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1157

Cited 0 times in

외상성 비장손상환자에서 경도관 동맥색전술을 이용한 치료

Other Titles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TAE) in patients with blunt splenic injury. 
Authors
 곽규성 
Issue Date
2000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복부둔상에 의한 비장손상시 수술적 치료방법의 하나로서 비장절제술을 시행 함에 있어서 수술자체의 침습성과 동시에 비장절제후의 합병증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다. 최근 비수술적 치료요법의 하나로서 경도관 동맥색전술(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을 통한 비장손상환자의 치료가 보고되어 왔으며, 이에 저자들은 97년부터 98년까지 약 2년간 경도관 동맥색전술(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던 외상성 비장손상환자 23명을 대상으로 하여 비수술적 치료방법의 하나인 경도관 동맥색전술의 시행경험과 치료결과를 바탕으로 후향적연구방법을 통하여 그 효과와 장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간접적인 비교를 위해서 경도관 동맥색전술을 사용하지 않고 치료받은 비장손상환자 15명 을 선정하고 후향적으로 비교 연구하였다.

경도관 동맥색전술을 시행받은 대상환자 총 23명중 남자가 14명 여자가 9명이었으며, 그중 성인환자가 13명 소아환자가 10명 이었다. 경도관 동맥색전술은 저혈압, 빈맥, 헤모글로빈 및 헤마토크리트의 감소등 혈역학적인 불안정을 보이며, 수액요법 및 수혈을 필요로하는 환자중 본원의 외상성 비장손상환자 치료알고리듬에 따라 치료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경도관 동맥색전술을 시행한 후에도 전산화단층촬영 혹은 복부초음파 및 방사성동위원소 주사법을 이용하여 비장에 재출혈이 발생하는지 살펴보고 비장기능에 대하여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는지 추적관찰하였다. 비장손상의 분류는 Mirvis 등의 분류법에 따라서 전산화단층촬영 (Computerized Tomography)시행후 분류하였으며, 색전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은 CT Grade Ⅲ가 9예, Grade IV가 14예였으며, 혈관조영술후 조영제유출부를 확인하고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사용된 색전물질별로는 코일이 16예, 젤폼이 4예였다. 그리고 나머지 3예에서는 코일과 젤폼을 함께 사용하였다. 색전술을 시행한 혈관 위치별로 살펴보면 근위부의 주체간부에서 시행한 경우가 16예, 초선택술을 이용한 비장동맥분지의 선택적 색전이 4예였으며, 주체간부와 분지에서 동시에 색전술을 시행한 경우가 3예였다. 총 23예중 18예에서 색전술시행후 수술적치료없이 회복되었으며, 성인 3예는 동반손상(척추손상, 뇌손상, 간경변증, 골반골절) 및 치료중 합병증(급성신부전증, 파종성혈관내응고증)등으로 사망하였다. 색전술을 시행받은 성인환자중 2예에서는 지연후 개복술을 시행하였는데, 동반된 췌장손상 및 장간막 혈관손상으로 인한 증상악화가 지연후 개복술을 시행하게 된 주원인이었고, 수술소견상 비장에서의 재출혈 증거는 관찰되지 않았다. 비장혈관 색전술후 수술적치료 없이 회복되었던 환자들중 추적검사가 이루어진 모든 예에서 혈복강의 감소 및 비장내 방사성동위원소 섭취율의 증가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고, 재출혈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혈역학적 불안정을 보이고 CT Grade가 높은 비장손상 환자일 경우 경도관 혈관조영술과 동맥색전술은 조영술로서의 진단적가치뿐만 아니라 조기지혈과 혈역학적 안정을 가져을 수 있는 비침습적 치료방법이며, 이러한 경도관 동맥색전술은 수술적 비장절제술과 비교해볼때 비장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수술및 비장절제술후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는 잇점도 함께 지니고 있다.



[영문]To evaluate the efficacy and benefit of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TAE) in patients with blunt splenic injury after blunt abdominal trauma. We analyzed the results of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in 23 patients who suffered from splenic Injury after blunt abdominal trauma, retrospectively. Of the 23 patients, 14 patients were male, and 9 were female; 13 patients were adults, and 10 were children.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was performed in patients with 1)hypotension, 2)tachycardia, 3)evidence of hemodynamic instability such as decreasing Hgb and Hct, 3)the needs for fluid therapy or blood transfusion. After embolization the patients' progress was mentioned by CT scan, abdominal sonography, or 99m Tc-sulfur colloid scintigraphy. The degree of splenic injury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Mirvis et at.; 9 cases were CT grade Ⅲ, and 14 were grade Ⅳ After demonstrating the site of contrast leakage by angiography, embolization was performed; coil only was used for embolization in 16 cases, gelfoam only in 4 cases, and both coil and gelfoam were used in 3 cases used for embolization. There were three vascular embolization sites: 16 embolizations were performed in the main trunk(proximal part) of the splenic artery, 4 embolizations were peformed in a superselected branch of the splenic artery, and in 3 cases, we performed embolization of both the splenic artery and one of its superselected branches. Of the 23 cases, 18 recovered without splenectomy after embolization, 3 adult patients died from co-existing injuries( spinal injuries, cerebral injuries, liver cirrhosis or pelvic bone fracture) or complications(acute renal failure,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Two of the adult patients who received TAE underwent delayed operation due to co-existing pancreatic injury and mesenteric vessel injury and there was no evidence intraoperatively of re-bleeding In the spleen. In all of the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surgical treatment, follow-up observation revealed a decreased volume of hemoperitoneum, increased uptake of radionuclide in the spleen and an absence of evidence of re-bleeding For a comparison, another 15 patients who suffered from splenic injury but they didn't be treated without TAE, were grouped and the volume of transfusion and duration of hospital days were compared. In conclusion, transcatheter angiography and arterial embolization in patients with splenic injuries who showed hemodynamic instability and hlgh CT grade is a non-surgical approach that can acHieve early hemostasis and hemodynamic stability. And we can also apprectiate a decrease in transfusion volume. Another benefit of thls procedure is the preservation of splenic function without complication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752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30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