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3125

Cited 0 times in

신규간호사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신규간호사의 스트레스 정도

Other Titles
 New graduate nurse's stress level and satisfaction of orientation program 
Authors
 윤명림 
Issue Date
1995
Description
간호학교육/석사
Abstract
[한글]

신규간호사교육은 간호조직내에 필요한 인력을 대상으로 새로운 환경에 빨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환경에 익숙해지도록 돕는 교육이다.

1993년 임상간호사회의 보고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신규간호사 교육은 병원마다의 특성에 따라 내용 및 기간이 다양하며 교육내용 및 기간에 대한 신규간호사의 반응은 조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신규간호사교육에 대해 신규간호사들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신규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봄으로써 그들의 요구에 부합되는 효율적이고 체계화된 신규간호사교육을 정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1994년 2월에 졸업하고 1994년 10월 현재, 병원에 채용되어 근무중인 간호사로서 서울시내 및 인천시내에 위치한 종합병원중 4주이상의 신규간호사 교육을 실시하는 2개 병원과 3주동안 신규간호사교육을 실시하는 2개 병원, 1주이하의 신규간호사

교육을 실시하는 4개병원에서 각 그룹마다 70명씩 임의 선정하여 모두 21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여 미회수와 미기재를 제외한 161부를 자료로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저자가 개발한 신규간호사교육 만족도 측정도구와 신규간호사 스트레스 정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여 SPSS PC+를 이용하여 전산통계처리하였다. 제 변수는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규간호사 교육 만족도와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신규간호사 교육내용 결과를 유도훈련과 직무교육으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유도훈련의 13개 항목중에서 신규간호사 모두가 받은 교육항목은 '병원소개'항목뿐이고 90%이상의 신규간호사가 받은 교육항목은 '신규간호사 교육안내 및 자기소개', '간호부(과)의 업무규정', '간호사의 복장 태도 및 근무예절', '간호부(과)의 철학, 조직', '간호단위의 일과', '관련부서 소개 및 이용방법'등이고, 구성비율이 가장 낮은 교육항목은 '간호전문직단체 소개'로 58.4%만이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교육의 27개 항목중에서는 신규간호사 모두가 받은 교육항목은 없었으며 가장 많은 수의 신규간호사가 받은 교육 항목은 '투약'으로 98.1%가 받았고 90%이상의 신규간호사가 받은 교육 항목은 '간호기록' 97.5%, '물품관리' 95%, '안전대책' 93.8%, '수분섭취 배설량 측정 및 기록' 92.5% 'CPR강의' 91.9%, '검사관련 업무' 91.3%등이다. 또한, '천자' 46%, '각종 보고서 작성법' 61.5%, '흡입' 76.4%, '열요법' 77%등 기본적인 간호기술에 대한 교육은 비교적 덜 실시되고 있음을 나타내 준다.

2. 신규간호사 교육만족도를 유도훈련과 직무교육으로 구분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유도훈련 전 항목에 대한 만족도는 3.20점이고,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은 '간호사의 복장, 태도, 근무예절'로 3.70점이었고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은 '의료보험환자 관리'항목으로

2.81점이었다.

직무교육 전 항목에 대한 만족도는 3.38점이고,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은 '정맥주사'로 3.80점이며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은 '각종 보고서 작성법'으로 2.90점이었다. 직무교육 전 항목의 평균 만족도인 3.38점보다 높은 점수의 만족도를 보인 것은 '정맥주사'를 포함하여 15개 항목이며 'CPR강의' 3.75점, '근육주사' 3.75점, 'CPR실습'3.69, '투약' 3.62점등으로 직접간호부문이 대부분이었고 평균 만족도보다 낮은 만족도를 보인 것은 12개 항목으로 '의료기계, 시설물 사용법' 2.97점, '간호과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 3.70점등으로 대부분이 간접간호 부문이다.

3. 신규간호사의 스트레스 정도를 문항별로 분석한 결과는 '응급상황시' 4.24점이며, '낯설은 기구조작때' 3.97점, '업무의 과중함과 책임감' 3.83점, '학교교육과 임상실제와의 괴리' 3.72점, '치료나 검사방법을 모름' 3.70점,'간호지식의 부족' 3.69점, '관료적

