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8 793

Cited 0 times in

수모세포종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인자

Other Titles
 Prognostic factors of medulloblastoma. 
Authors
 김성은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의과학사업단/석사
Abstract
[한글]수모세포종은 주로 소아의 소뇌에 호발하는 악성 종양으로 배아 전구 세포에서 기원했다고 추측된다. 이 종양은 매우 다양한 분화 양상을 보이는데, 종양의 분화 상태와 예후와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아직 상관 관계가 불명확하여 논쟁이 되고 있다.

종양의 분화 양상 이외에도 수모세포종의 예후 예측 인자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진단 당시 나이, 종양의 범위와 위치, 외과적 절제술의 범위, 화학 요법의 사용 여부 등 고전적으로 알려진 예후 예측 인자 외에도, 최근 종양의 증식능과 세포 고사의 정도를 나타내는 사멸능의 의의에 대한 실험도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수모세포종에서 증식능과 세포 고사의 정도를 나타내는 사멸능이 예후에 어떤 영향을 주며, 각각 서로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수모세포종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무엇이고, 증식능과 사멸능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술 후 수모세포종으로 진단받은 74예의 조직 절편을 사용하였으며, 추적 관찰이 가능한 58예를 대상으로 예후와 종양의 분화와의 관계를 검토하였고, 74예에서 증식능과 사멸능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수모세포종은 한 종양 내에서 신경 세포성 분화(10.8%), 교세포성 분화(6.8%), 중배엽성 분화(14.9%)와 상피 세포성 분화 등 여러 방향의 분화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화는 예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2. 신경세포성 분화 영역과 중배엽성 분화 영역에서의 증식능이 증가하면 종양의 전반적인 증식능 또한 증가하였다. 또한 신경세포성 분화 영역과 중배엽성 분화 영역, 교세포성 분화 영역에서 caspase 3 양성율의 증가는 종양의 전반적인 caspase 3 양성율의 증가를 동반하였다.



3. 종양의 증식능과 사멸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수모세포종에서 증식능의 증가는 나쁜 예후 인자로 작용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수모세포종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조직학적인 인자는 종양의 증식능이며, 신경세포성 분화, 교세포성 분화, 중배엽성 분화, 상피세포성 분화와 정도는 예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종양 내에서 증식능의 증가는 caspase 3 양성율의 증가를 동반하였다.



[영문]Medulloblastoma is a highly malignant neuroepithelial tumor of the childhood, less frequently, of adults, located in the posterior cranial fossa.

It shows multiple lines of differentiation, expressing neuronal, glial, mesenchymal and ectodermal markers.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cell differentiation has been studied, but received little agreement.

In highly malignant tumors, very high proliferative index has been demonstrated. A major contributor to cell loss in medulloblastoma is reported to be apoptosis.

In medulloblstoma, a linear relation between apoptotic index and prolifeerative index has not been convincingly demonstrated. We analyzed the immunohistochemical features, proliferative indices and apoptotic indices in medulloblastoma patients with regard to their clinical courses.

Clinical features of 58 patients with medulloblastoma were reviewed. The presence of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synaptophysin, vimentin, and epithelial membrane antigen were examined with immunohistochemical method. The proliferative index (Ki-67) and caspase 3 expressing rate were calculate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rognosis and the degree of cell differentiation.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proliferative index and apoptotic index in a tumor mass. Only porliferative index could be used as a prognostic factor.
Files in This Item:
T00643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27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