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5 1124

Cited 0 times in

구강편평상피세포암에서의 치성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dental factors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uthors
 남웅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구강편평상피세포암의 원인적 요소로서 지금까지 가장 많이 연구되어 온 것은 흡연이다. 흡연은 구강뿐만 아니라 신체 다른 부위 원발암의 발암원인으로서 광범위한 역학적 연구에서 분자생물학적인 수준까지 매우 많은 연구가 되어져 왔다.

구강암은 흡연 이외에도 햇빛, 음주, 바이러스, 기호품을 씹는 습관, 비타민 결핍, 온도자극 등이 원인적인 요인들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구강은 이런 일반적인 원인요소 이외에도 다른 장기와는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외인성 자극 물질과의 빈번한 접촉은 물론, 구강내의 많은 치성요인들도 연조직을 지속적으로 자극하게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성 요인에 관한 것은 지금까지도 특이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진 바 없어 치과의사나 구강암의 진단과 치료에 종사하는 전문인들조차도 그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더욱이 국내에서는 이러한 요인에 대하여 심도 있게 이루어진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이에 저자는 구강편평상피세포암의 발생에 치성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각 치성요인 항목을 세분화하여 구강편평상피세포암과의 연관성 및 의치장착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으며, 임상기록상 특기할 사항과 흡연 및 음주의 영향요인을 배제하고 구강편평상피세포암에서의 치성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연세의료원에서 병리조직학적으로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 100명(남: 75명 여: 25명)과 전신적으로 종양의 병력이 없는 154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치아항목 6개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흡연군과 비흡연군, 음주군과 비음주군으로 다시 나누어 역시 각 집단에서의 치성요인을 분석하였다. 한 변수에 대한 환자군과 대조군의 구강편평상피세포암과의 연관성을 카이자승검정(χ2-test) 방법을 이용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편평상피세포암의 발생에서 치성요인은 수복치 항목이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여 과거 불량한 구강위생상태와 불량한 치아수복에 의한 지속적인 자극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2. 상실치는 흡연자에서, 수복치와 치조골 흡수정도는 비흡연자에서 구강편평상피세포암의 발생과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3. 음주와 흡연 자체는 구강편평상피세포암의 발생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지만, 두 가지가 병행될 경우 구강편평상피세포암의 발생에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강편평상피세포암의 발생에 있어서 구강내 치성요인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경우, 흡연 및 음주의 위험요인과 함께 그 위험성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금연 및 금주와 함께 적절한 치아수복과 청결한 구강위생 관리가 구강편평상피세포암의 예방적 측면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핵심되는 말 : 구강편평상피세포암, 치성요인, 흡연, 음주



[영문]Smoking is an major etiologic factor of the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that has been most widely studied. Since smoking is also a carcinogenic agent of primary cancer in other parts of the human body, it has been studied from the epidemiological level to the molecular biologic level.

There are many etiologic factors other than smoking, such as sun-light, drinking, virus, betel-nut chewing, and vitamin-deficiency. However, the oral cavity has frequent contacts with many carcinogenic compounds, and its soft tissue is continuously stimulated by numerous dental factors.

However, there are few specific studies on the effect of dental factors, even dentists and specialists rarely recognized its importance. Moreover, there hasn't been any in-depth study on the dental factors in Korea.

For this reason, we have examined the detailed dental factors and its correlation with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denture-wearing effect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dental factors on the genesi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We have studied clinical contributing factors and the dental factors in the genesi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when the effects of smoking and drinking are controlled.

The study cases are 100 patients (75 males and 25 females) who were diagnosed histo-pathologically as squamous cell carcinoma at the Yonsei Medical Center. The control group was 154 patients who have no systemic malignant tumors.

The effects of 6 dental facto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he smoking group, the non-smoking group, the drinking group, and the non-drinking group. The effects of dental factors were analyzed in each group.

In this study, we have drawn some conclu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ntal factors an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using χ2-test.



1. The repaired teeth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genesis of squamous cell carcinoma. This is probably due to the combining effects of past poor oral hygiene and continuous stimulation due to poor prosthesis.



2. There is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lost teeth in the smoking group, and the repaired teeth and the degree of alveolar bone resorption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non-smoking group.



3. Smoking and drinking by-itself hav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genesi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However, in combination, they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is study, dental factors had a synergistic effect with smoking and drinking. Together with avoidance of smoking and drinking, appropriate restoration and oral hygiene control ar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preventive aspects of the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Files in This Item:
T00651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36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