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9 659

Cited 0 times in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표정 정서 자극에 의해 유발된 P3

Other Titles
 P3 elicited by facial emotional stimuli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uthors
 안석균 
Department
 Dept. of Psychiatry (정신과학교실)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의과학사업단/박사
Abstract
[한글]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증 환자의 정서 처리 과정 손상이 정서 범주별로 차별적 손상을 보이는지 아니면 전반적 손상을 보이는지를 신경생리학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표정 정서 자극을 제시한 후 정서 처리 과정의 생리적 측정치로 알려진 P3를 측정하여, 첫째, 정상인에서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 범주에 따라 P3 진폭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만약 차이가 있다면,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정서 범주에 따라 P3 진폭이 정상인의 경우와 다른지 여부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정상인 12명(남 3, 여 9)과 투약 중인 안정화 단계의 정신분열증 환자 6명(남 3, 여 3)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서 자극으로는 한국인의 표정 사진 중 정서가 표준 점수를 기준으로 긍정적, 부정적, 및 중립적 정서 범주 자극 총 18개를 선택하였다. 선택된 표정 정서 자극은 남, 여 각 3인에 의해 표현된 흑백 사진이었다. 표정 정서 자극을 oddball 패러다임에 따라 표적 자극으로 제시하였으며 모든 연구대상에게 표적 자극에 대해 느끼고 반응하도록 지시하였다. 뇌파는 Fz, Cz, Pz, F3/F4, C3/C4, P3/P4 채널에서 측정하였다. 중립적 정서 범주의 표정 정서 자극은 정상인(n=12)에서 중립적 정서 상태를 일관되게 유도하지 못해, 이후의 분석에서는 제외되었다. 우선 정상군에서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 범주 사이의 P3 진폭의 크기를 짝을 이룬 t-검증 및 Wilcoxon 부호 순위 검증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정신 병리의 유무를 독립 변수로, 정서 범주를 집단내 반복측정 변수로, P3의 진폭을 종속 변수로 하여 반복 측정에 의한 변량 분석을 실시하여 정상 비교군(n=6)과 정신분열증군(n=6) 사이에서 정서범주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상군에서 부정적 정서 범주의 표정 자극에 의해 유발된 P3의 진폭은 긍정적 자극에 의한 경우보다 유의하게 컸었다(Pz 채널: t= 2.55, d.f.=11, p=0.027; P4 채널: t= 2.72, d.f.=11, p=0.020). 둘째, 정서 범주에 따라 정신분열증 환자군과 정상비교군 사이의 P3 진폭을 비교 해 본 결과 정상 비교군은 부정적 정서 범주의 자극에 의한 P3의 진폭이 긍정적인 경우 보다 유의하게 높은데 비해 정신분열증 환자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z 채널: F=7.25, d.f.=1, p=0.023, ηp2=0.42, β=31.9, 교차 효과; P4 채널: F=10.80, d.f.=1, p=0.008, ηp2=0.52, β=15.9, 교차 효과).

이상의 결과는 항정신병약물 투여중인, 안정화 단계의 정신분열증 환자중 최소한 일부는 긍정적/부정적 범주의 표정 정서 자극 처리에서 정상인과 신경생리학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정신분열증 환자는 정서 처리 과정상 정서 범주별로 차별적 손상을 보인다는 기존의 신경행동학적 보고를 뒷받침하는 신경생리학적 증거로 생각된다.





[영문]To test whethe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 differential deficits in emotional processing or not, the author measured event-related potentials especially, P3 elicited by facial stimuli in 6 stabilized, medicated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12 healthy contrast group. The 18 facial photographs expressed by the same 6 persons were chosen and grouped according to the emotional valence. The neutral, positive or negative emotional set of stimuli was composed of rare target facial photographs and frequent non-target checkerboards. Subjects were instructed to feel and respond to the target photographs. Unfortunately the target photographs within the neutral set did not consistently elicit neutral emotional feeling within the healthy subjects. The amplitudes of P3 elicited by negative emotional facial stimuli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P3 elicited by positive stimuli in healthy group.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on the amplitude of P3 revealed the significant interaction positive/negative emotional stimuli by patients/contrast group was observed. The author suggests that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ay be neurophysilogically different to healthy contrast group in the emotional processing. These findings support the neurobehavioral findings of differential deficits according to the emotional category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Files in This Item:
T00655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sychiatry (정신과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An, Suk Kyoon(안석균)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3-4576-6184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40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