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576

Cited 0 times in

Acanthamoeba culbertsoni의 감염에 있어 세포 매개성 면역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ell-mediated immunity in mice infected with acanthamoeba culbertsoni. 
Authors
 김명준 
Department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교실) 
Issue Date
1989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병원성이 강한 Acanthamoeba culbertsoni에 감염된 마우스를 감염정도에 따라 경 (經)감염, 중(中)등 감염, 중(重)감염 실험군으로 나누었을때 감염기간에 따라 발현되는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의 차이를 지연형 과민반응, T와 B임파구의 아세포화 정도 및 자연살 세포의 세포 독성을 통하여 관찰하고 또한 혈청내 항체가를 측정 하였다.

C3H/HeJ 마우스에 Secobarbital을 복강내로 주사하여 마취시킨후 CGV배지에 무균적으로 계대 배양한 아메바 영양형 3×10^^3, 1x10^^4, Ix10^^5개를 5㎕ 생리식염수에 함유되도록 하여 마우스 오른쪽 비강에 떨어뜨려 감염시켰다. 감염후 14일까지 마우스 족저 팽창(Footpad swelling)에 의한 지연형 과민반응과 (^^3H)-thymidine uptake방법을 이용한 마우스 비장세포의 아세포화를 측정하였고 혈청내 항체가를 효소 표식 면역 검사법 (ELISA)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감염후 5일까지 비장세포의 자연살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감염 마우스의 사망율은 3×10^^3개의 아메바 영양형을 감염시킨 경(經) 감염군에서는 17%였으며 Ix10^^4개를 감염시킨 중(中)등 감염군에서는 34%, 1x10^^5개를 감염시킨 중(重)감염군에서는 65%였다. 세포 매개성 면역을 관찰하기 위한 지연형 과민반응의 변동을 보면 각 실험군 모두에서 감염후 7일째 발바닥의 두께가 유의하게 증가 하였으나 감염후 14일째에는 감소하였고 각 실험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각 실험군과 대조군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 culbersoni lysate 및 B임파구 mitogen인 LPS에 의한 비장세포의 아세포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T임파구 mitogen인 Con. A로 처리한 비장세포의 아세포화정도는 각 실험군 모두에서 감염 7일 이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B 임파구 mitogen인 Poly Ⅰ처리시는 실험군 모두에서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Con. A와 Poly Ⅰ에 의한 아세포화 정도에 있어서 각 실험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자연살 세포의 세포 독성은 실험군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염후 1일째 증가되었고 감염후 5일째에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각 실험군간에는 세포독성능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혈청내 항체가는 각 실험군 모두에서 감염 7일 이후부터 대조군에 비해 계속 증가하였으나 각 실험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A. culbertsoni를 감염정도를 달리하여 경(經)감염, 중(中)등 감염, 중(中)감염 시켰을때 지연형 과민반응은 각 실험군 모두에서 시간 경과별로 7일째 증가후 14일째에 감소하였으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T임파구의 아세포화 정도 및 자연살 세포 독성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나 각 실험군간에는 현저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B임파구의 아세포화 정도는 대조군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각 실험군간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감염정도에 따른 세 실험군간에 발현되는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에 있어서의 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비 감염 대조군과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어 A. culbertsoni감염시 세포 매개성 면역기전이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Observations were made regarding differences of cell-mediated responses in mice of three infection groups differently scheduled in their severity with pathogenic Acanthamoeba culbertsoni. Infections were done by dropping 5㎕ saline suspension containing 3x10^^3, 1x10^^4, 1x10^^5 trophozoites, respectivity. Amoebae were cultured axenically in CGV medium and inoculated into the right nasal cavity of C3H/HeJ mice aging around 6∼8 weeks, under the anesthesia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ecobarbital.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DTH) reponses in footpad and blastogenic responses of mouse spleen cells using (^^3H)-thymidine and the serum antibody titer were measured up to day 14 after infection, and natural killer cell activities were measured up to day 5 after infec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ice infected with 3x10^^3 trophozoites showed mortality rate of 17%, and 34% in the mice infected with 1x10^^4 trophozoites and 65% with 1x10^^5 trophozoites.

2) In regard to DTH responses in all experimental groups, the level increased on day 7 and declined on day 14 after infection, but their differences could not be noted between infected and control groups.

3) The blastogenic responses of splenocytes treated with amoeba lysates and lipopolysaccharides (LPS) showed no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The blastogenic responses of splenocytes treated with concanavalin A were declin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ut the

blastogenic responses of splenocytes treated with polyinosinic acid were not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among three infected groups.

4) The cytotoxic activity of the natural killer cells was activated on the day 1 after infection and declined to the level of control group on the day 2 after infection in all experimental groups. On the day 5 after infection, the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y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5) The serum antibody titers of the infected mice increased after day 7,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infected groups.

In the summary of the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of three experimental groups scheduled with different infection intensitie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between infected and control mice.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might be involved in murine model infected with A canlhamoeba culbertsoni.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20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Kim, Myung Joon(김명준)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4608-0275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08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