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8 1063

Cited 0 times in

한국인 혀신경의 형태 및 국소해부

Other Titles
 Morphology and topography of the lingual nerve in Koreans 
Authors
 김선용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치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혀 가쪽의 입안 바닥 밑에는 혀밑샘, 턱밑샘의 깊은부분 및 턱밑샘관, 혀신경, 턱밑신경절 그리고 작은 정맥가지 등의 여러 중요 구조물들이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이들 중 혀신경은 아래턱신경의 가지로 날개아래턱공간을 지나 혀쪽잇몸, 입안바닥의 점막 그리고 혀 앞쪽 2/3 부위로 퍼저 이 부위의 일반감각을 담당한다. 따라서 혀신경은 어금니 뒷 부위의 국소마취나 사랑니 발치, 턱뼈가지 부위의 턱교정수술과 보철전수술 및 외상치료, 침샘수술, 종양 절제술 등의 임상 시술시 손상 받기 쉬워 혀의 감각이상과 맛감각 손실 등의 여러 가지 합병증을 발생시킬 수 있어 특히 유의해야 할 중요한 해부학적 구조물이다.

이에 저자는 한국인의 혀신경의 형태 및 주행 그리고 주위 해부학적 구조물과 관련된 국소해부학적 관계를 확인하고, 이 부위의 외과적 처치시 연관되는 해부학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한국인 어른 시신 머리 32쪽을 대상으로 육안 및 미세해부, 방사선사진과 광학현미경적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혀신경과 아래이틀신경이 나뉘는 위치는 머리뼈바닥에서는 아래로 14.3mm (최소 7.8mm∼최대 24.1mm), 날개갈고리에서는 위쪽으로 16.5mm(최소 4.9mm∼최대 24.3mm)로 귀신경절 아래의 턱뼈패임 근처인 경우가 65.6%로 가장 많았으며 턱뼈가지 위 1/2인 경우가 25.0%, 아래 1/2인 경우가 3.1% 그리고 얼기형인 경우도 6.3%가 관찰되었다. 또한 아래턱 혀돌기 높이에서 혀신경과 아래이틀신경 사이의 평균거리는 4.0mm(최소 0.0mm∼최대 7.7mm)였다.

2. 혀신경과 아래이틀신경이 나뉜 후 다시 연결 교통되는 신경가지를 보인 경우는 32예 중 11예(34.4%)로 그 연결 양상은 다양하였다. 또한 혀신경과 턱목뿔근신경간 연결이 4예, 아래이틀신경과 귓바퀴관자신경간 연결이 4예, 아래이틀신경과 가쪽날개근신경간 연결이 1예 등의, 아래턱신경의 다른가지들 간의 연결교통양상도 관찰되었다. 이외 아래이틀신경이 가쪽날개근 사이를 지나는 "신경갇힘" 과 같이 근육과 관련된 변이도 관찰되었다.

3. 고실끈신경이 혀신경에 합쳐지는 지점은 턱뼈가지 위쪽 1/3 높이가 32예중 19예(59.4%)로 가장 많았으며, 방향은 혀신경의 뒤쪽으로 합쳐지는 경우가 27예(84.4%)로 가장 많았다.

4.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 혀신경의 단면은 어금니뒷부위에서는 타원형과 원형이 각각 40.6%로 대부분이었고 아래턱 사랑니 부위에서는 타원형이 59.4%로 가장 많았다. 반면 아래턱 둘째큰어금니 부위에서는 리본형인 경우가 62.5%로 가장 많았다.

5. 모든 혀신경은 턱밑샘의 위쪽 모서리를 지나 혀쪽 치밀뼈 판에 인접하여 턱밑샘관과 교차한후 앞쪽으로 향했으며, 교차부위는 둘째큰어금니 먼쪽이 40.8% 사랑니 중간이 37.0%의 순이었다.

6. 턱밑신경절은 32예중 28예에서 관찰되었는데 17예(60.7%)가 혀신경 굽이부분에, 7예(25.0%)가 신경굽이보다 위쪽에, 4예(14.3%)가 신경굽이보다 아래쪽에 위치했다.

7. 혀신경에서 직접 분지하여 어금니뒷부위와 사랑니 부위에 분포하는 곁가지는 총 32예 중 26예에서 관찰되었으며 평균 1.1개(최소 0개∼최대 3개)였다. 또한 혀신경은 턱밑샘관과 교차하며 고리를 이뤄 전방으로 주행하여 혀 가쪽면에 평균 3.8개(최소 2개∼최대 6개)의 말단신경가지로 나뉘었다.

