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1 1157

Cited 0 times in

호스피스 간호가 말기 암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hospice care on quality of lif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uthors
 유승연 
Issue Date
2001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호스피스 간호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인 지지를 통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말기 암환자의 삶의 질(신체, 정신, 실존, 지지, 영적인 측면)을 평가해봄으로써 호스피스 간호의 효과를 알아보며,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총 60명(4개의 호스피스 기관에 의뢰된 30명의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말기 암환자, 2개의 종합병원에 입원한 30명의 호스피스 간호를 받지 않은 환자)으로 연구기준에 맞는 환자들이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연구도구는 질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직접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질문지는 일반적 특성에 관한 10문항과, 삶의 질에 관한 22문항(신체적 2, 정신적 4, 실존적 6, 지지적 6, 영적 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Cohen외(1996) 및 윤경이(1997)의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만든 것으로 사전조사 후 사용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0년 9월 18일부터 10월 28일까지이며, 통계적 방법에는 실수와 백분율, χ2, t-test로, ANOVA, Pearson correlation이 이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가설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말기 암환자의 전체적인 삶의 질은 호스피스 간호를 받지 않은 군보다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4.948, p=.000).

부가설 중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군이 호스피스 간호를 받지 않은 군보다 정신적 차원의 삶의 질이 높을 것이다."(t=3.106, p=.003)와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군이 호스피스 간호를 받지 않은 군보다 지지적 차원의 삶의 질이 높을 것이다."(t=5.514, p=.000),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군이 호스피스 간호를 받지 않은 군보다 영적 차원의 삶의 질이 높을 것이다."(t=4.588, p=.000)는 지지되었다.

그러나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군이 호스피스 간호를 받지 않은 군보다 신체적 차원의 삶의 질이 높을 것이다."(t=1.003, p=.320)와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군이 호스피스 간호를 받지 않은 군보다 실존적 차원의 삶의 질이 높을 것이다."(t=1.975, p=.053)는 기각되었다.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중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전반적인 삶의 질에 있어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군에서 종교를 가진 경우(F= 4.258, p=.048)와 교육정도가 높을 수록(F=3.595, p=.020), 그리고 종교를 가진 기간이 길수록(r=.475, p=.014) 전반적인 삶의 질 점수가 높았다.

신체적 차원의 삶의 질은 호스피스 간호를 받지 않은 군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낮았다(r=-.362, p=.040) .

실존적 차원의 삶의 질에 있어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군에서 여자환자의 경우(F=4.200, p=.050), 그리고 종교를 가진 기간이 길수록(r=.486, p=.012) 실존적 차원의 삶의 질 점수가 높았다.

영적인 차원의 삶의 질은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군에서 교육정도가 높을수록(F=3.301, p=.027), 연령이 낮을수록(r=.-362, p=.049) 영적 차원의 삶의 질 점수가 높았다. 또한 영적인 차원의 삶의 질은 호스피스 간호를 받지 않은 군에서 경제상태가 높을수록(F=3.423, p=.047), 그리고 종교를 갖고 있는 경우(F=9.730, p=.004) 영적 차원의 삶의 질 점수가 높았다.

그리고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 모두에서 영적 차원의 삶의 질은 종교를 가진 기간이 길수록 높았다(실험군 r=.393, p=.047, 대조군 r=.520, p=.003).



결론적으로 호스피스 간호는 정신적, 지지적, 영적 차원의 삶의 질을 포함한 전체적인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신체적 및 실존적 차원에 있어서는 호스피스 간호가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신체적 차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호스피스 간호사는 보다 적극적으로 신체증상관리에 참여하여야 하며, 독자적인 간호중재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실존적 차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포괄적인 영적 간호에 대한 개념 정립과 새로운 간호중재방법이 요구된다.



[영문]Hospice care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through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support.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hospice care by evaluating the terminally-ill patients' quality of life(physical, psychological, existential, support, and spiritual aspect)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study design 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only design.

From September 18 to October 28 2000, 60 terminal cancer patients(30 hospice patients in four hospice institutes, 30 nonhospice patients in two general hospital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criteria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with interview. The tools used for the research were 10-item questionnaire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22-item questionnaire about quality of life(2-item for physical, 4 for psychological, 6 for existential, 6 for support, 4 for spiritual aspect). The questionnaire were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by means of the measure instrument of Cohen. et al.(1996), Kyoung-E. Youn(1997). Frequency and percentage, χ2,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Main hypothesis 'The global overall quality of life of the hospice patients will be higher than that of nonhospice patients' was supported((t=4.948, p=.000).

Sub hypothesis 'The quality of life of the hospice patients in psychological aspects will be higher than that of nonhospice'(t=3.106, p=.003), 'The quality of life of the hospice patients in support aspects will be higher than that of nonhospice'(t=5.514, p=.000)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hospice patients in spiritual aspects will be higher than that of nonhospice'(t=4.588, p=.000) were supported.

But 'The quality of life of the hospice patients in physical aspects will be higher than that of nonhospice' (t=1.003, p=.320)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hospice patients in existential aspects will be higher than that of nonhospice'(t=1.975, p=.053) were not supported.



Relation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the quality of life of each group were as follows.

Global quality of life is higher when the patients have religion(F=4.258, p=.048), high education(F=3.595, p=.020) and it depends on a length of having religion (r=.475, p=.014) in experimental group.

Physical aspects of quality of life are higher when the patients are young(r=-.362, p=.040) in control group.

Existential aspects of quality of life are higher when the patients are female(F=4.200, p=.050), and they depend on a length of having religion(r=.486, p=.012) in experimental group.

Spiritual aspects of quality of life are higher when the patients have high education(F=3.301, p=.027) and are young(r=.-362, p=.049) in experimental group. In both group, spiritual aspects of quality of life are higher depending on a length of having religion(experimental group r=.393, p=.047, control group r=.520, p=.003). Spiritual aspects of quality of life are also higher when the patients have religion(F=9.730, p=.004) and economy status of the patients is higher(F=3.423, p=.047) in control group.



It concluded that the hospice care has positive effects on general quality of life including psychological, support, and spiritual aspects. But in physical and existential aspect of quality of life, hospice care has not shown significant effects. So, for the progress of the physical aspect of quality of life, hospice nurses are to participate actively in physical symptom control and to develop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progress of the existential aspect of quality of life, comprehensive spiritual care is conceptualized and new nursing interventions are developed.
Files in This Item:
T00658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43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