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2 947

Cited 0 times in

식품섭취빈도조사의 타당도 연구

Other Titles
 Validation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uthors
 심지선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역학 및 질병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평소 식이 섭취 특히, 지질과 지방산의 섭취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타당도를 각각 개별 영양소와 식품 섭취의 수준에서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한 기준방법으로는 반복측정한 식이기록을 이용하였으며, 1998년∼1999년 동안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했던 30세 이상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식품섭취빈도조사 실시 이후 두 번에 걸쳐 3일 식이기록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은 남자 34명, 여자 52명이었다. 개발된 식품섭취빈도조사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조사방법 간 평균 섭취량과 각각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식품섭취빈도조사를 통해 측정한 열량, 지질 및 지방산의 섭취량은 식이기록의 결과에 비해 과대 추정되었다. 열량의 섭취를 보정하기 전과 비교하여 보정 후의 관련성이 높아졌으며, 지질의 섭취에 대한 상관계수는 남자 0.56, 여자 0.33으로 평가되고 지방산의 종류별로 분류시 다불포화지방산은 남자 0.26, 여자 0.22, 단일불포화지방산은 남자 0.39, 여자 0.30, 포화지방산은 남자 0.40, 여자 0.55로 평가되었다. 기존의 연구와 비교할 때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식품섭취빈도조사의 타당도는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상관계수 0.5∼0.7 정도의 적절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의 원인은 본 연구에서 결과 분석 시 기준방법으로 선정한 식이기록 간의 일치도가 낮아서 상관계수 산출에 식이기록의 개인내 변동과 개인간 변동의 비를 고려하지는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며, 만약 이를 고려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한다면 두 방법간의 관련성은 보다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개인의 일상적인 식품 섭취 측정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조사방법간 식품군의 평균 섭취량을 비교하였는데, 평균 섭취량은 식이기록의 결과에 비해 식품섭취빈도조사에서 전반적으로 과대 추정되었다. 그러나 패류, 떡류, 가공육류 등 일부 식품은 오히려 식이기록의 섭취량이 보다 많게 측정되었으며, 식이기록의 측정오류를 보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산출된 평균 식이기록과 식품섭취빈도조사의 상관계수는 남자에서 평균 0.22, 여자는 평균 0.29로 관찰되었다. 개인의 식품섭취 총량 보정 전후의 관련성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식품에 따른 상관계수는 밥이나 과일, 커피 등 섭취빈도가 잦고 섭취량이 일정한 경우 0.5이상의 높은 관련성을 보인 반면, 패류, 떡류, 가공육류 등 섭취빈도가 일정하지 않고 계절이나 요일에 따른 변이가 큰 식품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식품섭취빈도조사지는 포화지방산과 지질의 섭취량 추정에는 용이하지만 다불포화지방산의 섭취량 추정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식품 섭취에 대한 타당도 검증에 있어서 특히 섭취빈도가 불규칙적인 식품은 섭취량 추정이 어렵지만 규칙적으로 소비되는 식품의 섭취는 개발된 식품섭취빈도조사 설문을 통해 타당하게 측정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다불포화지방산의 섭취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 불규칙적으로 소비되는 식품의 일상적인 섭취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조사방법이나 기준방법, 측정오류의 보정 방법 등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This study was conducted to validat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adults to estimate an individual's usual nutrient and food intake. The total number of 86 subjects(34 men, 52 women) were given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n completed two 3-day diet records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2∼20 months. This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especially assess fat/fatty acid intakes and asked about consumption of 93 food items with food frequency of 9 categories from 'almost never' to 'three times a day'. To obtain food intake measurements from the diet records that were compare with those from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e divided individual food items from both methods into 36 food groups, based on the similarity of nutrient profile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e compared mean intakes calculated from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ith those derived from the two 3-day diet records. Also, we use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se two methods.



As s result of analysis, energy, total fat and fatty acids were overestimated by the questionnair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after energy adjustment for nutrients ranged from 0.26(polyunsaturated fatty acid) to 0.56(total fat) among men and from 0.22(polyunsaturated fatty acids) to 0.55(saturated fatty acid) among women. On the food intake level, most of the foods intakes from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ere overestimated, but a few of them (eg, rice cakes, processed meat, shell fish, etc.) were underestimate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adjusted for total intake volume ranged from -0.20(shell fish) to 0.81(coffee) among men and from -0.04(potatoes and starches) to 0.72(coffee) among women. Foods consumed regularly had lower within-person variation and tended to have higher observed correlation coefficients. In contrast, irregularly consumed foods tended to be low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ood frequency questio -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not useful for evaluating some infrequently consumed foods. A result of this study, our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s moderately valid in assessing total fat and saturated fatty acid intakes.
Files in This Item:
T00652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37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