8. 아래턱 혀쪽 이틀뼈 능선과 혀신경 사이의 최단거리는 어금니뒷부위에서 7.8mm, 아래턱 사랑니 먼쪽과 가까운쪽에서 각각 9.5mm와 15.5mm였다.

이상과 같이 아래턱신경가지들, 특히 혀신경의 주행양상과 그에 따른 국소해부학적 관계 및 신경교통양상 등의 다양한 해부학적 특징을 관찰할 수 있어 실제 임상에서의 적용과 응용시 유의점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향후 개구상태에서의 3차원적 연구를 통한 해부학적 변이를 판별하여 임상적 진단과 치료에 실제적으로 응용할 수 있도록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Two major salivary glands, submandibular duct, lingual nerve, and vessels are situated beneath the mouth floor. Among these, passing through the pterygomandibular space, lingual nerve is innervated to

the lingual gingiva and the mucosa of much floor,and is responsible for the general sensation of the anterior two thirds of the tongue.So,the injury of the lingual nerve during an anesthesia or surgery in the retromolar area may cause complications such as a numbness, a loss of taste of the tongue and the other dysfunctions.

Therefore, to find out the morphlolgy and the course of lingual nerve and to clarify the topographical relationships of lingual nerve at the infratemporal fossa and paralingual space area, 32 Korean hemi-sectioned heads were dissected macroscopically and microscopically with a viewpoin of clinical aspect in this study.The results were as follows.



1.The furcation area of lingual and inferior alveolar nerve was located 14.3mm inferorly from the formen ovale, and was 16.5mm superiorly with a reference to the tip of hamular process.And most of the furcation areas of the lingual and inferior alveolar nerve were located around the mandibular notch inferior to the otic ganglion(65.6%).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ingual and inferior alveolar nerve on the level of the mandibular lingual was 4.0mm.

2.Communucatind branches between the lingual and inferior alveolar nerve elow the fucation were observed in 34.4% and the morphological pattern of communication was calssified inti categories and cases in which a connecting branch from the lingual nerve to inferior alveolar nerve were most.

And also,variant connections between the mandibular nerve branches were observed.

Connection between the lingual and mylohyoid nerve were observed in 4 cases.Also,the inferior alveolar nerve communicated to the auriculotemporal nerve were observed in 4 cases.In 1 case,a nereve branch from inferior alveolar nerve was connected with the nerve to lateral pterygoid muscle.A bove and beyond the connecting branches,inferior alveolar nerve was dovoded into two branches,and one posterior branch of inferior alveolar nerve was entrapped with a part of the lateral pterygoid muscle fibers.

3.The cases in with a joining levels of chorda tympani nerve to lingual nerve was located on the upper 1/4 were most(59.4%),and the most cases were showed that the chorda tympani nerve was joind to the posterior aspect of the lingual nerve(84.4%).

4.Cross-sectional morphology of the lingual nerve on the retromlar area was mostly round(40.6%) or ovoid(40.6%).Whereas,their morphology on the mandibular 3rd and 2nd molar area were ovoid(59.4%) and ribbon(62.5%) respectively.

5.All lingual nerves were crossing the submandibular suct over the submanndibular gland and the mot if crossing area was located at the distal of the mandibular 2nd molar(40.8%) and the middle of the mandibular 3rd molar region(37.0%).

6.Cases in which the submandibular ganglion was located at the curvature of the lingual nerve around the posterior border of the mylohyoid muscle were most(60.7%).

7.Collateral nerve branches from the lingual nerve to the retromolar area were found in 26 cases and the average number was 1.1. And the terminal nerve fibers to the lateral aspect of tongue was 3.8 in average.

8.In this study,the shortest distances from the alveolar crest to the lingual nerve were measured using the radiographs.There was no case in which the lingual nerve passed along the mandibular lingual plate above the alveolar crest in Koreans.The average distance from the retromolar area to the lingual nerve was 7.8mm,and the average distances from the distal and mesial portion of the mandibular 3rd molar to the lingual nerve were 9.5mm and 15.5mm,respectively.



In summery, this study demonstrated various anatomical characteristics with relation to the cuorse and topography of the lingual nerve in Koreans.And clinical significances based on the anatomical variations through the topography of the course and communications between the mandibular nerve branches were described in detail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Key words:mandibular nerve,lingual nerve,inferior alveolar nerve,chorda tympani nerve,communication,collateral nerve branch,extraction of wisdom tooth,local anesthesia
Files in This Item:
T00658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42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