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4 638

Cited 0 times in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후 설골의 위치와 상기도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Cephalometric study of posterior airway space and hyoid bone position in patients affected by class II malocclusion and 
Authors
 배진성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전방두개기저부의 성장과 상하악복합체의 성장은 인후기도공간(Posterior Airway Space, PAS)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며 중·하안면부위의 심한 발육부전은 인후기도공간의 감소를 야기하게 되고 코골기에서부터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까지 이르는 다증후군성 상태(polysyndromic condition)를 야기하게 된다. 하악의 후퇴증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성 Ⅱ급 부정교합 시 안모추형 및 기능개선을 위한 악교정 수술은 악골의 골격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구강내외의 연조직 변화가 함께 나타나

외부적으로는 안모의 심미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내부적으로는 설골 및 기도공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인후기도공간에 대한 하악전진술의 효과 및 수술 시 어느 정도의 양이 기능적 해소를 위해 필요한지에 대한 변화량 측정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상하악 전진술이 상·하악 후퇴증을 동반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법의 하나인 것을 토대로 향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대조군으로 정상교합자 102명을 선정하고,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및 영동세브란스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하악후퇴증으로 인하여 악교정 수술을 받고 술후 6개월 이상 추적조사가 가능하였던 30명을 대상으로 술전, 수술직후, 술후 6개월 이상 경과 후 측모두부규격 방사선 사진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Ⅱ급 부정교합자의 인후기도공간 분석에서 골격성Ⅱ급 부정교합자에서 교합면의 연장선상의 기도공간(PAS(OL))을 기준으로 하방 부위에서는(PAS(ML), PAS(UT), H-PhW, V-PhW) 더 작게, 상방(PAS(NL), PhW1-PNS)에서는 더 크게 나타났다.

2. 골격성 Ⅱ급 부정교합자의 술전, 수술직후, 술후 6개월 이후의 인후기도공간구조의 분석에서 구인두와 하인두부위에서는 술후 증가되었으며 추적조사기간에도 증가된 양상을 나타냈다. 그 중 하악하연평면(PAS(ML))에서 가장 큰 증가를 나타내었고, 설골에서 기도후벽까지의 수직거리(H-PhW)와 설골과 이극의 연결선상의 설골에서 기도후벽까지의 거리(H-PhW(Me-H))는 추적조사기간 중 현저한 감소가 있었으나 술전에 비해서는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3. 악교정 수술 후 인후기도공간의 변화는 상하악 동시 수술 이나 하악편악수술 및 하악이부 전진술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4. 경조직의 변화량에 따른 연조직 상관관계에서 하악하연평면 연장선상의 기도공간(PAS(ML)), 교합면 연장선상의 기도공간(PAS(Occl)), 연구개첨 연장선상의 기도공간(PAS(UT))에서 상관성을 보였고(p<0.005, r=0.37∼0.53) 회귀분석상 하악하연평면 연장선상의 기도공간(PAS(ML)), 교합면 연장선상의 기도공간(PAS(Occl)), 연구개첨 연장선상의 기도공간(PAS(UT))에서 모형 설명력이 50% 이상으로 높았으며 구개평면 연장선상의 기도공간(PAS(NL))에서는 13%로 가장 낮았다.

5. 정상교합자에 비해 후방위치 하였던 골격성 Ⅱ급 부정교합자의 설골은 수술직후 전하방 위치되었으나 술후 6개월 이후 수평적 위치는 유지되었으나 수직적 위치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골격성 Ⅱ급 부정교합자는 하악전진술에 의하여 구인두와 하인두 부위가 술후 증가되었고 추적조사기간에도 유지되었다. 따라서 하악후퇴증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환자에서 구인두부위의 폐쇄와 연관지어볼 때 치료효과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영문]

OSAS(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s becoming more and more of importance nowadays. Therefore the study concerning OSAS is very important.

Most of the studies which have been reported were comparison of upper airway size and change of skeletal class Ⅰ group and skeletal classⅢ group respectively. But, most of the showing OSAS have pharyngeal narrowing combined with more or less distinct maxillary and mandibular deficiency.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of skeletal class Ⅱ group in order to see whether certain craniofacial characteristics exist compared to skeletal class Ⅰ

group and see posterior airway space and hyoid bone position in patients affected by class Ⅱ malocclusion and treated with orthognathic surgery.

At first, we measured the lines between selected upper air way landmarks on lateral cephalometric x-ray films of skeletal class Ⅰ102 persons and did the same lines of landmarks of skeletal classⅡ30 persons who had not been operated yet, were within 2 weeks after operation, were 6 months after operation. And we compared them respectively and analyzed them with pairing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keletal class Ⅱ group was narrower in oropharyngeal and hypopharyngeal airway space(PAS-ML, PAS-UT, H-PhW, V-PhW) than skeletal class Ⅰ was, but rather wider in nasopharyngeal airway space(PAS-NL, PhW1-PNS).

2. Skeletal class Ⅱ group was increased in all the level of PAS, especially PAS(ML) and PAS related to hyoid bone(H-PhW, H-PhW(Me-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in 6 months after operation but that was larger than preoperation.

3. The PAS was increased after mandibular advancement surger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S and surgical methods.

4.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PAS and a number of surgical movement.

5. The hyoid bone was more posterolaterally positioned in class Ⅱ malocclusion group and advanced within 2 weeks after operation but relapsed within the follow up period.

In the end of the study, it was turned out that PAS was always wider without distinction of the region after the operation a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volume of hard tissues and the changing quantity of PAS (; how much PAS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ing degree of hard tissues).

After this, to be based on the study, I consider that OSAS demands further study and that it is necessary to do more practical applications to the patients.
Files in This Item:
T00668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51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