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 514

Cited 0 times in

후두전적출술을 받은 환자에서 레이저도플러혈류측정기를 이용한 코점막 혈류량의 변화

Other Titles
 (The) change of nasal blood flow after a total laryngectomy : Determined by laser-doppler blood flowmetry 
Authors
 문형진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의과학사업단/석사
Abstract
[한글]비강내 공기 흐름이 없을 때 일어나는 코점막의 기능적, 형태학적인 변화는 비강 생리를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며, 비강내 공기 흐름이 없어진 후두전적출술을 받은 환자의 코점막에서 다양한 기능적, 형태학적 변화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변화는 코점막의 혈류량 변화로 기인한다고 추정된다.

지금까지 코점막 혈류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방법들은 침습적인 방법으로 여러 가지 단점이 있었다. 연구자는 비침습적이고 재현성이 좋은 레이저도플러혈류측정기를 이용하여 후두전적출술을 받은 환자와 정상인에서 코점막의 혈류량을 측정하여 후두전적출술 후 나타나는 코점막의 혈류량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후두전적출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측정 당시 혈압이 정상인 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다시 식도발성이 가능한 군과 불능한 군으로 나누었다. 대상 환자 24명중 남자는 23명 여자는 1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63.2세이었고 이중 식도발성이 가능한 환자는 9명이었으며 불가능한 환자는 15명이었다. 환자들은 수술 후 12개월에서 77개월이 경과하였으며 평균적으로 수술 후 28개월이 경과하였다. 대조군은 전비경 검사상 정상 소견을 보이고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부비동염의 기왕력이 없는 건강한 성인 남녀 35명으로 하였다. 대조군 35명중 남자는 18명, 여자는 17명이었고 이들의 평균 나이는 57.4세였다.

레이저도플러혈류측정기는 Periflux 4001(Perimed, J rt lla, Sweden)을 이용하였다. 사용한 레이저 광선의 파장은 780nm 이었고 하비갑개 점막에서 0.2mm 떨어진 위치에서 코점막의 혈류량(perfusion)과 적혈구의 농도(concentration), 혈류속도(velocity)를 측정하였다. 측정단위는 각각 perfusion unit(PU), concentration unit(CU) 및 velocity unit(VU)를 사용하였다.

환자군에서의 혈류량은 71.4±16.1 PU(mean±SD), 적혈구의 농도는 98.2±30.3 CU, 혈류속도는 75.9±14.8 VU 이었으며 정상대조군의 혈류량은 137.4 ±23.2 PU, 적혈구의 농도는 65.0±26.4 CU, 혈류속도는 252.7±114.4 VU 이었다. 환자군에서 코점막의 혈류량과 혈류속도는 정상인에 비교하여 의미있게 낮았다(p<0.05).

환자의 연령 및 수술 후 경과 기간과 코점막 혈류량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p>0.05).

식도발성이 가능한 환자군에서 혈류량은 83.4±14.7 PU, 적혈구의 농도는 101.9±26.2 CU, 혈류속도는 83.9±11.0 VU이었으며 식도발성이 불능한 환자군에서 혈류량은 64.2±12.4 PU, 적혈구의 농도는 96.0±33.2 CU, 혈류속도는 71.2 ±15.0 VU 이었다. 식도발성이 가능한 환자군에서 식도발성이 불능한 환자군에 비해 코점막의 혈류량과 혈류속도가 의미있게 높았다(p<0.05)

이상을 요약하면 후두전적출술을 시행받아 비강내 공기 흐름이 중지된 환자들에서는 정상인에 비하여 코점막 혈류량이 뚜렷이 감소하였으며 식도발성이 가능하여 비강내 공기 흐름이 약간 남아있는 환자들에서는 코점막 혈류량이 식도발성이 불능한 환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보아, 비강 내로의 공기 흐름의 양과 코점막 혈류량과는 서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후두전적출술후 1년 이후에는 수술 후 경과 기간이 늘어나도 코점막 혈류량은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The effects of airflow cessation on the human nasal mucosa can be conveniently studied in laryngectomees and the blood flow to nasal mucosa is an important factor in maintaining normal nasal function. Therefore, we measured the nasal mucosa blood flow of laryngectomees with normal volunteers using a new non-invasive technique based on the Laser Doppler Principle which investigates the changes in nasal mucosa blood flow after a total laryngectomy.

A total of 24 postoperative laryngectomees, including both esophageal speakers and non-esophageal speakers, were studied and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of 35 normal rhinoscopic volunteers without any recent history of nasal disease. Among 24 total laryngectomees, 9 were esophageal speakers. A Laser Doppler flowmetry was performed using a Periflux 4001(Perimed, J rt lla, Sweden). The wavelength of the laser beam was 780nm. A specially designed probe with an outer diameter of 1.5mm was used. Under visual guidance, the tip of the probe was fixed 0.2mm from the mucosal surface of the anterior part of the inferior turbinates.

The results of the laryngectomees with the normal subjects and the values recorded between the esophageal and non-esophageal speakers were compared. Within the laryngectomees, a further study was conducted reco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blood flow and age, and between blood flow and postoperative duration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laryngectomees were as follows (mean±SD) : perfusion ; 71.4±16.1 perfusion unit(PU), concentration ; 98.2±30.3 concentration unit(CU), velocity ; 79.9±14.8 velocity unit (VU). For the normal control subj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perfusion 137.4±28.2 PU, concentration ; 65.0±26.41 CU, velocity ; 252.7±114.4 VU.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exception of the concentration (p<0.05). Furthermore, no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blood flow and age, and between blood flow and postoperative duration.

The following results for the esophageal speakers were recorded as follows(mean±SD) : perfusion ; 83.4±14.7 PU, concentration ; 101.9±26.2 CU, velocity ; 83.9±11.0 VU. In the non - esophageal speak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perfusion ; 64.2±12.4 PU, concentration ; 96.0±33.2 CU, velocity ; 71.0±15.0 VU.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exception of the level of concentration (p<0.05).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evident that the nasal blood flow decreased after a total laryngectomy when comparing the values with the non-laryngectomees. In the case where the airflow improved, an increase in the level of blood flow was recorded. It is assumed that the change of the nasal blood flow will most likely occur within the first year after a total laryngectomy.
Files in This Item:
T00658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43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