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4 800

Cited 0 times in

군 간부의 금연행위변화단계별 관련요인분석

Other Titles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ages of change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in military officers. 
Authors
 김봉정 
Issue Date
2001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군 간부들을 대상으로 범 이론적 모델에 근거하여 금연행위변화단계를 파악하고, 금연행위 변화단계에 따른 관련요인들을 분석하여 군 간부들을 대상으로 하는 금연중재 및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 3개 사단의 하사에서 대령까지로 처음부터 흡연을 하지 않은 비흡연자를 제외한 486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0년 10월 9일부터 11월 6일까지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version 10.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들의 연령범위는 20세에서 53세로 평균연령은 30.9세였 다. 현재 흡연자의 평균 일일흡연량은 17.7개비이고 과거1년간 금연시도 횟수는 2.9회, 평균 흡연기간은 9.4년이었다.

2. 대상자의 금연행위변화단계는 계획전 단계가 233명(47.9%), 계획단계가 140명(28.8%), 준비단계가 55명(11.3%), 행동단계가 14명(2.9%), 유지단 계가 44명(9.1%)이었으며, 전체대상자의 88.0%가 계획전 단계, 계획단 계, 준비단계에 치중되어 있었다.

3. 금연행위변화단계에 따른 일반적 특성 중 연령, 계급, 교육수준, 결혼상 태, 일일흡연량, 과거1년간 금연시도횟수가 변화단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계획전, 계획단계에 비해 연령이 많을수록(P=0.000), 계급이 높을수록(P=0.000), 교육수준이 높을수록(P=0.004), 기혼자일수록 (P=0.000) 행동 및 유지단계가 많았으며, 일일흡연량(F=19.507, P=0.000) 은 계획전 단계에서 가장 많았고 계획전 단계에 비해 계획단계가 적고 준비단계에서 가장 적었다. 과거1년간 금연시도횟수(F=43.632, P=0.000) 는 계획전 단계에서 준비단계로 갈수록 많았다.

4. 금연행위변화단계별 관련요인들 중 변화단계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는 자기효능감, 의사결정균형으로 흡연의 이익과 흡연의 손실, 스 트레스지각, 니코틴의존도였다.

자기효능감은 계획전 단계에서 행동 및 유지단계로 갈수록 증가하여 모 든 변화단계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142.252, P=0.000), 행동 및 유지단계에서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았다. 의사결정균형요인 중 흡연의 이익은 계획전 단계에서 가장 높고 계획전 단계에 비해 계획단계와 준 비단계에서 낮고 행동 및 유지단계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F=79.795, P=0.000) 흡연의 손실은 계획전 단계에 비해 계획, 준비, 행 동 및 유지단계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30.206, P=0.000). 의사 결정균형으로 흡연의 이익과 흡연의 손실에 대한 차이는(F=108.804, P=0.000) 계획전 단계에서는 흡연의 이익이 흡연의 손실보다 높았으며 계획단계에서부터는 흡연의 이익보다 손실이 높아졌으며 그 차이가 계 획, 준비단계에 비해 행동 및 유지단계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스 트레스지각정도는 계획전 단계에서 행동 및 유지 단계로 갈수록 감소하 는 양상을 보였고 계획전, 계획, 준비단계에 비해 행동 및 유지단계에서 스트레스지각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F=3.562, P=0.014). 니코틴의 존도는 계획전 단계가 계획단계와 준비단계에 비해 니코틴의존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25.335,P=0.000).

5. 금연행위변화단계로 계획전 단계, 계획단계, 준비단계, 행동 및 유지단계 의 네 단계를 구분짓는데 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다음 으로 흡연의 이익, 흡연의 손실, 연령이었다. 이들 네 요인들의 조합 으로 계획전 단계를 올바르게 판별할 수 있는 확률은 83.3%였고, 계획 단계의 경우는 55.7%, 준비단계는 22.5%, 행동 및 유지단계는 77.6%였 다. 각 변화단계간의 차이에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계획전 단계와 계획 단계간의 차이는 과거1년간 금연시도횟수(2.208배), 니코틴의존도(0.386 배), 흡연의 이익(0.349배)과 흡연의 손실(3.288배)이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계획단계와 준비단계간의 차이는 과거1년간 금연시도 횟수(4.467배), 자기효능감(1.927배), 흡연의 손실(0.577배)이 크게 영향 을 미쳤다. 그리고 준비단계와 행동 및 유지단계간의 차이는 자기 효능감(5.658배)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군 간부의 금연행위는 계획전 단계, 계획단계, 준비단계, 행동단계, 유지단계의 다섯 단계로 구분되었고, 금연행위변화단계별 관련요인으로는 자기효능감, 의사결정균형으로 흡연의 이익과 흡연의 손실, 스트레스지각, 니코틴의존도 등이었으며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는 자기효능감과 의사결정균형으로 흡연의 이익과 흡연의 손실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금연중재시 대상자의 금연행위변화단계를 고려한 중재적용과 금연행위변화단계간의 이행을 돕기 위해 자기효능감과 의사결정균형요인을 중점적으로 고려한 금연중재 및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군 간부들이 금연을 실행하고 유지하게 하여 금연성공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영문]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ivide the stages of change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and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ages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strategies in military officer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a convenience sample of 486 military officers except for the never smokers, who were serving at three division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9 to November 6, 2000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SPSS Window Program version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30.9 years.

2. The subjects were distributed in each stage of change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there were 233 subjects(47.9%)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140 subjects(28.8%) in the contemplation stage, 55 subjects (11.3%) in the preparation stage and 14 subjects (2.9%) in the action stage, 44 subjects(9.1%) in the maintenance stage.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distribution, rank,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the number of cigarettes per day, the number of quits in the past year corresponding to the stages of change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4.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self-efficacy(F=142.252, P=0.000), advantages(pros) of smoking(F=79.795, P=0.000) and disadvantages (cons)of smoking(F=30.206, P=0.000) in decisional balance constructs, perceived stress(F=3.562, P=0.014), nicotine dependence(F=3.562, P=0.014)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tages of change.

5. Through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advantages of smoking and disadvantages of smoking in decisional balance were the most influencing power among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ages of change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in developing the effective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for military officers, first it had to be assessed the stage of a client's change prior to apply intervention programs, second first of all it should be considered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enhance the perception of the disadvantages of smoking in decisional balance to help shifting from precontemplation to the contemplation stage and to reinforce self-efficacy to help progressing from contemplation or preparation stage to the action, maintenance stage.
Files in This Item:
T00643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27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