인 행정처리' 3.67점, '행정절차를 잘 모름' 3.64점, '무리한 근무 스케줄' 3.62점, '3부 교대로 인하여' 3.61점, '의사소통 통로의 문제' 3.29점, '병원의 환경으로' 3.26점등으로 간호행위와 환경, 근무요건과 관련된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관계에서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를 문항별로 분석한 결과는 '간호보조요원과의 관계' 2.44점이며, '동료간호사와의 관계' 2.47점, '타 부서와의 관계' 2.86점,'환자와의 관계' 3.11점, '보호자와의 관계' 3.24점, '선배간호사와의 관계' 3.24점, '의사와의 관계' 3.33점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인 학력, 간호학생시 경험한 임상실습 만족도, 신규간호사교육의 형태, 희망부서에의 배치여부, 신규간호사 교육기간, 근무기간에 따른 신규간호사 교육만족도와 신규간호사가 경험하는 스트레스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신규간호사 교육 만족도는 간호학생시 경험한 임상실습 만족도에 따라(t=.002 p<.05), 신규간호사 교육 기간에 따라(F=6.308 p<.05)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신규간호사 교육중, 병원의 운영, 철학, 안전관리등에 관한 사항은 잘 실시되고 있으나 전문직 단체소개, 각종 보고서 작성법등 간호사 개인의 자기관리나 복지적인 측면에서의 교육 실시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직무교육이 유도훈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직접간호수행과 관련된 항목이 간접간호수행과 관련된 항목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신규간호사 스트례스정도는 간호행위와 환경, 근무요건과 관련된 요인의 스트레스 정도가 대인관계와 관련된 요인의 스트레스 정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간호사의 스트레스정도는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였으며, 신규간호사교육 만족도는 간호학생시 경험한 임상실습 만족도에 따라(t=.002 p<.05), 신규간호사 교육 기간에 따라(F=6.308 p<.05)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The purpose of the nurse orientation program to help nurse recruits cope well with their new works station.

The 1993 report of the Clinical Nurse Association indicate that the orientation program in Korea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spital and not the trainee. The focus of this thesis is to offer the fundamental sources to set up an effective and systematic orientation program by studying nurse's satin(action and stress.

This thesis is based on a survey to measure the satisfaction and stress of recruits during the orientation program with a valid of 161nurses out of the total of 210 nurses who have the following.

1. The nurse, graduated in Feb. 1994 and working in the hospital as of Oct. 1994.

2. One group of 70 nurses the randomly selected who bad a four week orientation at one of two general hospital in Seoul and the other in Incheon.

3. One group of 70 nurses the randomly selected who had a three week orientation at one of two general hospital in Seoul and the other in Incheon.

4. One group of 70 nurses the randomly selected who had less than one week orientation from one of four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Incheon.

The data was coded and compiled statistically by SPSS PC+. Variables were real numbers, percentage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The relation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were analyzed by the t-test and ANOVA.

This thesis shows;

1. Participation analysis

a. Inductive orientation (13 subjects total)

1) 100% participation : Hospital Orientation

2) over 90% : Program and self Introduction; rules;

dress·attitude·etiquette; philosophy, organization, routin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related department, etc.

3) 58.4% : Introduction of the nurse to the nursing specialty organization.

b. On the job orientation (27 subject total)

1) 100% participation : none

2) over 90%: medication(98.1%); recoding(97.5%); stock supply equipment management(95%); safety(93.8%); intake and output(92.57%); CPR class (91.9%);, job related laboratory(91.3%), etc.

3) heat therapy(77%); inhalation treatment(76.4%); how to make reports to nursing service department (61.5%); assisting with fluid removal procedures (paracentesis, thoracentesis) (46%).

In conclusion, the orientation program focused on not so much the basic nursing skills as on general matters.

2. Satisfaction analysis

a. Inductive orientation

1) Average : 3.20 point

2) Highest : 3.70 point (dress, attitude, etiquette)

3) Lowest : 2.81 point (dealing with reimbursement issues).

b. Job orientation

1) Average : 3.38 point

2) Highest : 3.80 point (Intra venous injection)

3) Lowest : 2.90 point (how to make report to nursing service department)

The higher than average satisfaction score was shown in the direct nursing area(15 subjects) such as I.V therapy(3.80); CPR class(3.75); intramuscular injection(3.75);

CPR practice(3.69); medication(3.62). On the contrary, the lower than average scores were in non-nursing area , such as how to use medical equipment(2.97); nursing process(3.00).

3. Stress analysis

a. Work circumstances

1) Emergency(4.24); unfamiliar medical equipment(3.97); overload and responsibility(3.83); gap in practice(3.72); insufficient treatment and examination(3.70); deficiency of knowledge(3.69); bureaucratic management(3.67); a lack of administrative process(3.64); unreasonable duty schedule(3.62); variale work schedule-3work shifts(3.61); communication(3.29); environmental conditions(3.26); etc.

b. Personal relations

1) relationships with nurse aides(2.44); relationships with other nurses(2.47); relationships with other department(2.86); relationships with patients(3.11); relationships with patients' family(3.24); relationships with nurse supervisor(3.24); relationships with doctors(3.33).

Most recruits feel difficulties in coping with new work circumstances because of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the case of personal relations, they have role conflicts with doctors.

4. This survey shows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orientation program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school : t=.002 p<.05

b. term of orientation : t=.002 p<.05

Consequently, the orientation program has good points in hospital management, philosophy, and safety, etc. However, it is lacking in the areas of self-management and welfare, such as on introduction to specialty organization and how to make reports. In terms of satisfaction, on the job orientation and the direct nursing area are higher than the Inductive orientation and non-nursing area. Recruites feel more stress in work related tasks rather than in personal relations. The satisfaction of the orientation indicates notable differences on the basi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school(t=.002 p<.05) and the term of orientation (t=.002 p<.05).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42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