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630

Cited 0 times in

척수장애자의 일상생활 동작수준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gree of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life satisfaction in individual with a spinal cord injury 
Authors
 박순미 
Issue Date
1993
Description
간호학교육/석사
Abstract
[한글]

오늘날 산업의 발달과 교통량의 급격한 증가 등으로 척수손상의 발생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의학의 발달은 이들의 건강상태를 향상시키고 수명을 상당히 연장시켰다.

본 연구자는 현실적 완치에 대한 기대가 블가능한 척수장애자들이 수명연장과 더불어 보다 만족한 삶을 영위하며 살 수 있도록 격려하고, 도움을 주기 위해서 일상생활 동작정도와 ���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변수를 파악하여 재활간호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2년 10월 1일부터 10월 23일까지 총 23일간이며, 연구 대상자는 Y대 부속병원 재활원에 입원한 경험이 있는 척수손상후 6개월이 지난 척수장애자 56명으로서, 현재 병원이나 재활원에 입원하지 않은 자이며, 자료수집 방법은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일상생활 동작 수준의 측정을 위하여 Barthel Index를 기반으로 강(1984)이 개발하여,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했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Wood, Wylie & Sheafor가 개발한 Life Satisfaction Index-Z(삶의 만족도 측정도구)를 최혜경이 번역, 수정하여 만성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했던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각 변수의 특성에 따라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일상생활 동작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여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 동작수준 차이와 삶의 만족도의 차이는 t-test, ANOVA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상생활 동작정도는 총점 42점중 최소값 14점, 최대값 42점, 평균 35.14점, 표준편차 7.77로 나타났으며 문항별 평균은 2.58점으로, 대부분 혼자서 할 수 있거나, 도움을 받아서 할 수 있었다.

2.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는 총점 36점중 최소값 12점, 최대값 36점, 평균 22.52점, 표준편차 5.91점으로 나타났으며, 문항별 평균은 1.87점으로 '그렇지 않다'와 '잘 모르겠다' 사이에 속하였다.

3. 대상자의 일상생활 동작수준과 삶의 만족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1617, p>.05).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일상생활 동작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현재의 직업(t=2.20, p=.03), 자가운전 능력(t=5.76, p=.00), 손상부위(F=4l.14, p=.00)로써, 현재의 직업이 있는 집단과 자가운전능력이 있는 집단, 손상부위가 흉수인 집단에서

일상생활 동작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현재의 직업(t=4.12, p=.00), 현재의 수입(F=4.79, p=.01), 자가운전 능력(t=2.98, p=.00), 건강상태(F=10.44, p=.00), 대인관계의 정도(F=5.10, p=.01)로써, 현재의 직업이 있는 집단,

현재의 수입이 있는 집단, 자가운전능력이 있는 집단, 자신이 건강하다고 느끼는 집단과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없는 집단에서의 삶의 만족도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5개의 변수를 이용하려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건강상태, 현재의 직업, 대인관계이며 이들중 척수장애자의 삶의 만족도에 가장 우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건강상태로 나타났다.

[영문]

The incidence of spinal cord injury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as a result of industrial development and increasing volume of traffic. Due to advances in health care science, the life expectancy of the spinal cord injured(SCI) individual has greatly increased. Change in life expectancy have led to more positive assumptions about life satisfaction in SCI individu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life satisfaction for SCI individual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that could be used in nursing to encourage SCI individuals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provide

helpful basic data for the practice of rehabilitation nursing.

To approach such a study, 56 persons with SCI who were discharged from Y university medical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were selected as a convenience sample.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1 to October 23, 1992, using a questionnaire.

The SCI individual's ADL were measured using the Barthel Index modified by Kang(1984). Possible score ranges were from 14 to 42.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Scale developed by Wood, Wylie Sheafor(1969) was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This is a 3 Point Likert type scale of 12 items

Analysis was done by the SPSS/PC**+ using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ANOVA, stepwise multiple regession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inimum score on the ADL scale was 14, the maximum score was 42, the mean score was 35.14, and standard deviation was 7.77.

2. The minimum score on the Life Satisfaction scale was 12, the maximum score was 36, the mean score was 22.52, and standard deviation was 5.91.

3.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DL score and Life Satisfaction score for the subjects.(r=.16, p>.05)

4.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degree of ADL were : presently employed(t=2.20, p=.03), independent driving(t=5.76, p=.00) and level of injury (F=41.14, p=.00).

5.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tion were presently employed(t=12, p=.00), present income(F=4.79, p=.01), independent driving(t=2.98, p=.00), health condition(F=10.44, p=.00) and relationship with others(F=5.10, p=.01).

In this study, no correlation was found to exist between Life Satisfaction scores and ADL scores and are increase in Life Satisfactional though charges in physical functioning in SCI individuals may not be possible, nurses can collaborate with

social service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to enhance the discharge planning process and facilitate identification of sources of income and financial assistance. And nurses can help SCI individuals to maintain good health condition and improve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54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45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