered from audio-tape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elderly people from a low-income community. Th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in the person's home and were analyzed based on Kvale(1996)'s approach to the interpretation of interviews. Through the narrative approach, the elderly described their experience of something which had meaning in their past life now being lost. Because of this loss, they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and gradually became isolated from society. Participants found release from their emotions through telling, and retelling their story in an interactive process with the researcher and thus moved toward society by recreating meaning. That is, elderly depression occurred from the experience of loss, and the depressive phenomena appeared from living with the loss. They could break loose from the loss by telling their life story and recreating the meaning. This study allows nurses to see depression as a contextual emotion in the life of human beings, and not as one separate health problem, and see that elderly people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could be empowered to resolve their own depress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earcher. The narrative approach expands our understanding about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providing new possibilities for conducting nursing practic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저소득 노인의 우울에 관한 내러티브 접근-
dc.title.alternative(A) narrative approach to depression in low income elderly peopl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Han Ju-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