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361

Cited 0 times in

병합요법에 의한 Wilms 종양의 완치율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clinical study of Wilms' tumor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ure rate by multimodality treatment 
Authors
 정관섭 
Issue Date
1980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소아에서 가장 흔한 복부종양인 Wilms종양은 다른 어떤 악성종야보다 장기 생존율이 높은 질환이다. 저자는 34예의 Wilms 종양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와 특히 병합요법에 의한 치료후 완치율을 산정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였다.

선진국과 비교해서 호발연령, 남녀 발생비율, 임상 증상에서는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선천성 기형과 동반되는 율이 2.9퍼센트로서 외국의 15퍼센트정도에 비해 비교적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진단상 유의할 점은 정맥성 신우 조영술상 비기능 신장으로 나오는 율이 35.3퍼센트나 되었기 때문에 반드시 조영제를 2배로 투여하고 촬영할 필요가 있다.

양측성 Wilms 종양은 1예도 없어서 외국에 비해 대단히 희귀함을 알 수 있다.

조기진단이 안되어 진단상에 제Ⅳ기인 환자가 26.5퍼센트나 되어 예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완치율은 치료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나서 발전된 병합요법을 실시한 즉 적극적 화학요법을 병행한 1975년 이후의 치료군에서는 2년 생존율이 53.5퍼센트로서 1975년 이전 치료군이 24.2퍼센트보다 현저한 상승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부모의 협조로 지속적인 화학요법이 가능했던 1975년 이후의 14예에서는 2년 생존율이 64.9 퍼센트로서 2년 생존한 환자는 그후의 개발이 거의 없기 때문에 완치율은 64.9 퍼센트로 기대된다.

현재 시용하는 치료방식은 진단 즉시 수술로 종야을 제거하고 속한 시일내에 제Ⅱ, Ⅲ, Ⅳ기의 경우 화학요법으로 Actinomycin D 15㎍/Kg 5일간, Vincristrinel, 1.5㎎/m**2 정맥 투여하면서 종양이 있던 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직선 가속장치로 2,500내지 3,200 Rads까지의 조사하였다. 그 이후는 Actinomycin D를 매 8주일마다 2년동안 반복하였고 Vincristine은 1주일에 1회씩 12주일간 투여하였다.

제Ⅰ기인 경우는 방사선 치료없이, Actinomycin D만 동량 같은 방법으로 2년간 투여하였으며 방사선 치료와 모든 약물요법은 암센터 외래에서 시행하였고 부작용에 의한 입원등은 볼 수 없었다.













A Clinical Study of Wilms' Tumor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ure Rate by

Multimodality Treatment



Kwan Sub Chung, M.D.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Duk Jin Yun, M.D.)



Wilms' tumor is the most common intra-abdominal malignant tumor of childhood.

There has been a progressive imporvement in the overall survival rate of children

with Wilms' tumor since the introduction of radiotherapy following nephrectomy.

Survival has continued to improve with the addition of chemotherapy, initially

actinomycin D, and later vincristine.

This paper reviewed 34 patients with Wilms' tumor seen between 1965 and 1979 with

special references to the significant factors in diagnosis as well as the influence

of age, stage of disease and treatment on the prognosis.

The usefulness of three modalities of treatment was discussed.

A cure rate of 64.9% in the intensive multimodality treatment group was

calculated by the Life Table Method.

[영문]

Wilms' tumor is the most common intra-abdominal malignant tumor of childhood. There has been a progressive imporvement in the overall survival rate of children with Wilms' tumor since the introduction of radiotherapy following nephrectomy. Survival has continued to improve with the addition of chemotherapy, initially

actinomycin D, and later vincristine.

This paper reviewed 34 patients with Wilms' tumor seen between 1965 and 1979 with special references to the significant factors in diagnosis as well as the influence of age, stage of disease and treatment on the prognosis.

The usefulness of three modalities of treatment was discussed.

A cure rate of 64.9% in the intensive multimodality treatment group was calculated by the Life Table Metho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454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83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