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1190

Cited 0 times in

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약사, 임상병리사의 직무만족도 조사

Other Titles
 (A) study of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pharmacists, medical technologist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Authors
 정인선 
Issue Date
1992
Description
간호학교육/석사
Abstract
[한글]

직무만족은 한 개인이 직무에 대하여 갖는 태도로서 다른 태도들과 마찬가지로 인지와

신념 혹은 지식, 정서등의 행위 경향들의 복합체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행위 경향

들의 기본이 되고 행위자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의 요인들을 조사하는 것은

곧 개인의 직무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약사, 임상병리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만족도를 파악하므로써 건전한 병원조직 풍토의 조성과 병원경영의 개선방안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Y의료원에 근무하고 있는 3급 여성 일반직 중 간호사 77명, 의사 19명, 임

상병리사 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1991년10월 17일부터 10월 24일까지

총 7일간 이었다.

연구도구로는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해 장(1984)이 제작한 직무만족 측정도구를 사용

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실수와 백분율로 구하였고 직종간

의 직무만족요인별 직무만족도의 비교는 일원분산분석으로 처리하였으며, 직종간 직무만

족도와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는 일원분산 분석 및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학력별 분포에서 간호사의 경우 전문대학이 46.8%, 대

학이 51.9% 였으며 약사와 임상병리사는 모두 대학이상 이었다. 연령별로는 간호사와 약

사는 25세이하가 42.9%와 30.8%로 가장 많았고, 임상병리사는 26-30세가 37.5%로 가장 많

은 분포를 보였다.

근무년수 별로는 간호사는 1-3년 근무자와 5-10년 근무자가 각각 24.7%로 가장 많았고,

약사와 임상병리사는 5-l0년 근무자가 각각 42.1%와 35.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 결혼별로는 간호사의 경우 기혼이 35.1%, 미혼이 64.9%였고, 약사는 기혼이 52.6%, 미

혼이 47.4%였으며, 임상병리사는 기혼과 미혼이 각각 50.0%로 나타났다.

2) 직무만족도의 평점은 간호사 3.13점, 임상병리사 2.96점, 약사 2.74점이였으며 세그

룹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F=13.64, p<0,001), 직무만족이 높은 정도

가 간호사,임상병리사,약사 순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를 직무만족의 요인인 위생요인과 동기요인별로 분석해 본결과, 위생요인에서는

간호사 3.02점, 임상병리사 2.88점, 약사 2.65점 (F=10, 13, P<0.001)이었고 동기요인에

서는 간호사 3.32점, 임상병리사 3,10점, 약사2.88점 (F=10.06, p<0.O0l)으로 나타나 이

두 요인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조사대상자의 직무만족요인별 직무만족 정도는 복리후생, 작업조건, 대인관개, 근무

시간, 급여, 직무자체, 성취감, 능력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5), 간호사

의 경우 대인관계가 3.94점으로 가장 높았고, 복리후생이 2, 22점으로 가장 낮았으며, 약

사는 직장의 안정성에서 3.63점으로 가장 높았고, 복리후생은 1.89점으로 가장 낮았다.

임상병리사는 대인관계가 3.86점으로 가장 높았고, 복리후생이 1.93점으로 가장 낮은 만

족도를 나타냈다.

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한 결과는 간호사의경우 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t=2.17,p<0.05), 전문대학 졸업자가 대학 졸업자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임상병리사에서는 근무년수에 따라 직무만족도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F=4.83, P<0.01), 1년 이하의 근무자에게서 가장 높은 직무만족도를 나타

냈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and analyze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pharmacists and medical technologist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It

was done to analyze and study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mong these three

groups of workers. The sample consisted of 77 nurses, 19 pharmacists and 40 medical

technologists in Y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aire and was done between October 17 and October 24, 1991. The tool used

for this research was the work satisfaction scale produced by Chang.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by use of means, percentages, ANOVA and t-test. The major

findings based on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were as follows:

Educational level showed that 46.8% of the nurses graduated from community

college nursing departments and 51.9% graduated from baccalaureate colleges of

nursing, all of the pharmacists and medical technologists were baccalaureate

college graduates.

For age, 42.9% of nurses and 36.8% of pharmacists were under 25years of age, and

37.5% of medical technologists were between 26∼30years of age,

For length of clinical career, nurses with 1 to 3 year careers or 5 to10 year

careers made up 49.4% of the sample (24.7% for each time period), 42.1% of

pharmacists and 35.1% of medical technologists had 5 to 10 year careers.

By marital status, married women made up 35.1% of the total nurse group, 52.6% of

pharmacist group and 50.0% of the medical technologist group.

2. The mean of overall job satisfaction was 3.13 for nurses, 2.96 for medical

technologists and 2.74 for pharmacists and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3.64, p<0.001) so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for the three group ranked by

order, showed nurses had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medical

technologists and then pharmacist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hygiene and motivation which are job satisfaction factors, with nurses scoring

3.02, medical technologists, 2.88 and pharmacists, 2.65 for the hygiene factor

(F=10.13, p<0.001) and nurses scoring 3.32, medical techologists, 3.10 and

pharmacists, 2.88 for the motivation factor (F=10.06, p<0.001).

3. The results of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factors for 10 factors for the

three groups in the sample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O.05) in the factors of welfare, working

conditions, personal relationships, working hours, pay ,work itself, achievement

and potentiality. Nurses had the highest score,3.94, in 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lowest score, 2.22, in welfare.

Pharmacists had the highest score, 3.63, in job stabilty and the lowest score,

1.89, in welfare and medical technologists had the highest score,3.86, in 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lowest score, 1.93, in welfare.

4, The results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e follow:

The nurs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2.17, P<0.05) in

educational background. Graduates from community college nursing departments had a

higher job satisfaction score than the baccalaureate college graduates.

The medical technologis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4.83,

p<0.05) according to clinical career. The workers with less than an 1-year career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job.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44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