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2 1289

Cited 0 times in

편측 성대마비와 성대폴립 환자의 수술 전후 음성검사와 이미지 화상분석의 상관관계에 대한 객관적 비교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f pre and postoperative voice and image analysis in unilateral vocal cord pa 
Authors
 김시찬 
Issue Date
2000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편측 성대마비와 성대폴립과 같은 각종 음성질환에 있어서 음성검사는 진단뿐 아니라 치료를 위한 중요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수술전후 음성질환의 평가에는 음성검사뿐 아니라, 후두스트로보스코피를 이용하여 비교할 수 있다. 그러나 후두스트로보스코피는 시행자의 주관적인 소견일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후두스트로보스코피에 나타난 영상을 컴퓨터로 디지털화하여 그 영상을 녹화, 분석하려는 노력이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 저자는 편측 성대마비와 성대폴립환자에서 음성검사와 후두스트로보스코피를 이용한 이미지 화상분석을 통해 각 성대의 길이, 각도, 성문틈의 면적과 폴립의 크기 등을 측정함으로써 수술전후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미지 화상분석과 음성검사 사이매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1996년 11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연세의료뭔에서 편측 성대마비로 제 1형 갑상성형술을 받거나, 피열연골내전술과 동시에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영상이 양호한 환자 18명과 후두폴립으로 후두미세수술을 받은 판자들 중 영상이 양호한 환자18명을 대상으로 공기역학적검사, 컴퓨터음성검사와 녹화된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비디오화상분석은 비디오 안에 녹화된 영상을 비디오링크(Videolink) (Mediface Co, Seoul, Korea)로 디지털화하여 디지털화된 영상을 파이뷰(π- View) (Mediface Co,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편측 성대마비의 경우, 음성검사에서 수술 후 최장발성지속시간의 증가와 평균 호기류율의 감소를 보이고 영상분석에 있어서 수술 후 성대의 성문각은 감소, 성대돌기각은 증가하였다. 건측과 마비측의 성대길이의 비인 성대비는 흡기시 수술 전보다 수술 후에 증가하였다. 즉, 수술 후 마비측 성대의 길이 증가를 알 수 있다. 수술 전의 성문각은 최장발성지속시간, 지터, 쉬머와 상관관계를 가지고 수술 후의 성문각도 수술 전 최장발성지속시간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성대폴립의 경우 음성검사에서 수술 후 최장발성지속시간이 증가하였고, 쉬머, 잡음대화음비는 감소하였다. 영상분석에서는 발성시의 성문틈면적이 감소하였으나, 발성시의 성문틈면적과 폴립의 크기 모두 수술 전, 수술 후의 음성검사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편측 성대마비환자의 영상분석에 있어서 수술 후 성문각의 감소와 성대돌기각의 증가를 나타내 성문각, 성대돌기각이 수술전후 성대의 변화를 나타내는 유용한 지표임을 알 수 있었다. 성대비 또한 수술과 후의 성대길이를 나타내주는 지표로 유용하였다. 음성검사와 이미지 화상분석의 상관관계에서 수술 전 성문각이 음성검사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져, 후두스트로보스로피의 화상분석이 성대와 후두경까지의 거리만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면 음성질환에 있어서 수술전후의 변화를 알 수 있는 객관적인 진단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It is widely known that in unilateral vocal cord paralysis and vocal polyp, the voice analysis assumes an important method of the diagnosis and the treatment. In particular, videostroboscopy is used in an analysis of voice disorders as well as voice analysis study. But it is a very subjective diagnostic tool. So views in videostroboscopy is digitized, recorded and analyzed wi th many kinds of software.

The research in this study compares the configuration of the glottis in mini lateral vocal cord paralysis and vocal polyp. To determine whether a surgery can change voice analysis parameters, the length of vocal folds, the size of the chink and the polyp, videostroboscopy was analyzed in each 18 patients of unilateral

vocal cord paralysis and vocal polyp before and after surgery from November, 1996 to April, 1999. Results were compared to acoustic and aerodynamic assessment.

Char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software - Videolink (Mediface Co, Seoul, Korea) and π-View (Mediface Co, Seoul, Korea)- is used in a quantitative analysis. In unilateral vocal cord paralysis, results indicate that maxiaml phonation time is

increased and mean flow rate is decreased postoperatively. In analysis a of the image, glottic angle is decreased but vocal fold angle is increased postoperatively, vocal fold ratio, a paralyzed vocal fold ratio to a healthy vocal fold, is increased postoperatively. It means that the length of the paralyzed vocal

fold is increased after a Type I thyroplasty and arytenoid adduction. Glottic angle is well correlated with maximal phonation time, jitter and shimmer preoperatively. The postoperative glottic angle is also correlated wi th preoperative maximal phonation time. In patients of the vocal polyp, maximal phonation time is increased and shimmer and noise to harmonic ratio is decreased. Chink is postoperatively decreased but size of the chink and the polyp are not correlated with pre and postoperative voice analysis.

These findings reveal that glottic angle and vocal fold angle are good indicators of the postopertive glottic configuration because they are changed postoperatively in an analysis of the image. Vocal fold ratio is also a useful indicator that indicates the length of vocal folds. I think that the computerized analysis through videostroboscopy is one of the objective diagnostic methods in many voice disorders if I can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telelaryngoscope and the vocal folds.
Files in This Item:
T00551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35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