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7 681

Cited 0 times in

소아암 초기 생존 아동의 학교 생활 경험

Other Titles
 School reentry experience of childhood cancer early survival children. 
Authors
 진주혜 
Issue Date
2001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치료방법의 개선 빛 발달로 점점 증가하고 있는 학령기 소아암 초기 생존 아동들의 심리·사회적 재통합에 있어서 학교복귀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소아암 초기 생존 아동의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는 많이 시도되지 못하였지만, 생존 아동을 위해 학교생활 적응은 조기 중재가 필요한 영역이므로 다양한 기초자료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 나라에서의 소아암 초기 생존 아동의 학교생활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학교생활 경험을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학습활동, 학급생활, 네 범주로 나누어 아동을 비롯하여 아동의 어머니, 친구 및 교사의 의견을 통합한 서술적 사례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00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약 두 달간 서울 Y대학 부속병원 암센터에 등록된 소아암 환아로 완전 관해 치료 종료 이후 학교로 복귀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 6명과 어머니 6명, 아동의 단짝친구 4명 그리고, 아동의 담임교사 5명으로 총 2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준구조화된 질문지를 가지고 녹음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대상자를 면접하였다.

자료분석은 Yin(1994)의 유형조합(pattern matching)을 사용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학교생활 네 범주의 주요 의미를 파악한 후,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소아암 초기 생존 아동의 학교생활 경험에 관해 최종적으로 파악된 의미유형의 구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학교복귀와 관련된 교사와의 관계는 교사의 인성 차원의 준비된 교사, 조화로운 관계를 위한 노력 그리고, 아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이 문헌들과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2. 아동의 학교복귀와 관련된 친구와의 관계에서는 같이 노는 친구, 다르게 보임, 경험의 공유 그리고, 아동에 대한 친구의 지식이 문헌들과 공통적으로 도출되었고 환아 스스로가 친구를 사귀거나 유지하려는 노력, 친구로부터의 가치인정을 갈망 그리고, 친구 어머니의 영향이 새로운 추가 의미유형으로 확인되었다.

3. 아동의 학교복귀와 관련된 학습활동에서는 방사선 치료로 인한 지능저하, 수학과목 부진/특별교육 요구, 피로와 쇠약, 집중력 감소와 산만한 행동 그리고, 공격적 성격이 문헌들과 공통적으로 도출되었으며, 글쓰기의 재능과 학습에 대한 부담감 인식 저하가 새로운 의미유형으로 추가되었다.

4. 아동의 학교복귀와 관련된 학급생활에서는 문헌들과 공통적으로 잦은 결석과 부분적 참여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소아암 초기 생존 아동의 학교생활 경험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사 및 친구와의 관계였다. 따라서 교사와 친구와의 원만한 상호작용이 아동의 긍정적인 학교생활 경험을 이끌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소아암 초기 생존 아동을 위한 학교복귀 프로그램 개발이 요청된다.



핵심되는 말 : 소아암, 초기 생존 아동, 학교생활 경험, 사례연구



[영문]Successful school reentr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psycho-social reintegration of childhood cancer early survival children. However, there are very few studies on the school reentry experience of childhood cancer early survival children.

The main purpose of this descriptive multiple case study was to describe experiences of childhood cancer early survival children when they return to school after the successful treatment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positive and negative school experiences of these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 six school age children who are in complete remission of childhood cancer registered in one university affiliated medical center, 2) their mothers, 3) their close-friends in the class and 4) their homeroom teachers.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tape-recording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from October 1 to November 30, 2000. Transcribed data was analyzed following the pattern-matching logic method for a case study developed by Yin (1994).

First, the patterns of theoretical themes were identified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In this study, school reentry experience was divided into four criteria; relationship with the homeroom teacher, relationship with the friends, the academic works, and overall activities and interactions in the class. Second, the meaningful patterns of theme in this study were matched and compared with the ones from the previous studies revie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homeroom teacher, teacher's character and personality, teacher's efforts to create a harmonious relationship among children and teacher's knowledge about the child's illness were identified as meaningful themes in this study which were reported in the previous research.

2.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friends, the playing with the friends, feeling different from friends, sharing school experiences, and friend's knowledge about the child's illness were identified as meaningful themes as report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new themes found in this study were children's own efforts and initiatives to make or keep up with friends, seeking the approval or recognition of self-worth from friends, and the influence of friend's mother in establishment of friendship.

3. In child's academic works, the decreased intelligence after the radiation therapy, poor achievement on mathematics, need of special education programs, fatigue and weakness, poor attention span and aggressive behaviors were identified as meaningful themes in this study which were also found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new themes found in this study were children's competency in composition and the lower emphasis on academic achievement.

4. In the overall activities in the class, frequent absence and partial participation in class activities were identified as meaningful themes which is similar to the previous research.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s with the homeroom teacher and friends wer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related to the school reentry experience of childhood cancer early survival children. Therefore, the school reentry program including the friends and teachers is impera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childhood cancer survival children.
Files in This Item:
T00648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33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