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604

Cited 0 times in

잔여난시에 관한 임상적 연구

Other Titles
 (A) Clinical study on residual astigmatism 
Authors
 김상진 
Issue Date
198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난시란 눈의 굴절력이 각 경선에 따라 갈지 않아 입사광선이 한점에 결상하지 못하는 상태를 뜻한다.

난시는 각막전·후면, 수정체전·후면에서의 굴절력 및 수정체의 굴절지수가 달라서, 그리고 눈의 각 굴절면의 광학적 중심이 한 광축위에 위치하여 있지 않아서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난시는 각막전면의 굴절력이 각 경선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데 이

를 각막난시라고 한다. 각막전면이외의 눈의 나머지 굴절면에서 생기는 난시를 간여난시라고 하며 각막난시를 중화시키는 역할이 있다. 그러므로 각막만곡계로 측정한 각막난시도는 그 도수나 축에 있어서 전체난시도와 일치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람에서 전체난시, 각막난시 및 잔여난시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난시성 굴절이상이 있는 각종의 굴절이상 환자로 굴절이상 이외에는 시력장애를 일으킬만한 안질환이나 눈의 변화가 얼는 115명 206안을 대상으로, 전체난시도는 운무와 난시환 및 Jackson의 교차원주렌즈를 이용한 자각적 굴절검사 방법으로 정확히 측정하였고, 각막난시도는 Bausch & Lomb 회사제의 각막만곡계로 또한 정확히 측정하였으며, 잔여란시도는 전체난시도에서 각막난시도를 뺀 값으로 정한 다음, 이들이 어떤 상호관계가 있으며 전제난시의 형성에 각막난시와 잔여난시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여 본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남녀별과 좌우안별에 따른 각 난시의 굴절이상 정도와의 관계는 통계학적인 의의가 없었다.

2. 연령군에 따른 각 난시도의 분포는 전체난시도와 각막난시도에서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잔여난시도에서는 연령군간에 퉁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 즉 나이가 들수록 전체난시의 직난시도는 감소의 경향을 보이다가 30대에서부터는 도난시의 경향을 보였고,

각막난시도는 감소의 경향을 보였으나, 잔여난시도는 나이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3. 구면렌즈 도수와 각 난시도간에는 서로 통계학적인 의의가 있었다. 즉 구면렌즈 도수가 증가할수록 전체난시도, 각막난시도 및 잔여난시도도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전체난시도, 각막난시도 및 잔여난시도의 각각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0.517±1.369D, +1.217±1.193D, -0.723±0.741D 이었다.

5. 전체난시의 직난시 형성에는 각막난시가 관계하였으나, 전체난시의 도난시 형성에는 잔여난시가 관계하였다.

6. 전체난시의 직난시도가 3.237D이하 일때는 잔여난시는 이를 중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직난시도가 증가하면 할수록 잔여난시는 이를 중화시키지 않고 오히려 난시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 또 전체난시가 도난시를 보이는 경우는 잔여난시 역시 도난시의 경향을 보여 전제난시의 도난시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

7. 각막난시는 직난시의 경향을 띠고 잔여난시는 도난시의 경향을 보여 각막난시를 중화시키는 작용이 있었다. 심한 각막난시의 경우에도 잔여난시는 비교적 범위가 좁고 일정한 난시도를 나타내었다.

[영문]

Astigmatism is a type of refraetive anomaly in which no point focus is formed owing to the unequal refraction of the incident light by the diopteric system of the eye in different meridians.

Astigmatism nay be caused by irregularities in curvature of the cornea and lens. or by decentering of the optical surfaces of the lens, or by decentering of the optical surfaces of the eye, or by inqualities i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ens. However, curvature astigmatism of the anterior surface of the cornea astigmatism of the anterior surface of the cornea is responsible for the majority of cases of astigmatism, called corneal astigmatism. The astigmatism that is caused by other surfaces is called residual astigmatism. It tends to neutralize corneal

astigmatism. Therefore, the corneal astigmatism measured with keratometer does not coincide with total astigmatism either in diopteric value or axis.

The residual astigmatism was studied in 206 healthy Korean eyes with astigmatism. In this study, total astigmatism was measured by using fogging-and-dial technique, and corneal astigmatism was measured with Bausch & Lomb keratometer. Residual astigmatism was determined by a discrepancy between total and corneal astigmatis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diopteric value of astigmatism according to sex and laterality.

2. As they aged,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otal and corneal astigmatism, but not in residual astigmatism. As they become older, the amount of with-the-rule total and corneal astigmatism had a tendency to decrease,

but residual astigmatism had no changes. From aged 30, tonal astigmatism showed a tendency t become against the rule.

3. The amount of spherical err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at of each astigmatism. The more amount of spherical error, the more amount of total, corneal and residual astigmatism increased.

4. The average diopteric value and its standard deviation was +0.517 ± 1.369 D in total astigmatism, +1.217 ± 1.193 D in corneal astigmatism and -0.723 ± 0.741 D in residual astigmatism.

5. In total astigmatism, with-the-rule type was influenced by corneal astigmatism but against-the-rule type by residual astigmatism.

6. In total astigmatism, wish-the-rule type of less than 3.237 D tended to he neutralized by residual astigmatism but increased when it was more than 3.237 D, whereas residual astigmatism had a tendency to increase against-the-rule type.

7. 86.41% of corneal astigmatism was with-the-rule astigmatism and 83.Ol% of residual astigmatism against-the-rule. Therefore, residual astipatism tended to neutralize corneal astiuatism. Diopteric value of residual astigmatism was relatively constant and not concerned with 7hat of corneal astigmatism.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463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75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