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86 637

Cited 0 times in

가정물리치료사제도 도입 요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research of the introduction of home physical therapist system 
Authors
 문태순 
Issue Date
2001
Description
보건정책 및 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가정물리치료사제도가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의료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차원에서 우리나라 현실과 보건의료체계에 알맞은 가정물리치료사제도가 절실히 요구됨에 따라 이에 대한 필요성, 이용의사, 가정물리치료 실시 경험, 운영방법 및 기대효과 등 가정물리치료에 관한 실태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운영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가정물리치료사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실태조사는 전국에 있는 종합전문요양병원 24개 기관과 종합병원 48개 기관에 근무하는 물리치료사와 동 병원에 입원 또는 외래로 물리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자기기입방법으로 작성토록 하였으며, 물리치료사는 338부 배포에 222부가 회수되어 수집율이 65.7%였고, 환자(보호자 포함)는 676부 배포에 381부가 회수되어 수집율이 56.4%였다.

자료 분석은 설문 각 문항에 대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가정물리치료의 필요성, 이용의사 및 운영방법간의 상관관계를 배경변인에 따라 χ²-test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기대효과에 대하여 물리치료사와 환자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정물리치료사제도의 필요성과 이용의사에 대하여 물리치료 공급인력인 물리치료사와 수요자인 환자 및 보호자 모두 매우 높게 나타났고, 아직 제도적으로 실시되고 있지 않지만, 환자의 요청에 따라 비공식적으로 가정물리치료를 실시한 경험에 대하여 물리치료사와 환자 모두 상당수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볼 때, 가정물리치료사제도 도입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가 조속히 마련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가정물리치료를 건강보험에서 요양급여항목으로 적용하여 치료행위에 따라 일정액을 지불하는 방법을 물리치료사와 환자 모두 선호하였고, 가정물리치료 총 산정금액은 3만원 미만을, 환자부담액 중 교통비는 소요시간에 따라 전액 환자부담하고, 방문당 수가와 행위료는 외래부담율(55%)로 환자가 부담하는 방법을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가정물리치료비 중 환자부담금액은 물리치료사가 2만원 이상을, 환자는 1-1.5만원 미만을 선호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가정물리치료 치료간격은 물리치료사와 환자 모두 주3일을 선호하였고, 가정물리치료사 자격요건은 면허취득 후 3-5년 정도의 임상경험이 있고, 가정물리치료 교육을 일정기간 이수한 자에게 주어져야 한다고 하였으며, 가정물리치료 운영기관은 종합병원에서 운영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양질의 물리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물리치료사 1인당 1일 5명의 환자가 적당하다고 하였고, 적정 치료시간은 30분-1시간 정도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가정물리치료가 도입될 경우 기대되는 효과에 대하여 물리치료사와 환자 모두 매우 높은 기대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정물리치료사제도 도입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가정물리치료사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의료기사법을 개정하여 법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고, 건강보험에서 요양급여 적용과 적정 수가가 책정되어야 하며, 사업결과를 평가하고, 사업성과를 분석할 수 있는 일정기간의 시범사업이 필요하고, 가정물리치료사의 자격기준, 업무한계, 대상질환 및 서비스 내용 등에 대한 사업관리운영지침 개발이 필요하며, 양질의 가정물리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정물리치료사를 양성 할 수 있는 교육기관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입하고자 하는 제도가 의료·사회적으로 충분한 유의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공급인력인 물리치료사와 이용 대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전국 단위로 실제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조사 분석하였으나, 사업주체인 의료기관 기관장을 대상으로 실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으며, 가정물리치료 산정금액에 대한 방안이 투입자원을 기초로 한 분석을 통하여 제시되어야 하나, 가정간호요양급여기준의 문헌고찰을 통해 제시한 점이 있어,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tients' and physical therapists' needs, intention to use, preferred management scheme, and expectation of the effect of home physical therap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physical therapists working at 24 general special care hospitals and 48 general hospitals, and their patients or guardians, respectively. The response rate was 65.7% (222 out of 338 participants) for the physical therapist group and 56.4% (381 out of 676) for the patient group. Frequency distribution was examined for each answer of the questionnaire to understand the overall experience and expectation of both groups for home physical therapy system. To find out differences in specific aspects of home physical therapy system between the two groups, Chi-square tests and t-tests were performe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both of the physical therapist and patient groups showed strong needs, high intention to use, high demand for health insurance coverage for home physical therapy.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patients who have used home physical therapy informaly suggests the need of legal and formal procedure of introducing home physical therapy system. Both groups consented that total fee should be kept under 30,000 won, patient's out-of-pocket payment is to be 55% of total charge, and transportation expense should be paid by patients. Appropriate frequency of care was shown to be 3 times per week and proper workload of therapists was five patients per day. The respondents preferred that home physical therapists are provided and managed by general hospitals. There was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preferred amount of patient's out-of-pocket payments for home physical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is a strong demand and high expectation for home physical therapy by providers as well as by consumers. In addition, the study findings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hat are useful to prepare introduction of home physical therapy system in our health care system.
Files in This Item:
T00650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34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