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518

Cited 0 times in

알레르기성비염의 임상적 고찰

Other Titles
 (A) clinical study of the allergic rhinitis 
Authors
 심상열 
Issue Date
1979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임상에서의 질벼진단에 앞서서 병력에 대한 자세한 문진이 중요하다함은 주지의 사실이나 특허 알레르기성 질환에 있어서의 문진은 그 진단과 치료면에서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실제로 발작성 재채기와 수양성비루 및 비폐등의 임상증사을 주소로 하는 환자가 있

을 때는 먼저 알레르기성 질환이 아닌가를 주소로 하는 환자가 있을 때는 먼저 알레르기성 질환이 아닌가를 감별해야 되며 이를 위해서는 연령, 성별, 직업등의 병력에 대한 문진과 함께 비경검사소견, X선검사소견, 비즙내호산구검사소견등을 참고로 해서 확진하게되는데 이 가운데서도 특히 현병력과 알레르기에 대한 과거력 및 가족력등이 진단에 큰도움이 된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로서는 대체로 대중용법 및 감감작을 이용한 원인치료법이 있으며 요즘에는 특히 확실한 진단하에 감감작 요법의 시행이 권장되고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저자는 176명의 알레르기성 비염이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알레르기 병력과 피부반응검사 성적과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동시에 이들 피부반응 양성환자의 감감작요법에 대한 효과를 분석,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체적으로 본 피부반응검사의 양성율은 99예(56.3%) 였으며 이들 양성환자 개개인데 대한 allergen의 수는 5가지 이상이 53예 (30.1%)로서 가장 많았다.

2. 피부반응 양성환자 99예 중에서 감감작을 시행한 예는 56예 (56.6%)였으며 이들 개개인에 있어서 관여된 allergen의 수는 5가지 이상이 28예 (50.0%)로서 가장 많았다.

3. 피부반응검사에서 양성을 보인 allergen의 총수는 24종 537개였으며 이들 중에서 house dust에 의한 양성율이 57예 (57.6%)로서 가장 높았다.

4. 총체적으로 본 증상의 계절별 발현빈도는 겨울철이 50.7%로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가을, 봄 및 여름의 순이였으며 피부반응 양성예만을 가지고 볼 때에는 겨울, 가을, 여름 및 봄의 순이었다.

5. 증상의 발현양상은 발작성 (42.0%)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또한 증상발작의 시기별증상발현의 빈도는 거의 매일 (48.3%)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6. 병력상을 본 자각증상으로서는 총체적인 면에서 감기에 잘 걸린다(67.0%)와 아침에재채기가 난다고 호소하는 예(66.5%)가 가장 많았으며 nasal allergy 이외의 알레르기성인 기관지염(18.2%), 천식(17.6%) 만성피부발진이나 습진(15.9%), 두드러기 (13.1%) 및

몸이 가렵다는 예 (22.7%)도 전체적으로 약 87.5%나 있었다.

7. 알레르기와 관련된 가족력으로서는 nasal allergy (23.8%)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접촉성피부염(21.7%), 두드러기(13.1%) 천식(8.1%)등의 순이었다.

8. 알레르기 병력 설문서에 따라서, 피부반응성적을 불문하고, 총체적인 면에서 증상발현의 유인이라고 추정된 항원으로서는 house dust(43.2%)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sir pollution (26.7%), pollens(14.2%)등의 순이었다.

9. 감감작요법을 시행한 56예중 28예(50.0)에서 좋은 효과를 보았으며 특히 나이어린 20세미만 예에서는 60.9%에서 좋은 효과를 얻었다.

[영문]

Recently many studies and developments of allergology especially in nasal allergy, detail history taking is just as important as other examination and tests.

Recognizing of diagnostic procedure for nasal allergy, detail history taking is just as important as other exanmination and tests.

This paper presents a clinical study of 176 cases of nasal allegy, taken from the questionaire, they were diagnosed as nasal allergy at allergy clinic of Yonsei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three-year period 1975-1978.

A clinical study of the nasal allergy has been made in Korean cases. Diagnostic positive rate of skin test, incidence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allergen, character of symptom, and efficacy of hyposensitization will be considered,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 hope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for further study in this field.

1. Positive rate of skin test is 56.3 per cent, and the most frequent number of allergens are 5 and more in 30.1 per cent

2. In cases of nasal allergy, it is found that the commonest allergen os house dust. Next in order of frequency were pollute air and pollen among 537 as 24 kinds of causitive allergens.

3. Seasonal highest incidence of allergic rhinitis is in winter, and the lowest is simmer in generally.

4. Paroxysmal attack is commonest character of symptom, and cold and sneezing are also commonest complaints.

5. There are about 20 per cent cases of allergic rhinitis also have a history of the other allergic diseases. Family history is also closely correlated.

6. The efficacy of hyposensitization by SDV of Bencard is 50.0 per cent, and is higher(60.9 per cent) in younger group under 20 years of ag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458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80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