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894

Cited 0 times in

소화성 궤양천공에 대한 임상적 고찰

Other Titles
 Clinical studies on peptic ulcer perforation 
Authors
 김영 
Issue Date
197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위 및 십이지장궤양 천공은 급격한 복막자극 반응을 초래하는 외과적 질환이며 비 수술적 치료로서 기대를 얻기에는 너무 위중해서 조기의 외과적 처치만이 소기의 성과를 달성 할 수 있다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저자는 한국인의 소화성 궤양 천공을 임상적 견지에서 분석 검토하고 과거의 문헌 보고와 비교 관찰함으로써 이들의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고 치료의 지침을 만들고저 시도하였다. 본 논문은 최근 5년 간 (1972∼1976) 연세의료원 외과에서 경험한 소화성 궤양 천공환자 216예를 임상적으로 고찰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환별 발생빈도는 위궤양 천공이 74예(34.4%)이었고 십이지장궤양 천공이 142예(65.7%)이었다.

2. 성별 빈도는 남자 194예(89.8%) 여자 22예(10.2%)로 남녀 비는 8.8:1이었다.

3. 년령별로는 30대가 가장 많았고 부위별로는 위 천공은 40대, 십이지장 천공은 30대에 가장 많았다.

4. 월별 발생빈도는 3월이 28예, 12월이 4예였고 계절별로는 봄이, 32.4%로 가장 많았고 겨울이 17.5%로 가장 적었다.

5. 병력기간은 5년 이상이 34.4%, 1년 이하가 19.3%이었고 확실치 않은 것도 19.3%였다.

6. 천공 후 내원 기간은 96예(44%)에서 12시간 내에 내원하였고, 내원 후 130예(60.1%)에서 4시간내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11예에서는 24시간 이상 수술이 지연되었다.

7. 궤양 천공 부위별로는 위체부가 5.1%, 위전정부 11.1%, 유문부 16.2%, 십이지장 67.6%의 순이었다. 전후벽을 보면 전벽이 94.5%, 후벽이 5.5%였다.

8. 단순흉부 및 복부촬영에서 횡경막하 유리기체상이 160예(74%)에서 보였다.

9. 복강액 세균검사에서는 58%에서 음성, 42%에서 양성이었고 세균별로는 E.Coli, streptococcus가 가장 많았다. 천공 후 6시간 이내에서는 21예 중 4예, 3일 이상에서는 8예 중 7예에서 양성이었다.

10. 수술술식은 단순봉합술이 123예(56.9%)로 가장 많았고 미주신경절단술 및 유문성형술이 36예(16.7%)로 다음으로 많았다.

11. 수술 후 합병증은 41예(19.0%)에서 발생하였으며 종류별로는 창상감염, 장폐쇄 및 횡격막하농양의 순이었고, 특히 천공 후 수술시 까지의 경과된 시간이 5일 이상 된 환자는 15예 중 9예(60%)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12. 총 216예 중 8예가 사망하여 사망률은 3.7%이었다.

즉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건데, 본 질환은 빠른 시간내 진단을 하여 빠른 시간 내 수술을 행함으로써 합병증 및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겠다.

[영문]

Perforated peptic ulcer with peritonitis is one of the most common surgical disease in Korea. Previously many authors reported about this condition, however, there were no unique patter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evaluate this diseas in Korea and to find out the possible changes in the patterns and management of this condition.

216 patients with peptic ulcer perforation were admitted to the Dept. of surgery at Yonsei Medical Center and operation on during the period between Jan. 1972 and Dec. 1976. The clinical datas of these 216 patien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atio of incidence between perforation of stomach and duodenum was 1:1.8 with stomach in 74 cases and duodenum in 142 cases.

2. Male was predominant to female as a ratio 8.8:1 of which 194 males and 22 females.

3. The ages of the patients was distributed in wide range between 10 and 69 years of age, however, the peak incidence was in the 4th decade.

4. Seasonal difference was noticed with most prominent in spring and least in winter.

5. 74 cases (34.3%) had a history of ulcer symptoms over 5 years and 42 cases (19.3%) had less than 1 year but there were also another 42 cases with no history of ulcer symptoms.

6. The common previous subjective symptoms were indigestion of 176 cases (81%) and postprandial epigastric pain of 155 cases (72%).

7. 96 cases (44%) were hospitalized within 12 hours.

8. The location of perforation was at the body of stomach in 5.1%, antrum in 11.1%, pylorus in 16.2% and at the first portion of duodenum in 67.6%.

The anterior wall perforation occupied 94.5%.

9. In 160 cases (74%), the pneumoperitoneum was demonstrated by plain X-ray.

10. Overall, 42% was positive in the peritoneal fluid culture and E. coli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The positivity was definitcly increased with time.

11. The operative procedures were variable and simple closure was done in 123 cases (56.9%), vagotomy and pyloroplasty in 36 cases (16.7%), vagotomy and hemigastrectomy in 32 cases (14.8%) and subtotal gastrectomy in 25 cases (11.6%).

12.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developed in 41 cases (19%) of which wound infection was the commonest.

13. The postoperative mortality rate was 3.7%.

In this study, patient's morbidity and mortality depended on early diagnosis of this condition followed by early surgical intervention with proper procedur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484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87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